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22
한자 佳中里 遺蹟
이칭/별칭 가중리 가좌유적,가중리 산직리유적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은산리
시대 선사/청동기,조선/조선
집필자 이기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4년 8월 15일~2004년 12월 31일 - 가중리 유적 발굴 조사
현 소재지 가중리 유적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 지도보기|은산리지도보기
성격 복합 유적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 은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와 조선 시대의 복합 유적.

[개설]

가중리 유적(佳中里 遺蹟)은 은산 우회 도로 건설 공사 때 확인된 유적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은산리에 있다. 충청문화재연구원에서 2004년 8월 15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발굴 지점에 따라 가중리 가좌유적, 가중리 산직리유적으로 구분된다.

[위치]

가중리 유적 중 가중리 가좌유적은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에 속하는데, 북동에서 남서로 뻗어 내린 능선 정상부와 남쪽사면에 형성된 곡부 중상단부에 해당한다. 가중리 산직리유적은 은산면 가중리은산리의 경계 지역에 있는데, 지형상 북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능선의 선상부와 남동으로 흐르는 가지능선의 선상부 및 남동사면에 해당한다.

[형태]

가중리 가좌유적에서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 1기와 석개토광묘 3기, 원삼국 시대 주거지 13기, 석곽묘 1기 등이 확인되었으며, 가중리 산직리유적에서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 4기, 돌널무덤 2기, 수혈유구 2기와, 백제 시대 석실분 3기, 돌덧널무덤 6기, 고려~조선 시대 움무덤 5기가 조사되었다. 부여 지역에서는 드문 청동기 시대 전기 주거지가 확인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또한 가중리 가좌유적에서 조사된 원삼국 시대 주거지 13기는 낮은 구릉의 남사면 상단부에 군집하여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화재로 폐기된 주거지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가중리 가좌유적의 청동기 시대 유구에서는 구순각목공열 토기편, 민무늬토기 저부편 등이 출토되었으며, 원삼국 시대 주거지 내부에서는 깊은바리토기, 장란형토기, 시루, 두귀달린항아리 등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또한 가중리 산직리유적 청동기 시대 유구에서는 각목공열토기 아가리편, 이중구연단사선문 토기편, 간토기편, 민무늬토기편, 원형점토대토기 아가리편, 뚜껑편, 우각형파수부편, 돌화살촉, 갈판, 지석, 용도 미상 석기편, 미완성 석기편 등이 확인되었다.

[현황]

가중리 유적은 모두 발굴 조사 후 도로 공사로 인하여 멸실되었다.

[의의와 평가]

부여 지역에서 확인되는 청동기 시대 유적은 대부분 송국리 유형의 중기 유적이지만 가중리 유적에서 청동기 시대 전기 주거지가 확인되어 금강 중·하류에서도 청동기 시대 전기부터 사람들이 생활하였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