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22
한자 滄江書院
영어공식명칭 Changgangseowon confucian academy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21[저석리 산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29년연표보기 - 창강서원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82년 - 창강서원 사액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 - 창강서원 훼철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6년 - 창강서원 복원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창강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7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창강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창강서원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창강서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21[저석리 산1-1]지도보기
성격 서원
양식 전학후묘식
정면 칸수 3칸[사우]|3칸[묘문]|3칸[동재]|4칸[서재]
측면 칸수 2칸[사우]|3칸[동재]|3칸[서재]
소유자 종중
관리자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개설]

창강서원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저석리에 있는 추포(秋浦) 황신(黃愼)[1562~1617]을 독향한 서원이다. 황신은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1588년(선조 21)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한성부우윤, 대사간,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하여 명나라 사신과 함께 통신사로 일본을 다녀왔다. 명나라에 진주부사(陳奏副使)로 파견되는 등 외교적으로도 크게 활약하였다. 1605년(선조 38) 임진왜란 때의 공으로 호성선무원종공신(扈聖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1612년(광해군 4) 광해군을 시종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회원부원군(檜原府原君)에 봉해졌다. 1613년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무고로 옹진에 중도부처(中途付處)되어 사망하였다. 사후에 우의정으로 추증되었다. 창강서원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위치]

창강서원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삼충로서원북길 21[저석리 산1-1]에 있다. 북서쪽으로 금강이 흐르고 있고, 저석리와 중산리에 놓여 있는 왕진교에서 800m 정도 떨어져 있다.

[변천]

황신은 1607년(선조 40) 부여 지역 창강에 살았다. 창강서원황신의 사후 지역의 유림과 중앙의 요인들이 건립을 추진하여 1629년(인조 7) 건립하였다. 1682년(숙종 8) 사액을 받았으나 1868년(고종 5) 훼철되었다. 1937년 설단(設壇)하였고, 1966년 지역의 유림과 후손들이 현재 위치에 복원하였다.

[형태]

창강서원은 사우, 묘문, 동재, 서재로 구성되어 있다. 강당 겸 서재가 앞쪽에 있고, 사우가 뒤에 있는 전학후묘식 배치이다. 사우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고, 묘문은 정면 3칸 규모로 홑처마 맞배지붕 형식의 솟을삼문이다. 동재는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고, 서재는 정면 4칸, 측면 3칸으로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현황]

창강서원은 매년 음력 3월과 9월 보름에 제향을 지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창강서원임진왜란 때 크게 활약한 황신을 기리는 서원으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