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747
한자 太田洞
영어공식명칭 Taejeon-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영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81년연표보기 - 대구직할시 북구 태전동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대구직할시 북구 태전동에서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으로 개설
성격 법정동
면적 4.41㎢
가구수 21,229세대
인구[남/여] 47,205명[남자 23,441명|여자 23,764명]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태전동(太田洞)은 대구광역시 북구 법정동 31개 중 하나이다.

자연 마을로는 가죽진, 강정마을, 두전리마을, 삼거리, 수평[쇠평, 수피이], 지당(芝塘), 마실골짝못, 작은이매(理梅), 큰 이매 등이 있다. 강정마을은 팔거천의 맑은 강물을 정자에서 조망하는 것처럼 전망이 좋은 마을이라는 데에서 유래한다. 두전리마을은 주변에 콩밭이 많은 마을이라는 의미다. 수평은 ‘금편(金片)마을’ 또는 ‘금조각’으로도 불렸다. 마을 숲 속에 소규모 철광산이 있어 ‘쇠평’으로도 불렸다고 한다.

[명칭 유래]

북서쪽에 있는 태복산[194.2m] 아래 콩밭이 많아 태복산의 ‘태(太)’와 콩밭의 밭 ‘전(田)’을 따서 ‘태전동’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겨났다.

[형성 및 변천]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이었던 지역이다. 1981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칠곡군 칠곡읍 전역이 북구로 편입되면서 대구직할시 북구 태전동이 되었다. 1994년 읍내동, 관음동, 동천동 각각 일부를 태전동으로 넘겨 동 경계를 조정하였다. 행정구역 명칭 변경으로 1995년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이 되었다. 또한 동천동 일부를 태전동으로, 태전동 일부를 구암동으로 넘겨 동 경계를 조정하여 칠곡1동을 칠곡1동과 태전동으로 나누었다. 1996년 구암동 일부를 태전동으로, 1997년 관음동 일부를 태전동으로 넘겨 동 경계를 조정하였다. 법정동인 태전동은 행정동인 태전1동태전2동으로 구성된다.

[자연환경]

태전동은 중앙부 팔거천 충적지를 기준으로 북서부 구릉성 산지와 남동부 구릉성 산지로 구분된다. 중앙부 충적지는 팔거천의 범람으로 이루어진 충적토로 비옥하여 논과 밭농사가 이루어져 왔으나 현재는 도시화로 인해 시가지로 변했다.

태복산이 위치하는 구역 북서부 구릉성 산지는 중생대 백악기 하양층군의 칠곡층으로 주로 이암, 세일, 사암 등으로 구성된다. 남동부 구릉성 산지는 중생대 백악기 신라통의 신라역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침식에 비교적 강하다.

[현황]

태전동의 면적은 4.41㎢이며, 인구는 2021년 9월 30일 현재 총 2만 1229가구에 4만 7205명[남자 2만 3441명, 여자 2만 3764명, 외국인 제외]이다. 북구 매천동, 칠곡군 지천면, 북구 관음동·읍내동·구암동·노곡동 등지와 경계를 이룬다. 태전동 남북으로 매천로, 태전로, 칠곡중앙대로, 팔거천서로, 대구도시철도 3호선[매천역, 태전역, 구암역, 칠곡운암역], 학정로가 통과한다. 서쪽은 중앙고속도로, 북쪽은 구암로가 통과하고 있어 접근성이 좋다.

주요 공공시설로는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강북고등학교, 매천고등학교, 영송여자고등학교, 관천중학교, 매천중학교, 대구관천초등학교, 대구태암초등학교, 대구태전초등학교, 대구태현초등학교, 대구운전면허시험장 등이 있다. 태전동 북쪽에 있는 태전공원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공원이 곳곳에 분포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