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677
한자 莒隱齋
영어공식명칭 Geoeunjae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길 45-11[국우동 654]
시대 조선/조선 후기,현대/현대
집필자 김충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훼철|철거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거은재 소실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2년 - 거은재 중창
현 소재지 거은재 -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길 45-11[국우동 654]지도보기
성격 재실
양식 현대식 적벽돌 와가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1칸
소유자 청주양씨 팔거 종중
관리자 청주양씨 팔거 종중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양관을 추모하는 재실.

[개설]

거은재(莒隱齋)는 조선 후기의 학자 거은(莒隱) 양관(楊綰)[1618~1680]을 기리기 위하여 청주양씨(淸州楊氏) 팔거(八莒)[현 북구 국우동·동천동 일대] 종중에서 건립한 추모 재실이다. 양관은 1618년(광해군 10)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천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팔거로 이주하여 청주양씨 팔거 입향조가 되었다. 양관은 팔거에 은거하며 살겠다는 뜻으로 호를 ‘거은’이라고 하였는데, 오늘날 국우동 일대의 청주양씨는 모두 양관의 후손이다.

청주양씨가 대구 지역에 세거하게 된 것은 양관의 할아버지 남재(南齋) 양득효(楊得孝)[1572~1645] 때부터이다. 양득효는 용양위(龍讓衛) 소속으로 대구진에 배치되었을 때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1550~1615]에게 수학하면서 서사원의 사위가 되었고, 지금의 달성군 다사읍에 정착하였다.

[위치]

거은재북구 국우동 654에 있다.

[변천]

거은재는 조선 후기에 지은 목조 건물이었는데, 1989년에 일어난 화재로 소실되었다. 1992년에 원래 자리에 다시 건립하였다.

[형태]

거은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현대식 적벽돌 기와집이다.

[현황]

거은재는 양관을 추모하는 재실이자 청주양씨 팔거 종중의 종회당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