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272
한자 次鐵原東軒韻
영어공식명칭 Chacheorwondongheonu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강원도 철원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권혁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439년 - 성현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504년 - 성현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미상 - 「차철원동헌운」 조선 초기 간행된 성현의 『허백당집(虛白堂集)』에 수록
배경 지역 철원읍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지도보기
성격 한시

[정의]

조선 전기 성현이 강원도 철원 지역을 지나면서 지은 한시.

[개설]

「차철원동헌운(次鐵原東軒韻)」은 조선 전기의 학자인 성현(成俔)[1439~1504]이 강원도 철원 지역을 지나면서 지은 한시이다. 성현은 본관이 창녕(昌寧), 자는 경숙(磬叔), 호는 용재(慵齋)·허백당(虛白堂), 시호는 문대(文戴)이다. 성현은 1462년(세조 8) 스물세 살에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였고, 1476년 문과중시(文科重試) 에 병과로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다. 1483년에 강원도 관찰사가 되었고, 1485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대사간, 대사성, 동부승지,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성현은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할 때 강원도 전역을 순찰하면서 시를 지었다. 「차인제헌운(次麟蹄軒韻)[인제 동헌의 운에 차하다]」, 「차춘천봉의루운(次春川鳳儀樓韻)[춘천 봉의루의 운에 차하다]」, 「차강릉동헌운(次江陵東軒韻)[강릉 동헌의 운에 차하다]」, 「차정선헌운(次旌善軒韻)[정선 동헌의 운에 차하다]」, 「제양구헌운(題楊口軒韻)[양구 동헌의 운에 차하여 제하다]」 등 강원도 각 주군에 들려서 지은 시들이 『허백당집(虛白堂集)』에 실려 있다. 「차철원동헌운(次鐵原東軒韻)[철원 동헌의 운에 차하다]」도 이 시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표적인 저서로 『허백당집(虛白堂集)』을 비롯하여 『악학궤범(樂學軌範)』, 『용재총화(慵齋叢話)』, 『부휴자담론(浮休子談論)』 등이 있다.

[구성]

「차철원동헌운(次鐵原東軒韻)」은 칠언율시(七言律詩)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 초기 간행된 성현의 『허백당집(虛白堂集)』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철수웅번고읍주(鐵水雄藩古邑州)[철원은 강성한 번진이요 고도의 고을인데]

객래무어만함수(客來無語謾含愁)[나그네는 와서 말없이 시름만 품을 뿐이네]

풍운패상비양일(風雲沛上飛揚日)[패현에 풍운의 기세를 드날리던 그날이]

연신함양참담추(煙燼咸陽慘惔秋)[함양에 연기와 불꽃 참담한 때이었도다]

량국흥망구적적(兩國興亡俱寂寂)[두 나라의 흥망은 다 적적하기만 한데]

천년성루망유유(千年城壘莽悠悠)[천년의 성루만 아스라이 펼쳐져 있구나]

궁왕불감전차복(弓王不鑑前車覆)[궁예 임금은 전철을 경계할 줄 모르고]

부여고소미록유(付與姑蘇麋鹿遊)[고소대를 미록에게 놀도록 맡겨 주었네]

[특징]

「차철원동헌운」은 중국의 고사를 인용하여 시상을 전개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패현(沛縣)은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의 고향인데, 여기서는 고려 태조가 군사를 일으켜 고려를 창건한 일을 한고조에 비유한 것이다. 항우(項羽)는 함양에 들어가서 진(秦)의 황실(皇室)을 멸족시키고 궁실(宮室) 등을 모두 불태워 잿더미로 만들었는데, 궁예(弓裔)[?~918]가 세운 후고구려가 멸망한 것을 진나라의 멸망에 비유한 것이다. 또한 고소대(姑蘇臺)는 춘추시대 오왕(吳王) 부차(夫差)의 대(臺) 이름으로, 부차는 고소산(姑蘇山) 위에 고소대를 짓고 날마다 서시(西施)와 함께 즐기다가 끝내 월나라의 침공을 받아 멸망하였는데, 여기에 궁예를 빗대었다.

[참고문헌]
  • 성현(成俔), 김종태 외 역, 『허백당집(虛白堂集)』(한국고전번역원, 2008~20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