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5235
한자 慶北大學校
영어공식명칭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산격동 1370-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보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교 시기/일시 1946년 9월연표보기 - 경북대학교 개교
개칭 시기/일시 1951년 10월 - 대구사범대학, 대구의과대학, 대구농과대학에서 국립 경북대학교로 개편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3년 5월 - 경북대학교 대학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9년 3월 -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0년 3월 -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2년 3월 - 경북대학교 경상대학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9년 3월 -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3월 -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3월 - 경북대학교 경영대학원과 보건대학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3월 -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을 인문사회과학대학과 자연과학대학으로 분리 개편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2년 3월 -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2년 3월 - 경북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을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으로 분리 개편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2년 3월 - 경북대학교 법정대학을 법과대학으로 개편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5년 3월 -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8년 3월 -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3월 -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1월 - 경북대학교 국제대학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0년 3월 -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과 자율전공부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3월 -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3월 -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5년 3월 -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폐지 후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체제 전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6년 3월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폐지 후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체제 전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3월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와 상주대학교 통합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9년 3월 -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을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경북대학교 IT 대학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경북대학교 글로벌 인재학부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1년 3월 -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설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3월 - 경북대학교 이공대학을 과학기술대학으로 개편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2년 3월 - 경북대학교 행정학부를 독립학부로 개편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3월 -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폐지 후 의과대학으로 체제 전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3월 -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폐지 후 치과대학으로 체제 전환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3월 - 경북대학교 과학기술생명자원자율학부 설치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경북대학교 교원양성기관평가에서 사범대학 최우수 ‘A등급’ 획득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 경북대학교 한국장학재단 '대학생 청소년 교육 지원사업' 우수 대학으로 선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 경북대학교 기업이 인정한 최우수 대학에 선정
현 소재지 경북대학교 -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80[산격동 1370-1]지도보기
현 소재지 경북대학교 -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대로 2559[가장동 386]
성격 국립 종합대학교
전화 053-950-5114
홈페이지 http://www.knu.ac.kr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는 국립 대학.

[교육 목표(교훈 포함)]

경북대학교의 교시는 ‘진리, 긍지, 봉사’이다. 첨성대를 세운 신라인의 정신을 바탕으로 미래를 개척하고 세계를 주도하는 창의적인 인재 ‘첨성인(瞻星人)’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경북대학교는 ‘첨성인(瞻星人)’을 육성하고자 여섯 가지 핵심역량을 설정하여 이에 맞게 교육과정을 개편, 학사 제도를 개선하고 있다. 여섯 가지 핵심역량은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의 교육 혁신, 글로벌 선도 연구 경쟁력 확보, 특성화를 통한 대학 경쟁력 확보, 차세대 국가 발전 인재 양성, 지역과 협력하고 소통하는 대학, 국내외 교류 활성화 등이다.

[변천]

경북대학교는 1946년 9월 대구사범대학, 대구의과대학, 대구농과대학이 국립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51년 10월 국립 경북대학교로 개편[사범대학, 의과대학, 농과대학, 문리과대학, 법정대학]되었다.

1953년 5월 대학원을 설치하였으며, 1969년 3월 교육대학원을 설치하고, 1970년 3월 공과대학이 설치되었다. 1972년 3월 경상대학 설치, 1979년 3월 치과대학 설치, 1980년 3월 행정대학원이 설치되었다. 1981년 3월 경영대학원과 보건대학원이 설치되었으며, 문리과대학을 인문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으로 분리 개편하였다. 1982년 3월 예술대학을 설치하였으며, 인문사회과학대학을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으로 분리 개편하였고, 법정대학을 법과대학으로 개편하였다. 1985년 3월 산업대학원 설치, 1988년 3월 수의과대학을 설치하였다. 1992년 3월 농업개발대학원 설치, 1996년 11월 국제대학원을 설치하였다.

2000년 3월 정책정보대학원과 자율전공부를 설치하고, 2003년 3월 수사과학대학원을 설치하였다. 2005년 3월 간호대학을 설치하였으며, 치과대학을 폐지하고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체제를 전환하였다. 2006년 3월 의과대학을 폐지하고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체제를 전환하였다.

그리고 2008년 3월 경북대학교와 상주대학교를 통합하였으며, 2009년 3월 법학전문대학원을 설치하였다. 2010년 IT 대학과 글로벌 인재학부를 설치하였으며, 2011년 3월 약학대학을 설치하였다. 2012년 3월 이공대학을 과학기술대학으로 개편하였으며, 행정학부를 독립학부로 개편하였다. 2015년 3월 의학전문대학원과 치의학전문대학원을 폐지하고 각각 의과대학과 치과대학으로 체제를 전환하였다. 그리고 2015년 3월 과학기술생명자원자율학부를 설치하였다.

[교육 활동]

경북대학교는 2014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대학 특성화 사업[CK 사업,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에 선정되었다. 대학 특성화 사업은 지역사회의 수요와 특성을 고려하여 강점 분야를 중점적으로 키우는 사업으로 7개 사업단[지역 전략 사업 1개, 국가 지원사업 4개, 대학 자율 사업 2개 등]이 선정되었다. 2014년 교육부가 추진하는 ‘지역선도대학 육성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2015년에는 경북대학교와 대구광역시가 추진하는 ‘안전·편의 서비스용 스마트 드론 활용 기술 기반 구축 사업’이 선정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2015년 산업거점기관 지원 사업’ 대상에 5년간 지원 기관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교육부에서 주관한 2015년 ‘고교교육 기여 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었으며,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속 6년간 선정되었다.

