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5376
한자 大邱大學校 大明洞-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대구광역시 남구 성당로50길 33[대명동 228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보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57년 3월 29일연표보기 - 한국사회사업학교 설립인가
개칭 시기/일시 1961년 2월 4일연표보기 - 한국사회사업학교에서 한국사회사업대학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79년 12월 13일연표보기 - 한국사회사업대학에서 한사대학으로 개칭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7월 31일 - 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 대구대학교 종합대학교로 승격
개칭 시기/일시 1981년 10월 20일연표보기 - 한사대학에서 대구대학교로 개칭
이전 시기/일시 1982년 1월 5일 - 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 일부를 경산캠퍼스로 이전
최초 설립지 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 - 대구광역시 남구 성당로50길 33[대명동 2288]
현 소재지 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 - 대구광역시 남구 성당로50길 33[대명동 2288]지도보기
성격 사립대학교
전화 053-850-5000
홈페이지 http://www.daegu.ac.kr

[정의]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있는 대구대학교의 캠퍼스.

[교육 목표(교훈 포함)]

대구대학교는 사랑, 빛, 자유의 건학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큰 뜻을 품어라’라는 교훈은 인간애의 정신적 바탕 위에 만인의 복지와 개인의 행복을 조화시킬 수 있는 높은 이상과 실천의 힘을 가진 인재가 되어 국가와 사회를 위하여 헌신하자는 뜻이다.

[변천]

대구대학교는 1956년 5월 1일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2288에 한국이공학원으로 설립하였다. 1957년 3월 29일 한국사회사업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았다. 1961년 2월 4일 한국사회사업대학[4년제]으로 승격되었으며 초대 학장으로 이영식 목사가 취임하였다. 1964년 1월 21일 한국사회사업대학[4년제]으로 재설립 인가를 받았다. 1979년 3월 1일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15의 경산캠퍼스로 이전하였으며, 1979년 12월 13일 한국사회사업대학에서 한사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1년 7월 31일 종합대학교로 승격되면서 1981년 10월 20일 대구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2년 1월 5일에는 캠퍼스 일부[대구캠퍼스에는 인문대학, 사범대학, 대학원, 사회개발대학원, 야간강좌개설학과, 경산캠퍼스에는 법정대학, 경상대학, 이공대학, 사회과학대학]를 이전하였다. 1989년 10월 28일 대구대학교 주소를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15로 변경하였다.

대구대학교 대명캠퍼스대구대학교가 처음 개교한 곳이었으나, 현재는 몇 개의 학교 기관과 간호학과, 학교법인 산하 특수학교[보건학교, 영화학교, 덕희학교, 보명학교, 광명학교] 등이 남아 있다.

대구대학교 대명캠퍼스의 변천을 간략히 살펴보면 1975년 8월 6일 대구캠퍼스 사범대 3호관을 준공하였고, 1977년 9월 5일 대구캠퍼스 학생군사교육관, 전국장애기술교육센터, 학생관을 준공하였다. 1978년 3월 28일 대구캠퍼스 재활관을 준공하였고 1979년 5월 30일 대구캠퍼스 학생회관을 준공하였다. 1980년 11월 26일 대구캠퍼스에 생활관[사범대 1호관] 준공 및 중앙도서관을 증축 개관하였으며, 1982년 8월 15일 대구캠퍼스 본관[김덕희 여사 기념관]을 준공하였다. 1983년 2월 16일 대구캠퍼스 대강당을 개관하였다.

1982년부터 캠퍼스 일부를 경산캠퍼스로 옮겨 가기 시작하여, 1984년 3월 1일 미술대학을 경산캠퍼스로 이전하였으며, 1988년 3월 1일 가정대학을 경산캠퍼스로 이전하고, 1996년 3월 1일 야간강좌를 경산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001년 9월 1일에는 사범대학을 경산캠퍼스로 이전하였고, 2009년 4월 8일 재활과학대학을 경산캠퍼스로 이전하면서 대명캠퍼스에 남아 있던 학과 대부분이 경산캠퍼스로 이전하였다.

[교육 활동]

대구대학교 대명캠퍼스에는 현재 간호보건학부 간호학과가 있으며, 간호학과 관련된 교육을 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계택/ 작곡 현인덕]

1절: 아세아주 동쪽끝 저기 저 멀리에/ 찬연히 밝아오는 큰별이 하나/ 땅 위에 묵은 어둠 밝혀보려는/ 대구대 대구대의 젊은이 마음

2절: 사나운 폭풍에도 꿋꿋이 굽히잖고/ 구하라 찾아가라 또 찾아가라/ 더 큰 것 더 좋은 것 더 높은 것을/ 대구대 대구대의 젊은이들아

3절: 구석진 곳에서 잠잠히 꿈을 길러/ 내일 저 거친 광야로 가자/ 사랑과 지혜와 열정을 갖고/ 대구대 대구대의 젊은이들아

2. 교목은 소나무이다. 거친 비바람과 눈보라에도 푸름을 잃지 않는 소나무처럼 늠름하고, 고난과 시련 속에서도 큰 뜻을 품고 ‘사랑·빛·자유’를 실천하는 불굴의 의지를 상징한다,

3. 교화는 백일홍이다. 오랫동안 아름다움을 뽐내는 백일홍같이 대학에서 배운 가르침을 오랫동안 잊지 말고 온 세상을 위하여 실천하라는 의미이다.

4. 상징 동물은 비호이다. ‘포효하며 질주하는 호랑이’처럼, 불굴의 기백과 용맹으로 어떠한 고난과 시련에도 과감히 맞서라는 뜻을 담고 있다.

[현황]

대구대학교는 경산캠퍼스가 본 캠퍼스이며, 대구대학교 학생 수는 2020년 기준 재적학생이 3만 292명이다.

대구대학교 대명캠퍼스에는 현재 대구캠퍼스 본관, 대구캠퍼스 관리센터, 중앙도서관 대구본관, 행정대학원, 재활과학대학원, 산업대학원, 학교법인 영광학원 사무국, 간호학관 등 시설 일부만 남아 있다. 그리고 학교법인 영광학원 산하의 특수학교[보건학교, 영화학교, 덕희학교, 보명학교, 광명학교]가 있다. 대구대학교 대명동캠퍼스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2288에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 대구대학교(http://www.daegu.ac.kr)
  • 대학알리미(http://www.academyinfo.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