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청화백자 이정여묘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0425
한자 靑畵白瓷 李正輿墓誌
이칭/별칭 청화백자 이정여 묘지석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원재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현 소장처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 369[상도동 511]지도보기
출토|발견지 노은 이정여 무덤 -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갈산 전주 이씨 선영
성격 묘지
양식(문양) 특별한 무늬나 부조 등이 없는 네모난 판 모양
재질 청화백자
크기(높이) 24.0×15.7㎝
소유자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관리자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의 청화백자 묘지.

[개설]

청화백자 이정여 묘지의 주인공인 이정여(李正輿)[1591~1620]의 자는 명부(明夫), 호는 노은(鑪隱)으로 전주 이씨(全州李氏) 노은공파(鑪隱公派)의 시조이다.

이정여세종대왕의 13자인 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 6대손이며, 사헌부 장령을 역임한 동고(東皐) 이수록(李綏祿)[1564~1620]의 차남이자, 영의정을 재임한 문정공(文貞公) 백강(白江) 이경여(李敬輿)[1585~1657]의 동생이다. 부친 이수록은 문장으로 유명하여 동갑내기 문장가인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1635], 남곽(南郭) 박동열(朴東說)[1564~1622]과 함께 세칭 낙양삼갑(洛陽三甲)으로 칭해졌다. 모친은 진천 송씨(鎭川宋氏)로 병조참판에 증직된 송제신(宋濟臣)의 딸인데 어려서부터 장엄하고 법도와 덕행이 있어서 비군자(媲君子)로 칭송되었다.

이정여는 20세인 1610년경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으나 광해군의 폐정(廢政)에 실망하여 벼슬을 포기하였고 1612년 임자옥사(壬子獄事)에 연루되어 체포되었다가 무혐의로 풀려났다. 1620년 30세의 나이로 자식 없이 요절하였다. 이에 형인 이경여의 차남 이민적(李敏迪)이 양자로 입계(入繼)해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서 보관 중인 청화백자 이정여 묘지이정여 사망 직후 양자인 이민적이 청화백자로 제작하여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갈산리에 있는 양부의 무덤에 안장했던 것이다. 372년 만인 1992년 4월 묘지 이장 때 발굴되어 이장에 참여했던 전주 이씨 노은공파 후손에 의해 보관되다가 2004년 3월 이전에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기증되었다. 묘지는 장방형으로 제목은 ‘노은(鑪隱) 이정여(李正輿) 묘지명(墓誌銘)’이고 제목을 포함하여 앞면에 9행 156자의 한자로 가계와 주인공의 성품과 생애 등이 간략히 기록되어 있으며, 뒷면에도 기록이 계속되고 있다.

[형태]

청화백자 이정여 묘지는 장방형 판자 형태의 청화백자로 제작되었으며, 크기는 가로 15.7㎝, 세로 24.0㎝로 가로보다 세로가 좀더 길다.

자기를 만들고 그 위에 붓으로 묵서(墨書)한 뒤에 유약을 바르고 화덕에 구워낸 것으로 전면에 약간의 푸른 빛이 감도는 청화백자 묘지석이다. 앞면에 제목을 포함하여 9행 156자의 한자로 이정여의 가계와 생애 등이 기록되어 있는데, 내용상 뒷면에도 문장이 계속 이어짐을 알 수 있다.

[특징]

조선 시대에 청화백자로 만든 묘지가 서민층에게 널리 보급된 것은 18세기 이후인데, 청화백자 이정여묘지는 이보다 훨씬 앞선 1620년경에 제작된 점을 고려할 때, 이정여의 집안이 경화사족(京華士族)으로서 권세와 재력이 겸비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조선 중기 경화사족의 장례 풍습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청화백자 이정여 묘지는 1620년 이정여 사후에 양자인 이민적이 제작하여 양부의 무덤에 부장한 것이다. 17세기 초반 임진왜란 전후에 피폐된 민생이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시대적 배경을 감안할 때 값비싼 청화백자로 묘지를 만들 정도로 이정여의 집안이 상당한 재력과 사회적 지위가 있었던 경화사족이었음을 확인하여 준다. 그러나 묘지에는 일체의 무늬나 그림 또는 부조가 첨가되지 않고 붓으로 쓴 문장만이 해서체로 반듯하게 기록되어 있어 비교적 간명하고 절제된 느낌을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