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03
한자 李玄祚
영어공식명칭 Lee Hyeonjo
이칭/별칭 계상(啓商),경연당(景淵堂)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54년연표보기 - 이현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81년 - 이현조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82년 - 이현조 증광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3년 - 이현조 예문관검열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89년 - 이현조 독서당 선발
활동 시기/일시 1696년 - 이현조 안동부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99년 - 이현조 해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00년 - 이현조 영광군수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00년 - 이현조 여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06년 - 이현조 안변부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710년 - 이현조 통진부사 부임
몰년 시기/일시 1710년연표보기 - 이현조 사망
출생지 임천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해주 - 북한 황해도 해주시
부임|활동지 영광 - 전라남도 영광군
부임|활동지 여주 - 경기도 여주시
부임|활동지 통진 -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전주(全州)
대표 관직 대사간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이현조(李玄祚)[1654~1710]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계상(啓商), 호는 경연당(景淵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수광(李睟光)이고, 할아버지는 영의정 이성구(李聖求)이다. 아버지는 이석규(李碩揆)이고, 어머니는 민성복(閔聖復)의 딸 여흥 민씨(驪興閔氏)이다. 부인은 김귀만(金龜萬)의 딸 안동 김씨(安東 金氏)이다.

[활동 사항]

이현조는 1654년(효종 5) 부여 임천(林川)[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서 태어났다. 1681년(숙종 7)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82년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승문원에 배속되었다가 1683년 예문관검열을 거쳐 예문관의 대교와 봉교 등을 역임하였다. 1687년 이후 사헌부지평·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사간원헌납·홍문관부교리·이조좌랑 등을 지냈다. 1689년 숙종(肅宗)의 계비 인현왕후(仁顯王后)를 폐서인하고 중궁의 자리에서 폐출하자 부당함을 논하였다.

1689년 이현조는 독서당(讀書堂)에 선발되었고, 1690년 이조정랑을 거쳐 세자시강원 관원으로 차출되었다. 이후 의정부사인·사간원사간·홍문관부응교·승정원승지·사간원대사간을 역임하였고, 외직으로 강원도관찰사를 지냈다. 1694년 갑술환국(甲戌換局)이 있자 네 차례나 소장(疏狀)을 올려 해임되고는 임천으로 낙향하였다.

이현조는 1696년 안동부사를 시작으로 1699년 해주목사, 1700년 영광군수, 1703년 여주목사, 1706년 안변부사에 제수되었다. 1710년 통진부사로 재직 중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현조의 저술로는 문집인 『경연당집(景淵堂集)』이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