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573
한자 -運動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을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72년연표보기 - 새마을운동 보령 지역 시작
종결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새마을운동 보령 지역 종결
발생|시작 장소 새마을운동 -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읍|청소면|주산면|웅천면|미산면|성주면|청라면 일원
성격 지역사회 개발운동
관련 인물/단체 새마을운동본부 보령시지회|보령시 새마을지도자협의회

[정의]

1970년부터 충청남도 보령 지역을 포함한 한국 전역에서 일어난 범국민적인 지역사회 개발운동.

[개설]

새마을운동은 정부의 적극적인 행정, 재정, 기술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마을마다 선정된 지도자가 중심이 되어 주민들이 참여하는 대대적인 국민운동이었다. 마을 안길과 농로를 넓히고 초가지붕을 함석이나 슬레이트 지붕으로 바꾸는 등 시골의 모습을 새롭게 바꾸며, 근면, 자조, 협동의 기치 아래 국민의식을 전환하여 잘살아보자는 슬로건을 내세운 운동이다. 이러한 새마을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당시 내무부와 도청에 각각 새마을지도과, 군청에 새마을과, 읍면에 새마을 담당자를 두었으며, 교육기관으로 중앙에 새마을지도자 중앙연수원이 있었다.

충청남도에도 복지농도원, 농민교육원 등 새마을지도자를 교육시키는 기관이 있었으며, 마을마다 남녀 새마을지도자를 두었다.

[역사적 배경]

1970년 초 전국지방장관회의를 통해 당시 대통령이었던 박정희는 농민, 관계 기관, 지도자들 간의 협조를 전제로 하여 농촌 자조 정신을 진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할 것을 특별 지시하였다. 이러한 지시의 결과로 나온 방안이 새마을운동이었다.

[경과]

새마을운동은 기초 생활환경 바꾸기사업으로 새마을 가꾸기사업, 우수마을 특별지원사업, 새마을 광역권사업, 지붕 개량사업과 주택 개량사업이 진행되었으며, 특수 지역 개발사업으로 광산 지역 개발사업, 도서낙도 개발사업, 오지 지역 개발사업 등이 전개되었다. 또한 새마을 소득증대사업으로 새마을 소득 특별지원사업, 새마을 소득금고사업, 새마을 정신운동으로 새마을 교육, 도시 새마을운동, 직장 새마을운동, 공장 새마을운동, 학교 새마을운동 등이 진행되었다.

보령 지역에는 1972년부터 1989년까지 초 784개 마을에서 5만 6248건의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총 38억 원가량이 지원되었다. 또한 대천읍 남곡리 탑동마을과 신흑리 흑포마을, 청소면 신송리 원안마을, 웅천면 대천리 생갯마을, 주산면 주야리 장동마을, 창암리 연암마을 등이 새마을운동 대상 마을로 선정되어 마을 안길, 마을 하수구 등의 생활기반시설 개선을 위한 갖가지 지원과 혜택을 받았다. 또한 탄광이 많은 성주면, 청라면, 미산면을 중심으로 광산 도로포장, 소하천 정비, 복지회관 및 공동목욕탕 건립 등을 통해 생활 및 복지 기반시설을 개선할 수 있었다. 섬이 많은 오천면을 중심으로는 생산기반시설을 비롯하여 편의시설 등이 지원되었다.

한편, 보령 지역에서는 새마을운동 일환으로 금융 관련 사업도 진행되었다. 새마을금고사업을 통해 출자금 조성 등 기본 조건을 갖춘 소수의 금고들이 인가를 받아 개설되었다. 그동안 대천면의 한내새마을금고·보령연합마을금고, 웅천면의 대창새마을금고, 청소면의 의식새마을금고, 미산면의 도화담새마을금고·화은새마을금고·백운새마을금고, 직장금고인 산림조합의 임산새마을금고 등이 명맥을 이어오다가 2010년대 이후부터는 보령시새마을금고와 웅천새마을금고 2개만 운영되고 있다.

[결과]

새마을운동 결과, 보령 지역은 마을안길, 마을하수구 등의 생활기반이 형성되어 마을 전체의 모습이 탈바꿈되는 등의 변화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새마을운동은 20여 년 동안 생활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소득이 높아지면서 1990년대부터 차츰 퇴조 현상을 보였다. 시군청의 새마을과나 도의 부서가 없어지기 시작하여고, 민간기구인 새마을운동본부 보령시지회를 비롯한 새마을지도자협의회 등 민간 단체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나 활동이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 두산백과 두피디아(https://www.doopedia.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