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충주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0509
한자 忠州鎭
영어의미역 Chungju-jin Fort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설연도/일시 1458년연표보기
폐지연도/일시 1555년연표보기
상위관서 충청도 병마절도사

[정의]

조선 전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시행된 지방 군제.

[개설]

조선 전기의 지방군은 육수군(陸守軍)과 기선군(騎船軍)으로 대별되고, 육수군 안에는 일반 농민들이 군역으로 번상숙위(番上宿衛)하는 시위패(侍衛牌)와 영진군(營鎭軍), 수성군(守城軍) 등이 있었다. 영진군은 마병으로, 수성군은 주로 보병으로 편제되어 있었으며, 그 대우도 매우 열악한 상태였다. 이외에도 능이나 특수 지역을 방어하는 수호군(守護軍)과 예비군인 잡색군(雜色軍) 등이 있었다.

[설립경위 및 목적]

조선 전기 지방군제는 고려의 군제를 답습하였으나, 태종 이후 도절제사가 파견되는 영(營)과 첨절제사가 파견되는 진(鎭)이 정비되어 새로운 체제의 지방군인 영진군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진군의 체제는 주현의 방어가 소홀해지는 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고려 이래 국경에 설치되었던 군익체제(軍翼體制)를 1455년(세조 1) 이후 전국적으로 확장했다.

이에 행정상의 각 도를 몇 개의 군익도로 나누고, 그 군익도마다 거진(巨鎭)을 설치하여, 이를 중익·좌익·우익의 3익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군익제도는 1457년(세조 3)에 주요 지역을 거진으로 하되 나머지 주변 지역의 여러 진을 그에 속하도록 하는 진관체제로 개편되었다. 진관체제는 평상시에는 주진의 통제를 받았으나 유사시에는 독자적인 작전권을 행사하여 하나의 진관이 패퇴하면 다른 진관이 방위의 공백을 메워서 싸우는 연계적인 체제로 형성되었다.

1458년(세조 4)에 전국에 진을 설치하면서 그 수령의 직함을 주진(主鎭)은 당상관으로 모주진병마절제사(某州鎭兵馬節制使)라 하고, 3품은 첨절제사(僉節制使), 4품은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라 했으며, 읍에 소속된 곳은 병마단련사(兵馬團練使), 부사(副使), 판관(判官)이라 칭했다.

[조직 및 담당직무]

1458년(세조 4) 충주에도 진을 두고 진관(鎭管)은 충주목사가 겸하면서 충주지휘관의 직함을 종3품인 충주진병마첨절제사(忠州鎭兵馬僉節制使)라 했다. 충주진 관할의 청풍·단양·괴산군에서는 종4품의 군수가 각각 병마동첨절제사가 되었고, 연풍·음성·영춘·제천현에서는 종 6품의 현감이 각각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가 되어 그 직을 겸했다.

[변천]

1466년(세조 12)에 완성된 진관체제는 전국을 방위지대로 조직화되어 실제 방어에 있어서는 오히려 무력함이 나타나 그 기능을 상실해갔다. 또한 지방군은 군역을 마치면 농민으로 돌아가 일반 국민으로서 요역의 부담을 져야 했다. 이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보인(保人)이 설정되어 있었으나, 군역 부담을 지원해 주던 보인의 수가 감소되고 지주전호제가 확대됨에 따라 농민들의 경제가 어렵게 되면서 군사의 부담능력을 더욱 가중시켰다.

이와 같은 불합리를 해결하기 위해 방군수포(放軍收布)를 실시하여 장정들에게서 포를 거두어 이것을 재원으로 군대를 양성함으로써 농민들이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방군의 대가로서 받는 포가 군사적인 목적에 쓰이지 않고 오히려 지방 재정을 충당하는 수단이 되었으며, 농민들은 전세·공물·진상물·요역 등에 동원되면서 생활이 더욱 어려워졌다.

또한 정병에게 주어진 보인의 도망과 유리(流離)가 더욱 심해짐으로써 농민들은 보인의 부담까지 져야 하는 불합리까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진관체제는 정규군이 남아 있든 없든 간에 서서히 그 군사적 기능을 상실해 갔다. 이러한 진관체제는 성종 이후에 북방 야인과 남방 왜인의 침입경로와 수단이 비교적 일정하게 되풀이되었다는 데서 계기가 되어 일정한 변방 요새지에 군사를 집결시켜 적을 방비할 수 있는 방어체제, 이른바 제승방략(制勝方略)의 응급적인 분군법(分軍法)으로 대체되어 갔다.

이 제승방략은 중종 때의 삼포왜란 때 시도하여 1555년(명종 10) 을묘왜변 이후 시행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같은 대규모의 전면전에서는 이것마저 제 구실을 하지 못함에 따라 유성룡(柳成龍)에 의해 진관체제의 재정비론이 거론되었고, 16세기 이후 지방에는 속오군(束伍軍)이 설치되었다.

[의의와 평가]

충주진을 두었던 진관체제는 각 행정구역이 자치적으로 군사적 기능을 담당하고 수령의 지휘하에 지형적 특성에 맞는 작전을 구사할 수 있었다. 또, 한 진관이 패퇴하면 다른 진관이 그 공백을 메워서 싸우기 때문에 연계적인 체제로 형성돼 방어에 유리하였다. 그러나 진관체제는 병농일치를 기반으로 성립하는 것이므로 자영농이 몰락하면서 자연스럽게 군사의 군역 부담을 지원해 주던 보인(保人)의 수도 감소하게 되었다. 이는 곧 자연부락을 단위로 성립한 행정체제의 변질을 가져오게 돼 진관체제의 몰락을 더욱 부추겼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