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혁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501
한자 鄭赫臣
이칭/별칭 명준(明峻),성당(性堂),덕구(德耉)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719년연표보기 - 정혁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80년 - 정혁신 광릉참봉 제수
활동 시기/일시 1790년 - 정혁신 첨지중추부사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793년연표보기 - 정혁신 사망
거주|이주지 은거지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성연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경주
대표 관직 첨지중추부사

[정의]

충청남도 보령 지역 남당학파의 원류를 이룬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정혁신(鄭赫臣)[1719~1793]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충청남도 보령 오서산 자락에 은거하면서 대학과 주역을 연구하고 후진을 양성하는 데 전념하였다. 그 결과 충청남도 보령 지역 남당학파가 형성되었다. 정혁신의 후예들은 충청남도 지역 항일독립운동의 큰 맥을 이루었다.

[가계]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명준(明峻), 호는 성당(性堂), 일명 덕구(德耉)이다. 아버지는 정언주(鄭彦柱), 어머니는 광주 이씨(廣州 李氏) 이수만(李壽晩)의 딸이다.

[활동 사항]

1780년(정조 4) 학행으로 천거되어 광릉참봉(光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충청남도 보령의 오서산 자락 청소면 성연리 임천(林泉)에 은거하면서 자연을 노래한 산중시를 많이 남겼고, 장재(張載)의 『서명(西銘)』을 강론하면서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정혁신의 심성론은 남당 한원진(韓元震)의 학설을 지지하였다. 정혁신이 양성한 많은 문인(門人)들이 보령 지역 남당학파의 학맥을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그중에도 이건운(李健運), 이문복(李文福), 이시덕(李時德), 박도환(朴道煥), 이상문(李相文), 이예환(李禮煥), 백사형(白師亨)이 대표적이다. 특히 이건운의 문인 이돈필(李敦弼)의 제자인 김복한(金福漢)이 홍주의병의 수장이었고, 김복한의 의병 활동은 후에 항일독립운동의 큰 맥을 이루었다. 이예환은 남포 웅천 동향의 백사형(白師亨), 이상문(李相文), 오익양(吳益讓) 동문들과 학풍을 일으켰다.

1790년 수직(壽職)[노인직(老人職)]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일찍이 효행으로 이름이 났으며, 정혁신이 살던 마을은 정혁신의 호를 따서 ‘승당이[성당이]’로 불리게 되었다.

[학문과 저술]

정혁신은 『주역(周易)』을 깊이 연구하여 「하락이수변화출입설(河洛理數變化出入說)」을 저술, 1년에 24절후가 변화하는 과정을 해설하였다. 『대학(大學)』에도 조예가 깊어 『대학경의일득록(大學經義一得錄)』을 저술하였다. 저서로는 『성당집(性堂集)』 5권 2책이 있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