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0008
한자
영어의미역 Mount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집필자 조헌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에 분포되어 있는 주변에 비해 높이 솟은 봉우리.

[개설]

충주는 동부 태백산지, 북서부 차령산지, 남동부 소백산지로 둘러싸인 분지의 형상을 띤 지역으로 산지의 비중이 높다. 그에 따라 산지가 해체되는 과정에서 솟아 있는 다양한 고도의 산들이 곳곳에 자리 잡고 있다. 규모는 대체로 300~1,000m에 이르는 중·저산성 산지들이며, 충주시 경계부로 갈수록 높고 분지 내부에 가까울수록 구릉성 산지가 중심을 이룬다.

각 산지 권역의 구분은 대체로 남한강달천을 경계로 나누어 진다. 통상 남한강 본류를 기준으로 북동부는 태백산지, 남한강달천의 남동부는 소백산지, 남한강~달천 서편은 차령산지로 볼 수 있다. 다만 충주시 북부 소태면 일대의 산지는 해발고도와 방향, 지질 등을 고려할 때 차령산지의 일부로 포함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달천 서편의 주덕~대소원면에 위치한 어래산~고양봉~풍류산 일대는 달천의 유로와는 관계없이 소백산지로 분류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산줄기 체계와 분수계 등을 고려하여 차령산지로 포함시키기로 한다.

[동부 태백산지]

신생대 제3기 동해 지각의 확대에 따라 비대칭으로 융기하면서 경동성 산지를 이룬 태백산지는 동해안에서부터 춘천~원주~충주를 잇는 선에 이르기까지 약 80~100㎞의 폭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 충주 동부까지 이어지는 이 산지는 600~800m 고도에 걸쳐 남북으로 뻗어 있어 지역 간 연결에 상당한 지형적 장애물 역할을 한다. 내부 산줄기들은 크게 두 갈래로 구분될 수 있다.

서쪽 산줄기는 충주와 제천의 경계부를 따라서 옥녀봉[730m], 오청산[655m], 천등산[807m], 인등산[666m], 지등산[535m], 주봉산[643m]이 남북으로 뻗어 있다. 다른 하나는 충주호를 건너 동쪽으로 대덕산[577m], 마미산[601m], 부산[780m]이 높게 솟아 있다. 이는 북쪽으로 제천시에 속하는 시랑산[691m], 박달재, 구학산[971m]과 연결된다. 그리하여 제천, 단양 지역으로 가려면 이들 산지 사이의 고개나 남한강변 협곡 또한 충주호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동부 산지의 암석 구성을 살펴 보면, 옥녀봉이나 오청산은 흑운모화강암류, 천등산 일대는 화강암질편마암, 주봉산 일대는 옥천계 퇴적변성암인 황강리층이 분포한다. 하지만 이러한 암상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산지 경관은 급사면에 토양과 식생이 고루 덮인 토산(土山)으로 발달한다는 점이다. 이중 박달재와 함께 잘 알려져 있는 천등산은 편마암류로 구성되어 있어 체적이 크고 식생 밀도도 높은 산이다.

[남동부 소백산지]

남동부 소백산지는 충주시 동부에서 살미면수안보면에 걸쳐 있는 곳으로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고도의 산지군을 이룬다. 크게 북동-남서 방향으로 펼쳐진 두 개의 산줄기가 존재한다.

하나는 문경시·괴산군과 경계를 이루는 수안보면 일대로서, 소백산지 본줄기에 해당하는 산지들이 900~1,000m에 이르는 고도로 솟아 있다. 포암산[962m], 신선봉[968m]을 비롯하여 월악산국립공원에 인접해 있는 석문봉[935m], 대미산[678m] 등이 해당된다. 이 중 포암산신선봉으로 이어지는 동-서 산줄기는 중생대 백악기 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월악산지와 함께 암괴 노출이 심한 석산(石山)의 모습을 띤다.

특히 포암산은 수십 미터가 넘는 규모의 대규모 화강암 도움 형태의 암괴가 웅장한 장관을 보인다. 이들은 토양과 식생이 고루 덮인 토산의 비중이 높은 충주 지역에서 보기 드문 화강암 석산의 성격을 지닌다. 이와는 달리 석문봉과 대미산은 월악산국립공원에 가깝지만 옥천계 퇴적변성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산체는 크지만 암괴의 노출은 미약한 편이다.

반면 다른 하나는 계명산[775m]~남산[636m]~대림산[489m]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로 충주 시가지를 둘러싸고 있어 충주의 ‘진산’으로도 불린다. 이들은 해발 500~700m 고도로 소백산지 본줄기에 비해 다소 낮다. 전체적으로 충주댐 부근에서 살미면 수주팔봉 부근까지 북동-남서 방향으로 펼쳐져 있지만, 동-서 구조선에 의해 절단되어 형성된 낮은 고개들에 의해 구분된다. 계명산남산 사이는 마지막재, 남산대림산은 발치를 경계로 하여 마주보고 있다. 실제로는 대림산에서 달천을 건너 고양산, 풍류산까지 이어진다.

이 3개의 산들은 충주분지를 바로 옆에서 감싸는 일종의 보좌관 형상을 하며 충주시를 내려다 보고 있다. 그리하여 충주 시민들의 등산 코스이자 휴식처가 되고 있다. 또한 계명산층이라 불리는 흑운모석영편마암류로 이루어져 있어 규모는 작지만 토양과 식생이 고루 덮여 생태적으로 매우 우수한 가치를 지닌다. 충주호반에 있는 계명산자연휴양림은 바로 이러한 토산의 환경을 활용한 좋은 사례이다.

