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272
한자 扶餘女子高等學校
영어공식명칭 Buyeo Girls’ High School
이칭/별칭 부여여고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47[쌍북리 646-1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중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54년 7월 20일 - 부여여자고등학교 설립 인가
개교 시기/일시 1954년 9월 27일연표보기 - 부여여자고등학교 개교
이전 시기/일시 1962년 10월 3일 - 부여여자고등학교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646-10으로 이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9년 3월 1일 - 부여여자고등학교 부여여자중학교와 분리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8월 28일 - 부여여자고등학교 기숙사 성지관 준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11월 25일 - 부여여자고등학교 다목적 교실 준공
현 소재지 부여여자고등학교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로 47[쌍북리 646-10]지도보기
성격 공립 고등학교
전화 041-834-4148
홈페이지 http://buyeoyeo.cnehs.kr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실력과 품성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고 교훈은 ‘진(眞)·선(善)·미(美)’이다.

[변천]

부여여자고등학교(扶餘女子高等學校)는 1954년 7월 20일 설립 인가를 받아 1954년 9월 27일 개교하였다. 1962년 10월 3일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646-10의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79년 3월 1일 부여여자중학교와 분리하였다. 1995년 8월 28일 기숙사 성지관을 준공하였고 1995년 11월 25일 다목적 교실을 준공하였다.

[교육 활동]

부여여자고등학교는 고교 학점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학교 자율적 교육 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 맞춤형 주제 중심 교과 융합형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생의 요구를 수용한 과목을 개설하여 학생 개인별 진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쌍방향 원격 수업을 위하여 ‘충청남도 교육청 통합 플랫폼-마주온’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외에 학생 자치 활동 확대를 통한 자치 능력 배양 및 건전한 민주 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학생 자치·학생 선택 중심의 민주 시민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민주적 절차와 자율을 실천하는 학생 자치 위원회 운영, 교육 과정과 연계한 올바른 역사 의식 고취와 독도 교육 내실화, 평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및 국제 정세 변화를 반영한 통일 교육 운영 등으로 추진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양수/ 작곡 이관영]

부소산 슬기로운 그윽한 품에/ 아침마다 이슬 받어 아름다운 꽃송이/ 꽃 지고 열매 맺어 향기도 무궁타/ 백마강 푸른 물은 쪽보다 더 짙으다/ 마음씨도 닮아라 부여여고// 옛 궁터 거친 자취 장엄한 탑도/ 조상님에 얼과 넋이 얽히었도다/ 날마다 갈고닦아 한 빛을 내품세/ 백마강 푸른 물은 쪽보다 더 짙으다/ 마음씨도 닮아라 부여여고/// 뫼 곱고 물도 맑은 고운 고장에/ 민주로 터를 닦아 평등의 집을 지어/ 영원히 이어받을 겨레의 꽃송이/ 백마강 푸른 물은 쪽보다 더 짙으다/ 마음씨도 닮아라 부여여고

2. 교목은 은행나무이다.

3. 교화는 목련이다.

[현황]

2022년 5월 현재 총 16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295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43명의 교원과 17명의 직원 등 총 60명이 재직하고 있다. 교과 교실과 특별 교실 외에 강당과 기숙사, 컴퓨터실, 진로 상담실, 보건실, 학생 식당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3년 1월 4일 제67회 졸업식을 거행하였으며, 총 1만 811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참고문헌]
  • 부여여자고등학교(http://buyeoyeo.cnehs.kr)
  • 학교알리미(https://www.schoolinf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