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29
한자 洪可臣
영어공식명칭 Hong Gasin
이칭/별칭 흥도(興道),만전당(晩全堂),간옹(艮翁),문장(文莊),영원군(寧原君)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41년연표보기 - 홍가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67년 - 홍가신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71년 - 홍가신 강릉참봉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74년 - 홍가신 형조정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74년 - 홍가신 부여현감 부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574년 - 홍가신 의열사(義烈祠) 건립
활동 시기/일시 1593년 - 홍가신 파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94년 - 홍가신 홍주목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96년 - 홍가신 이몽학의 난 진압
활동 시기/일시 1604년 - 홍가신 청난공신 1등에 녹훈되고 영원군에 책봉
몰년 시기/일시 1615년연표보기 - 홍가신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9년 - 홍가신 기념관 건립
부임|활동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임|활동지 안산 - 경기도 안산시
부임|활동지 수원 - 경기도 수원시
부임|활동지 파주 - 경기도 파주시
부임|활동지 홍주 - 충청남도 홍성군
부임|활동지 강화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부임|활동지 개성 - 북한 개성특별시
묘소|단소 홍가신 묘소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 산4-1
사당|배향지 인산서원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면 서원리
사당|배향지 정퇴서원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중리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남양(南陽)
대표 관직 형조판서

[정의]

조선 후기 부여현감을 역임한 문신.

[가계]

홍가신(洪可臣)[1541~1615]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흥도(興道), 호는 만전당(晩全堂)·간옹(艮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홍한(洪瀚)이고, 할아버지는 홍윤창(洪胤昌)이다. 아버지는 홍온(洪昷)이고, 어머니는 신윤필(申允弼)의 딸 흥양 신씨(興陽 申氏)이다. 부인은 이형(李衡)의 딸 재령 이씨(載寧 李氏)이고, 아들은 홍은(洪檃)·홍영(洪榮)·홍절(洪楶)·홍비(洪棐)이다.

[활동 사항]

홍가신은 1541년(중종 36)에 태어나 민순(閔純)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67년(선조 즉위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71년 전랑(銓郞)[조선 시대에, 이조의 정랑과 좌랑을 달리 이르던 말]의 추천으로 강릉참봉(康陵參奉)에 제수되었다. 1573년 이조에서 6품으로 승급할 대상자를 추천할 때 추천되어 1574년 예빈시주부와 형조정랑을 지내고 부여현감으로 부임하였다.

홍가신은 부여현감 재임 시 백제의 충신 성충(成忠)·계백(階伯)·흥수(興首)와 고려의 이존오(李存吾)를 모시는 사당을 짓고 옆에 관선당(觀善堂)을 지어 인근의 유생을 교육하였다. 성충 등을 모시는 사당은 훗날 ‘의열(義烈)’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또한 낙화암 동쪽에 작은 집을 지어 이은암(吏隱菴)이라 이름하고 학도를 교육하였다. 이후 부여의 백성들이 이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거사비(去思碑)를 세웠다.

홍가신은 1578년 이후 사헌부지평·사헌원장령을 거쳐 안산군수·수원부사를 지냈다. 수원부사 재직 시 ’정여립 옥사’가 일어나자, 홍가신은 정여립(鄭汝立)과 같은 시기 진사시에 합격하였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1593년 파주목사를 거쳐 1594년 홍주목사로 부임하였고, 1596년 부여에서 일어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진압하여 1604년 청난공신(淸難功臣) 1등에 녹훈되고 영원군(寧原君)에 책봉되었다.

홍가신은 이후 강화부사를 거쳐 형조판서와 개성유수 등을 역임하였다. 광해군 즉위 후 아산(牙山)에 머물면서 중앙에 출사하지 않다가 1615년(광해군 7)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홍가신의 저술로는 『만전집(晚全集)』과 『만전당만록(晩全堂漫錄)』이 있다.

[묘소]

홍가신의 묘소는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대동리 산4-1에 있다

[상훈과 추모]

홍가신은 사망한 뒤 문장(文莊)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아산의 인산서원(仁山書院)과 온양의 정퇴서원(靜退書院)에 배향되었다. 2009년 아산시 염치읍 만전당길120번길 3-18[대동리 24]에 홍가신기념관이 건립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