충주를 둘러싼 산들의 지형적 특징은 과거 수도가 입지할 만한 공간 규모로는 양호하나, 화강암의 석산들로 둘러싸여 홍수의 위험이 높고 수량이 빈약한 서울 청계천 분지와는 상반된 의미를 갖춘 땅이라 할 수 있다. 즉, 청계천은 갈수기에 메말라 중랑천이나 한강의 물을 끌어와 보충하고 있으나, 충주 시내를 흐르는 교현천이나 충주천은 최소한의 유량이라도 흐르는 소하천이다. 이는 자연 하천으로의 복원시 좀 더 유리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서부 차령산지]

충주시 서부 지역에 펼쳐진 차령산지는 약 300~800m 고도대를 형성하는 중·저산성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동부 태백산지나 남동부 소백산지에 비해 산지의 규모도 작고 해체 정도도 심하여 연속성은 비교적 떨어진다. 암석 분포는 크게 편마암과 화강암 산지로 이분화되어 있다. 대체로 음성군과 여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서쪽 산지는 선캄브리아기 호상편마암이나 화강암질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좀 더 높은 고도대의 산들이 분포한다. 북쪽부터 오갑산[607m], 원통산[645m], 행덕산[447m], 수레의산[679m], 부용산[644m]이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어느 정도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차령산지 본줄기로부터 동쪽으로 뻗어 나온 지맥에서도 여러 산들이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산 동쪽으로는 과거 명성황후가 잠시 피신해 내려와 한양을 바라보기 위해 자주 올랐다는 국망산[770m]을 비롯하여 수룡폭포가 기슭에 자리잡은 보련산[765m]이 해당되며, 수레의산에서 뻗어 나온 자주봉[484m], 부용산에서 이어지는 가섭산[710m]도 편마암이 혼재된 산이다. 이들은 모두 산지 경사가 급하고 험한 편이지만, 표층 풍화가 진행되며 형성된 얇은 토양층으로 덮여 있어 식생 밀도가 높은 편이다.

이와는 달리 남한강이나 달천에 인접한 차령산지의 지맥들은 대부분 화강암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의 산지 해체를 주도하고 있는 동-서 구조선을 따라서는 앙성천·한포천·요도천이 흐르는데, 각 하곡에 펼쳐진 비교적 넓고 긴 곡저평야가 발달한 점도 화강암이 분포하기 때문이다. 이 하천들 사이에 남아 있는 주요 화강암의 구릉성 산지로는 앙성면치마산[440m], 노은면중앙탑면 일대에 걸쳐 있는 을궁산[394m], 장미산[336m]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남한강 건너 북부 소태면~엄정면 일대에도 낮은 화강암 산지들이 펼쳐져 있다. 이곳은 남북 방향 구조선을 따라 오량천·구룡천·논강천·원곡천 등이 흐르며, 그 사이로 남은 화강암 산들이 여러 갈래로 뻗어 있다. 소태면에는 응봉산[300m], 청계봉[398m], 국사봉[508m], 엄정면에는 갈미봉[550m], 장병산[408m] 등이 위치해 있다. 이들은 화강암 산들이 대부분이지만, 간간이 편마암류와 혼재된 경우도 적지 않다. 다만 특징적인 점은 화강암 산지임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식생 밀도가 높은 준 토산의 환경을 이룬다는 것이다.

[특징]

충주 지역에 펼쳐진 다양한 고도의 산들은 강원도 태백산지에 비해 규모나 체적이 크고 연속적이지는 않다. 이는 한반도 중부 지방에서 충주가 위치한 곳이 평야와 저산성 산지로 이루어진 서부와 융기된 높은 산지가 많은 동부 지역의 점이대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즉 충주는 단순 한반도의 ‘중원’일 뿐 아니라, 지형적으로도 서부 평야대와 동부 태백산지의 중간 지점에 있다.

또한 충주의 산들은 대체로 남동부 끝에 위치한 포암산이나 신선봉, 충주분지 한 가운데 남한강달천의 합류점에 인접한 대문산(탄금대)을 제외하고는 대규모 암괴 노출 없이 식생이 무성한 토산(土山)의 경관을 보인다. 이는 편마암·퇴적변성암·화강암 등 암석 분포에 관계없이 일관된 양상이다.

이러한 산지의 환경은 생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집중 호우의 충격을 흡수해 주는 녹색 댐 효과를 지니고 있음은 물론, 영양 염류가 풍부한 토양에서 공급된 물이 주변 농경지를 적셔 줌으로써 자족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남한강달천이 만나는 자리에 형성된 충주평야(달천평야), 영덕천 유역의 엄정~산척평야, 한포천에 있는 노은평야, 요도천 중류의 주덕평야는 서해안을 따라 분포하는 대규모 평야는 아니지만, 그에 못지않은 내륙의 생활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화강암 벌판인 구례분지가 녹색 댐 효과가 좋은 지리산지를 끼고 있어 좋은 땅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것도 위와 같은 면을 고루 갖추고 있음에 가능하다. 강원도 춘천분지와 주변의 편마암 토산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다. 즉, 산간 분지나 넓은 평야가 많은 생활 공간이라 할지라도, 이곳을 감싸 주는 배후 산지의 생태적 능력이 떨어진다면 금상첨화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