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1985
한자 忠州倉洞里磨崖如來像
영어의미역 Rock Cliff Buddha in Chungju Changdong-ri
이칭/별칭 창동 마애여래불상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창동리 243-7[청금로 112-6]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김춘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0년 11월 13일연표보기 -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마애불상
제작시기/일시 고려시대
제작지역 충주
재질 미상
높이 400㎝
소장처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창동리 243-7[청금로 112-6]지도보기
소유자 충주시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창동리 남한강변의 암벽 위에 조각된 고려시대 마애불상.

[개설]

창동리 남한강변의 암벽 위에 얕은 부조로 조각된 마애불로 동남향을 향하고 있으며 높이는 4m이다. 불상의 중앙 부분이 철 성분으로 인해 붉은색을 띠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임진왜란 때 탄금대에서 왜군과 격전하다 분패·전사한 신립(申砬) 장군의 피눈물이라는 전설이 전하고 있다.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 근처는 조선시대에 금천나루터가 있었던 곳으로, 이중환이 쓴 『택리지(擇里志)』에 의하면 금천나루터는 “영남의 물산을 받아들이고 서북으로 한양의 생선과 소금을 받아들여 여염집이 즐비하였다. 마치 한양의 강마을처럼 배의 고물과 고물이 잇닿아 늘어서 하나의 커다란 도회를 이루었다.”고 표현하고 있을 정도로 마애불 주변은 당시 번창한 곳이었다고 한다.

[형태]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은 강을 향한 암벽 위에 얕은 부조로 조각된 거대한 마애불이다. 바위의 박락이 있고 또 표현도 부정확하여 잘 알 수 없으나, 좌불이 아닌가 생각되며 하부에 연화좌가 보인다. 머리와 얼굴 부분은 낮게 양각하였으며 어깨 이하는 거의 음각선으로 처리하였다. 머리는 소발이며 얼굴은 살이 쪄 풍만한 모습으로 나타냈고 코도 큼직하게 표현되었다.

귀는 길게 나타내어 어깨에 닿아 있고 머리에 비해 양 어깨는 좁고 목에는 삼도가 또렷하다. 눈썹은 동그랗게 표현되어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눈은 일직선으로 표현하였다. 눈꼬리는 찢어진 듯하고 입가에 미소가 없어 근엄한 인상을 풍긴다. 법의는 통견으로 가슴 앞에서 시작한 U자형의 옷주름은 무릎 아래까지 겹겹이 흘러내리고 있다. 옷주름은 도드라진 선으로 구불구불하게 나타내어 몸 전체를 구름에 쌓인 듯이 표현하였다. 수인은 전혀 표현되지 않았고 언뜻 보기에 상호 부분 등이 채색되어 있는 듯하나, 이는 바위에 있는 철 성분 때문으로 보인다.

[특징]

삼국시대에 조성되었다는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과는 조성 기법이 전혀 다르다. 햇골산 마애불은 돋을새김을 하였지만 이 마애불은 선각에 가까워서 불상 전체의 모습을 단번에 파악하기가 힘들 정도이다. 어깨 이하는 선각인데 이런 기법은 덕주사 마애불과 같다. 불신의 표현에서 옷주름선을 도드라진 선으로 조각한 것도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은 바위의 박락이 있고 어깨 아래의 표현은 선각으로 부정확하여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규모가 거대한 불상이다. 전체적으로 얕은 부조로 조각하고 손을 표현하지 않는 등 고려시대 지방색이 나타나는 마애불로 추정된다. 또한 강물 위에 뜬 배에서 바라보아야 하는 독특한 위치에 조성된 것으로 보아, 수운의 안녕을 기원하며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1980년 11월 13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04.20 항목명 수정 중원 창동 마애불->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으로 수정(2015.4.20)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