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권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684
한자 申權熙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화산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필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37년연표보기 - 신권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신권희 국전 입선
활동 시기/일시 1970~1976년 - 신권희 경기공업전문학교 교수
활동 시기/일시 1980~1995년 - 신권희 서울산업대학교 교수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신권희 한국공예협회 회장
수학 시기/일시 1983년 - 신권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졸업
몰년 시기/일시 1995년연표보기 - 신권희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5년 - 신권희 목양공예상 수상
출생지 충청남도 보령시 화산동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94[상수동 72-1]
학교|수학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94[상수동 72-1]
성격 공예가
성별
대표 경력 서울산업대학교 교수|대한민국공예대전 심사위원|한국공예협회 회장 등 역임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화산동 출신의 금속공예가.

[개설]

충청남도 보령시 화산동에서 태어난 신권희(申權熙)[1937~1995]는 한국 금속공예의 거장으로 평가받으며, 신라 시대의 누금 세공법[금석에 무늬를 아로새기는 기법]과 칠보 기법을 금속공예 작품에 적용하여 현대화한 작가이다.

[활동 사항]

신권희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63년 국전에 입선하고, 1970년에서 1976년 경기공업전문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1980년에서 1995년 서울산업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홍익대, 성신여대, 원광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를 하기도 하였다. 1982년, 1984년 미술대전 심사위원이었으며, 1985년 동아미술제 심사위원, 1987년 대한민국공예대전 심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공예 3세대 작가로서 공예 관련 협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으며, 1981년 한국공예협회 회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저술 및 작품]

1963년 국전 공예부문에 작품 「팔괘문갑(八卦文匣)」으로 입선하였다. 이후 홍익금속공예전, 한국공예가회 회원전, 귀금속디자인전, 칠보공예회 회원전, 동아공예대전 등에 출품하며 작품 활동을 활발하게 하였다. 석사학위는 「귀금속공예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공예디자인과 금속공예전공]로 받았으며, 저서로는 『조형연습: 입체디자인의 이론과 실제』[경기공업개방대학출판부, 1986]가 있다.

[상훈과 추모]

1995년 작고 후 유작과 제자들의 작품을 모아 유작전을 열었고, 한국 공예계에 공헌한 바를 인정받아 목양공예상을 받았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금속공예디자인학과에서는 신권희 교수의 업적을 기리고, 학과의 발전과 학생을 교육하려는 뜻을 기려 공예사랑 신권희장학회를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