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봉과 망부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203
한자 窺峰-望父石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화평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이현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1년 - 「규봉과 망부석」 『보령군지』에 수록
관련 지명 화산마을 -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화평리 지도보기
성격 풍수담
주요 등장 인물 고성 이씨
모티프 유형 망부석|망주석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주산면 화평리에 있는 규봉과 관련한 이야기.

[개설]

「규봉과 망부석」은 규봉(窺峰)과 관련된 풍수설로, 고성 이씨의 무덤 이야기도 함께 전승되고 있다. 규봉은 풍수학(風水學)에서 숨어서 엿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안산(案山)을 가리키며, 이런 산이 있으면 화(禍)를 입는다고 한다.

[채록/수집 상황]

「규봉과 망부석」은 1991년 보령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보령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조선 초기의 이야기이다. 규봉이 보이는 곳에 한 사람이 묘를 썼다. 가난하게 살다가 금을 캐 부자가 되었으니, 돌아가신 아버지 묘를 호화롭게 꾸미기 위해 망부석을 마련하였다. 그가 망부석을 세우고 돌아오자, 초상집에서는 선돌에 사는 한 처녀가 집을 뛰쳐나갔다고 수군거렸다. 그 후 그의 어머니가 죽었다. 그는 아버지 묘 곁에 묘를 쓰고 망부석을 멀리서 운반해 왔는데, 여자 무덤에는 망부석을 세우지 않는다는 마을 사람들의 말에 따라 망부석을 세우지 않고 그냥 그 자리에 눕혀 놓았다. 그리고 산에서 내려오니 화산마을에 사는 한 도령이 집을 뛰쳐나갔다고 하였다. 그때까지만 해도 마을 사람들은 이 사건을 망부석과 연관시키지 않았다.

그 후 화산마을 뒷산 화양봉이 명당자리라고 한 양반 집안에서 묘를 썼다. 이후에도 큰 묘지가 생기면 망부석이 자주 세워졌는데, 망부석을 세울 때마다 화산마을 총각들이 한 사람 두 사람씩 마을을 뛰쳐나가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를 이상하게 생각하고 산에 올라 망부석 두 개를 쓰러뜨렸다. 그러자 선돌에서 처녀 두 사람이 마을을 뛰쳐나갔다고 야단들이었다.

묘지의 주인은 집안사람이 죽을 때마다 이곳에 묘를 썼고, 망부석을 세웠다. 망부석을 세우자 화산마을에는 두 사람이 또 마을을 뛰쳐나갔다. 화산에서 이런 불행이 계속되자 고을 원님에게 묘는 쓰되, 망부석은 세우지 말도록 해 달라고 간청하였지만, 세도가의 집안이라 원님도 어찌할 수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군사들이 산골짜기로 몰려오더니 묘를 파헤치며 망부석을 마구 때려 부쉈다. 그리고 부서진 망부석을 땅에 쓰러뜨리고 파묻었는데, 그런 일이 있고 난 뒤에 화산과 선돌마을에서는 마을을 뛰쳐나가는 총각도 처녀도 없었다. 그 자리에 묫자리를 잡았던 가문은 고성 이씨의 가문이었다. 인조반정의 공신 이괄(李适)[1587~1624]이 그 후 난을 일으켜 역적으로 몰려 묘를 파헤치고 망부석을 때려 부순 것이다. 묘와 망부석을 없앤 후에는 고성 이씨 후손들은 이곳 가까이 와 성묘하고 가면 모두 죽는다고 해서 삼곡리 월현고개에서 절을 하고 간다. 규봉이 바라다보이는 곳에 묘를 쓰면 액운이 돌아온다는 풍수설이 너무나 들어맞는 이야기로 전해진다.

[모티프 분석]

「규봉과 망부석」 이야기에서 망부석은 망주석(望柱石)[다른 명칭은 석망주(石望柱)이다. 세종 시기까지는 ‘전죽석(錢竹石)’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혹자는 망두석(望頭石) 또는 망부석(望夫石)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명칭이다.]을 가리킨다.

망주석은 조선 초기에 거의 왕족이나 부마(駙馬)[임금의 사위]에게만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일반인에게도 수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

망주석은 묘의 위치를 알아볼 수 있게 한 표지석이다. 하지만 이러한 망주석의 기능에 대해 영혼이 무덤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하는 이정표 역할을 한다든지, 지기(地氣)를 흩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라든지, 남근(男根)의 상징물로 보고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기 위한 것이라든지 등 망주석과 관련한 다양한 속설이 전해진다.

「규봉과 망부석」은 망주석의 속설들이 규봉과 고성 이씨의 묘 이야기가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같은 지역[보령시 주산면 화평리]에서 「규봉」이라는 이야기가 전승되는데, 망주석의 이야기가 삭제되고 고성 이씨의 무덤 이야기만 전승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