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 영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45
한자 李穡 影堂
영어공식명칭 Isaekyoung shrine
이칭/별칭 목은영당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97번길 41[군사리 6-4]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60년연표보기 - 이색 영당 건립
이전 시기/일시 2010년 - 이색 영당 이건
현 소재지 이색 영당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97번길 41[군사리 6-4]지도보기
원소재지 이색 영당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 홍산동헌지도보기
성격 사당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영당]|평삼문[묘문]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있는 이색의 영정을 모신 사당.

[개설]

이색 영당(李穡 影堂)은 목은영당(牧隱影堂)으로도 불리며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이색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 야은(冶隱) 길재(吉再)[1353~1419]와 함께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고려 말기 원나라 국자감 생원이 되어 성리학을 연구한 이색은 귀국 후 성리학의 보급과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이성계 일파가 정권을 장악하면서 장단에 유배를 당하였다. 이성계가 등용하려고 하였으나 끝내 고사하였다.

[위치]

이색 영당은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97번길 41[군사리 6-4] 성흥산 아래 있다. 임천면행정복지센터에서 대조사 방면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있다.

[변천]

1955년 구성된 한산이씨화수회(韓山李氏花樹會)는 1960년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 홍산동헌 옆에 이색 영당을 건립하고 1960년경 제작된 이색의 영정을 봉안하였다. 2007년 부여 홍산현 관아가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 백제권 일원의 원형 복원 사업 시책에 따라 2010년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형태]

이색 영당은 영당과 묘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고, 묘문은 평삼문 형태이다.

[현황]

이색 영당에서는 매년 음력 3월 마지막날 춘향제를 지내고, 음력 10월 마지막 날 추향제를 지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색 영당목은 이색의 학덕과 숭고한 정신을 기리며 한산 이씨의 친목을 다지는 사당으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