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월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033
한자 望月山
영어공식명칭 Mangwol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세탑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망월산 - 충청남도 부여군
해당 지역 소재지 망월산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세탑리 지도보기
성격
높이 204m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세탑리에 있는 산.

[개설]

망월산(望月山)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의 북서쪽 세탑리 탑골마을 뒤에 있다. 망월산은 높이 204m의 완만한 산이다.

[명칭 유래]

망월산은 마을 사람들이 매년 정월대보름에 몰려와 보름달을 본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망월산의 형세가 토끼가 달을 바라보는[玉兎望月] 모습이라 ‘망월산’이라 불렀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부여현’에는 “망월산은 현 동쪽 15리[약 5.9㎞]에 있으며, 또 석성현(石城縣) 편에도 나와 있다”라고 하였다. 『여지도서(輿地圖書)』 ‘부여현’에는 “망월산은 관아의 동쪽 15리에 있다. 줄기가 공주 계룡산에서 뻗어 온다”라고 수록되어 있다.

[자연환경]

망월산은 부여군의 동남부 구릉 지대에 속한다. 동남부 구릉 지대는 옥산면에서 금강을 건너 석성면초촌면의 북부에 이르는 띠 모양의 연속적인 구릉을 이룬다. 해당 구릉 지대는 저위 평탄면[삭반 침식면]의 범주에 해당하는데,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류 분포 지역으로 완사면이 잘 발달되어 있다. 심층 풍화된 기반암 위에 형성된 산록 완사면과 삭박 평탄면의 사이를 개석(開析)한 하천 연변에 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지형의 특성상 망월산 부근은 선사 시대 이래 인간의 주거지로 활용되어 왔다.

망월산의 지질은 조립·등립 조직의 흑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규모의 백운모, 녹니석, 녹렴석을 포함하고 있다. 망월산이 있는 부여 지역은 온대림 지역에 속하며, 식생은 대부분 소나무와 활엽수림이 섞여 있는 혼합림이 나타난다.

[현황]

초촌면 세탑리 망월산 아랫마을에는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부여세탑리오층석탑(扶餘細塔里五層石塔)[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이 있다. 부여세탑리오층석탑이 서 있는 세탑리 탑골마을 망월산 남쪽 기슭에 청량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