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29
한자 太楊里 遺蹟
영어공식명칭 Historic Site Related to Taeyang-ri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흥수로183번길 62[태양리 263-6]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이화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8년 - 태양리 유적 발굴 조사
현 소재지 태양리 유적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흥수로183번길 62[태양리 263-6]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동남리 산16-1]지도보기
성격 무덤 유적
면적 202㎡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태양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유적.

[개설]

태양리 유적(太楊里 遺蹟)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태양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무덤 유적이다. 2008년 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현 백제역사문화연구원]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발굴 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 돌널무덤 1기, 움무덤 1기가 확인되었다.

[위치]

태양리 유적은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 흥수로183번길 62[태양리 263-6번지]에 있다. 구룡초등학교 북서쪽으로 형성된 높이 25m 내외의 나즈막한 구릉에 있다. 구릉의 남쪽으로는 구룡천이 흐르고, 북쪽으로는 주정천이 흐르고 있다.

[형태]

태양리 유적은 발굴 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 돌널무덤 1기, 움무덤 1기가 확인되었다. 돌널무덤은 여러 장의 판석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뚜껑돌을 설치하였고, 네 벽은 1~2장의 판석을 세워 조립한 형태로 금강 중하류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돌널무덤 형식에 해당한다. 돌널무덤 내부의 규모는 길이 110㎝, 너비 67㎝, 높이 38㎝이다. 돌널무덤의 뚜껑돌 위로 높이 약 40㎝, 너비 112㎝ 정도의 봉토 흔적이 확인되었다는 점, 그리고 바닥에 요갱이 설치된 점이 특징적이다. 돌널무덤 외부에서는 부서진 일단병식 돌칼 1점이 출토되었다. 움무덤은 돌널무덤과 약 1.6m 정도 간격을 두고 나란히 있다. 규모는 길이 224㎝, 너비 59㎝, 깊이 34㎝로, 비교적 가늘고 긴 편이다. 움무덤 내부에서 일단경식 간돌화살촉 1점이 출토되었다.

[현황]

태양리 유적은 발굴 조사와 기록 보존이 완료된 이후 일대에 주택이 들어서면서 멸실되었다.

[의의와 평가]

태양리 유적에서 확인된 돌널무덤과 움무덤은 청동기 시대 대표적인 무덤 양식에 해당되어 당시 문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