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046
한자 鴻山市場
영어공식명칭 Hongsan Market
이칭/별칭 홍산장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지명/시설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산시장로 43-8[남촌리 132-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1928년 1월 2일연표보기 - 홍산시장 개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2년 - 홍산시장 정주권 개발 사업으로 재정비
현 소재지 홍산시장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홍산시장로 43-8[남촌리 132-1]지도보기
성격 재래시장
면적 2,700㎡[매장 면적]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에 있는 전통시장.

[개설]

홍산시장(鴻山市場)은 1928년 개장하였으며, 1930년대 이후 부여군 내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서 부여군 서부 지역 경제의 중심지였다.

[변천]

홍산시장은 1928년 1월 2일 근대 시장으로 개장하였으나, 조선 후기에 장시의 형태로 이미 시장이 형성되어 있었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보면 홍산현에는 읍내장이 2일과 7일, 신기장(新基場)이 1일과 6일에 선다고 되어 있다. 신기장은 오늘날 부여군 외산면에서 열리던 장시로 지금의 외산시장을 일컫는다. 홍산현의 경우 모시, 홍시, 게, 담배가 매우 풍부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1909년에 작성된 『한국각부군시장상황조사서』를 보면 홍산군에는 홍산시장이 있어서 음력 2일과 7일에 장시가 열렸다. 집산 화물로는 모시, 포백, 쌀, 어물, 연초, 면포 등이 있었으며, 강경, 군산, 임천, 한산, 비인, 서천에서 물건이 들어왔다. 1년 거래량은 평균 7만 2000원이었다. 최대 거래 물품은 모시였는데, 6월과 7월 사이에 약 1만 필이 생산되어 약 4만 원의 모시가 거래된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판로는 서울이었다.

1960년대까지만 하여도 장날에는 서천, 충화면, 남면, 구룡면, 미산면 등에서 홍산장을 보러 오는 사람들이 도로를 메웠다고 한다. 홍산시장은 서천과 비인에서 생선, 조개, 굴 등과, 미산에서 나무, 쌀, 옹기, 지게, 모시 등을 팔러 온 장사꾼으로 성시를 이루었다. 특히, 나무전은 미산에서 홍산까지 고갯길을 넘어 몇백 짐을 길마다 받쳐 놓아 장관이었다고 한다. 1970년대 들어 교통의 발달로 홍산에서 서울까지 직행버스가 생기고, 대전까지 직행버스가 운영되자 홍산시장은 쇠퇴하고 결국 공설시장과 우시장은 폐장되었다. 홍산시장은 1992년 정주권 개발 사업을 통하여 재정비되었다.

[구성]

2020년 현재 홍산시장의 점포 수는 134개이고, 매장 면적은 2,700㎡이다.

[현황]

홍산시장은 1992년 정주권 개발 사업을 통하여 재정비된 후, 2023년 현재 시장의 기능을 유지하며 운영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