경북대학교는 2016년 국립대학으로서의 역할 및 기능 정립, 그리고 외부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 강화를 위하여 교육부의 재정지원 사업인 ‘국립대학 혁신 지원사업[PoINT]’을 통하여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 개선과 대학 운영체제의 선진화를 추진하였고, 대학 회계 재정의 건전성·효율성을 제고하였다. 2016년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CK-Ⅰ: University for Creative Korea -Ⅰ] 재선정 평가에서 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수학과로 이루어진 ‘수리융합형 지능기계 스마트인재 양성 사업단’이 자율 유형의 신규 사업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2018년에는 ‘창업선도대학 육성 사업’ 주관 기관으로 확정[3년간] 되었으며, 2019년에는 교육부에서 주관한 ‘2019년 지역선도대학 육성 사업’에 선정되었다. 2019년에는 교육부의 대학 기본 역량 진단 자율개선대학에 선정[2019년~2023년]되었으며,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추진하는 휴스타(HuStar) 혁신 대학 사업에 2개 사업단[로봇·ICT]이 선정되었다. 2020년 대구·경북권역 대학원 원격교육 지원 센터에 선정[2020년~2025년, 6년간]되었고, 4단계 두뇌한국[BK21] 대학원 혁신 지원사업에 선정[2020년~2027년, 7년간]되었다. 4단계 BK21 사업은 21개 교육 연구단 및 교육 연구팀이 선정[2020년~2027년, 7년간]되어 지원을 받게 된다.

경북대학교는 총 66개국, 541개 대학교와 교류하고 있으며, 국제화 프로그램으로 교환학생, 복수 학위제, 해외 인턴, 글로벌 챌린지, 글로벌리더십 프로그램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경북대학교는 2015년 교원양성기관평가에서 사범대학 최우수 ‘A등급’을 획득하였으며, 2016년에는 한국장학재단 '대학생 청소년 교육 지원사업' 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고, 2016년 기업이 인정한 최우수 대학에 선정[교육부 2015년 산업계 관점 대학 평가 금속, 게임 등 2개 분야 최우수 대학]되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고병간/작곡 현제명]

1절: 팔공산 높이 솟고 낙동강 물은 맑다/여기 화랑이 놀던 서라벌 옛 터전에/세기의 횃불처럼 세기의 횃불처럼/아 아 조국을 안고 우리들 일어섰다/진선미와 더불어 자금의 빛갈이여/자유의 종은 운다 경대 - 우리 모교

2절: 진리를 탐구하고 인격을 연마하는/여기 숭고한 이상 벅차는 가슴 속에/사랑의 화살처럼 사랑의 화살처럼/아 아 희망을 안고 내닫는 넋이 있다/진선미와 더불어 새로운 첨성대여/청춘의 힘은 뛴다 경대 - 우리 모교

2. 교화는 감꽃이다. 학교 지역에 감 생산이 많았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3. 상징 동물은 호반우이다. 호반우는 역사성, 봉사성, 상징성의 의미를 지닌다. 호반우는 인간친화적인 동물로 1600년 전 고구려 고분[안악3호]에 그려져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경북대학교의 오랜 역사와 일맥상통한다. 또한, 호반우는 농경의 역사와 함께 한 동물로서 끈기, 성실함, 봉사의 표상이다. 호반우는 우리 고유의 전통소로 순박함과 강건함을 동시에 갖추었으며, 경북대학교 인재 양성의 목표와도 부합하는 상징성을 갖는다.

[현황]

경북대학교 교지는 총 138만 427㎡이다. 대구캠퍼스 교지는 82만 8562㎡이며, 상주캠퍼스 교지는 51만 8368㎡, 부설초등학교 교지는 9,578㎡, 부설중고등학교 교지는 23,919㎡이다.

2020년 10월 제19대 총장에 홍원화 박사가 취임하였으며, 2021년 10월 1일 기준 재적학생 수는 3만 4099명[대학 2만 8027명, 대학원 6,072명]이다.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370-1에 있으며,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는 경상북도 상주시 가장동 386에 있다.

2021년 기준, 경북대학교 는 17개 대학[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 IT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예술대학, 사범대학, 의과대학, 치과대학, 수의과대학, 생활과학대학, 간호대학, 약학대학, 생태환경대학, 과학기술대학]과 2개의 독립학부[행정학부, 자율전공부]가 있다. 일반대학원은 석사과정 학과수 119개, 박사과정 학과수 108개이다. 그리고 전문대학원 1개[법학전문대학원]와 특수대학원 10개[경영대학원, 과학기술대학원, 교육대학원, 국제대학원, 보건대학원, 산업대학원, 수사과학대학원, 스마트농생명식품융합대학원, 정책정보대학원, 행정대학원]가 있다. 기본 시설은 교양교육센터, 국제교류처, 도서관, 연구산학처, 학습지원센터가 있으며, 지원 및 부속시설은 공동실험실습관, 미술관, 박물관, 보건진료소, 생활관, 언어교육센터, 인권센터, 인재개발원, 자연사박물관, 학생상담센터, 평생교육원, IT교육센터, LINC사업단 등이며, 대학 본부가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22 오타수정 경성대학을 경상대학으로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