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95
한자 尹衡聖
영어공식명칭 Yun Hyeongseong
이칭/별칭 경임(景任),기기재(棄棄齋)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칠산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08년연표보기 - 윤형성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62년 - 윤형성 증광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64년 - 윤형성 사헌부장령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67년 - 윤형성 함평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69년 - 윤형성 세자시강원 보덕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74년 - 윤형성 진주목사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76년연표보기 - 윤형성 사망
거주|이주지 칠산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칠산리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부임지 - 전라남도 함평군
부임|활동지 부임지 - 강원도 삼척시
부임|활동지 부임지 - 충청북도 옥천군
부임|활동지 부임지 - 경상남도 진주시
묘소|단소 윤형성 묘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남원(南原)
대표 관직 진주목사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 거주하였던 문신.

[가계]

윤형성(尹衡聖)[1608~1676]의 본관은 남원(南原)이며, 자는 경임(景任), 호는 기기재(棄棄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내자시판관 윤청(尹淸)이고, 할아버지는 사옹원참봉 윤민신(尹民新)이다. 아버지는 승지 윤길(尹日+吉)이고, 어머니는 이세량(李世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부인은 이사민(李師閔)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아들은 윤뢰(尹耒)·윤래(尹來)·윤간(尹柬)·윤동(尹東)이다. 형은 윤형지(尹衡志)이다.

[활동 사항]

윤형성은 1608년(선조 41)에 태어났다. 호남에서 생활하다가 병자호란 때에 부여 임천(林川)의 칠산(七山)[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칠산리]에 터를 잡고 살면서 낙향한 유계(俞棨)와 함께 교류하였다.

윤형성은 과거(科擧)에 운이 없어 번번이 실패하다가 1662년(현종 3)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성균관전적을 비롯하여 공조와 예조, 병조의 낭청을 지냈으며, 1664년에 사간원정언을 거쳐 사헌부의 헌납과 지평, 장령 등을 지냈다. 1667년 함평현감으로 부임하였고, 내직에 복귀해서는 성균관사예·종부시정·세자시강원필선을 지냈다. 1669년 이후 예빈시정을 거쳐 삼척부사와 옥천군수, 세자시강원보덕을 역임하였다. 사간원의 사간으로 재직 시에는 여러 재신(宰臣)을 논핵한 일로 경질되기도 하였다. 1674년(숙종 1) 사헌부집의로 있으면서 송시열(宋時烈)을 옹호하다가 진주목사로 좌천되었고, 제2차 예송 논쟁 후 파직되었다. 윤형성은 임천으로 낙향하여 지내다가 1676년(숙종 2) 사망하였다.

[묘소]

윤형성의 묘소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