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088
한자 黃龍江
영어공식명칭 Hwangnyonggang River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황룡강 -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광주광역시 광산구 유계동
해당 지역 소재지 황룡강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유계동지도보기
성격 하천
면적 564.4㎢[유역 면적]
길이 58.6㎞[유로 연장]|9.41㎞[하천연장]

[정의]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에서 발원하여 전라남도 나주시를 거쳐 광주광역시 광산구를 지나는 하천.

[명칭 유래]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황룡리에 큰 용이 살았다는 용소가 있어 황룡마을이라 하였다. 이 황룡마을은 고대 씨족사회나 부족사회 시대에 그 지역을 다스리는 군장이 살았던 곳으로 마을 앞에 강이 있었는데, 군장이 목욕하던 강이라 하여 황룡이 사는 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자연환경]

황룡강은 유역 내에 큰 도시가 발달하지 않아 오랫동안 비교적 수질이 깨끗하게 유지되었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서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황룡강에는 뱀장어, 송어, 피라미, 각시붕어, 납자루 등이 서식하고 있고, 수생식물 군락이 발달해 물새들에게 다양한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멸종위기종인 삵, 흰목물떼새, 새호리기, 수달도 서식하고 있다.

황룡강에 오랜 세월 동안 모래와 흙이 쌓이면서 만들어진 섬을 유원지로 조성한 송산유원지는 면적 39,277㎦ 로 잔디광장, 산책로, 축구장, 배구장, 물놀이장, 자연관찰 체험장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황]

황룡강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입암산성 서북쪽 골짜기에서 발원하여, 장성호에 모였다가 장성읍을 지나 광주광역시 광산구 판사등산용진산, 어등산 사이를 굽이치며 흐르다가, 평동일반산업단지를 지나 영산강과 합류한다.

황룡강은 국가하천과 지방1급하천, 지방2급하천으로 나누어져 있다. 국가하천은 광산구 삼도동 평림천 합류점에서 광산구 유계동 영산강 합류점까지 하천연장 9.41㎞, 유로연장 58.6㎞, 유역면적 564.3㎢이다. 지방1급하천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쌍웅리 쌍웅교에서 광산구 서봉동 평림천 합류점까지 하천연장 34.4㎞, 유로연장 43.33㎞, 유역면적 424.7㎢이다. 지방2급하천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황룡강 기점부터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460-2번지까지 유로연장 4.79㎞, 하천연장 8.93㎞, 유역면적 22.23㎢이다. 이 중 광주광역시를 흐르는 물길은 황룡강 국가하천과 지방1급하천 중 북구 오룡동 인근과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경계선에서 평림천 합류점까지로 각각 하천연장 9.41㎞와 13.6㎞가 해당된다. 한국하천일람에 의하면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합류하는 지류로는 사호천, 왕동천, 평림천, 삼계천, 침천, 북산천, 오운천, 송산천, 서봉천, 선암천, 운수천, 평동천이 있다.

근래 황룡강 유역 주변 도시개발로 인해 이용 압력이 높아지면서 둔치 내에 친수공원과 근린공원, 파크골프장 개발과 조성이 많아지고 있으며, 하천생태계를 위협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 12월 황룡강 장록습지[호남대학교~영산강 합류점]가 환경부 국가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국내 첫 번째 도심습지 보호지역이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