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250
한자 心堂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19년연표보기 - 『심당집』 간행
소장처 충남대학교 도서관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궁동 220]
성격 시문집
저자 신응선
권책 5권 1책
행자 23.7㎝[세로]|16.0㎝[가로]
규격 14행 29자
어미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

[정의]

일제 강점기의 문신 신응선의 시문집.

[개설]

『심당집(心堂集)』은 1919년 신응선(申應善)[1834~1921]의 시(詩), 서(序), 부(賦), 기(記) 등을 편집, 간행한 시문집이다.

[저자]

신응선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며, 자는 공옥(攻玉), 호는 심당(心堂)이다. 1893년(고종 30) 별시문과에 급제하고, 교리·수찬·응교 등을 거쳐 좌우승지를 지내고 도승지에 올랐으며, 승정원의 기강을 세우는 데 공을 세웠다. 문필에 뛰어났으며, 말년에 충청남도 보령에 거주하면서 학문 활동에 전념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심당집』은 1919년 저자인 신응선이 편집,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심당집』은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 5권 1책으로,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며, 반곽의 크기는 세로 18.4㎝, 가로 13.1㎝이다. 계선이 있고, 행자 수는 14행 29자이며, 주(註)는 쌍행, 어미는 상하향흑어미(上下向黑魚尾)이다. 책 크기는 세로 23.7㎝, 가로 16.0㎝이다.

[구성/내용]

『심당집』 권수(卷首)에는 남정철(南廷哲)·김윤식(金允植)·이우명(李遇明) 등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 1~4에 사(辭) 1편, 부(賦) 1편, 사(詞) 16편, 시 751수, 권 5에 서(序) 30편, 기(記) 7편, 제발(題跋) 4편, 잠(箴) 2편, 명(銘) 2편, 송(頌) 2편, 설(說) 3편, 논(論) 3편, 행장(行狀) 4편, 비명 3편, 소(疏) 3편, 연설(筵說) 2편, 교서 1편, 문(文) 9편, 표(表) 2편, 진전(進箋) 1편, 조(詔) 1편, 계(啓) 2편, 서(書) 1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시는 초목·금수(禽獸)·정루(亭樓)·시경(時景)·감회 등 다양한 소재를 각양각체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주평팔경(酒坪八景)」은 유창하고 수려한 문체로 묘사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소(疏)는 모두 사직소로, 부수찬·사서(司書)·의관(議官) 등을 사직하면서 자신의 정치관을 밝힌 상소이다. 「연설(筵說)」은 시강원우시직(侍講院右侍直) 재임 시 세자의 질문에 답한 내용을 수록한 글이다. 행장에는 유대이(兪大儞)·신석구(申錫九)·이준재(李準在) 등에 관하여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심당집』은 조선 후기 문신인 신응선의 작품관과 정치 사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한국고문헌종합목록(https://www.nl.go.kr/korcis)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