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대구사립사범학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285
한자 大邱私立師範學校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06년 3월연표보기 - 대구사립사범학교 설립
성격 근대 학교

[정의]

개항기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에 있었던 사립 교육 기관.

[변천]

대구사립사범학교는 1906년 3월 경상북도관찰사 신태휴가 학교 설립에 매진하라는 대한제국 황제의 칙유와 1,000원의 하사금을 매개로 하여 달성군수 김한정과 함께 관덕정(觀德亭)[관덕당(觀德堂)], 고예재(考藝齋)를 수리하여 개교하였다. 관덕정은 대구읍성의 남문 격인 영남제일관 밖에 있었다. 대구사립사범학교 설립에 참여한 발기인과 기금 조성에 참여한 인사는 다음과 같다.

전 군수 김윤란(金潤蘭), 전 시찰 서상돈(徐相墩), 전 승지 정규옥(鄭圭玉), 전 주사 서병오(徐丙五), 전 의관 이선형(李善炯), 전 참봉 서돈순(徐敦淳), 군수 정재학(鄭在學), 전 승지 서우순(徐佑淳), 전 시종 서상하(徐相夏), 전 승지 서상규(徐相奎), 오위장 최성조(崔聖祚), 부위 이장우(李章雨), 전 참봉 정재래(鄭載來), 전 돈령 곽의견(郭義見), 오위장 이석진(李錫珍), 박치서(朴致瑞), 사인(士人) 이일우(李一雨), 이성옥(李成玉), 주사 최만달(崔萬達), 전주사 서상춘(徐相春) 등이 참여하였다.

참여한 인사들 가운데 다수가 대구 광문사 사원이었고, 더 나아가 대구사립사범학교 설립과 운영을 위한 기금 조성 활동을 계속 벌여 나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