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360
한자 農城驛
영어공식명칭 Nongseong Stat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23[농성동 483-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관|개장 시기/일시 2004년 4월 28일연표보기 - 농성역 개통
최초 설립지 농성역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23[농성동 483-11]
현 소재지 농성역 -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대로 1123[농성동 483-11]지도보기
성격 도시철도역

[정의]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에 있는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

[개설]

예전 돌고개 남서쪽에 보성군수 정화가 막았다고 전하는 보성보가 있었다. 보(洑)가 막아진 뒤로는 이 지역의 농토가 수리안전답으로 바뀌어 농사가 잘 되었다고 한다. 농성동(農城洞)의 지명은 농사의 ‘농’ 자를 따고 보성보의 ‘성’ 자를 따서 농성이라 하였다. 『여지도서』와 『호구총수』에 따르면 광주목 군분면(軍盆面)에 속하였고, 군분면 지역에는 여녀리·당산거리·큰시암거리·아래더미·자투리·새터마을이 있었다.

[건립 경위]

건립 과정에서 크게 3단계로 진행되었는데, 1단계는 기존 도로와 지하차도를 유지하면서 1호선 정거장을 건설했고, 2단계는 도로체계 재정비로 인해 지하차도를 철거하고 지상 및 지하의 역세권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3단계는 환승체계를 위해 대합실 통로 및 광장과 연계하면서, 역세권 개발에 따른 지하상가 및 지하주차장과 광장을 연결하였다.

[구성]

농성역양동시장역부터 상무역까지를 관장하는 관리역이다. 햇살이 가득하여 우리에게 쾌적함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넓은 광장이 있고, 기존 도시철도 역사에 비해 열린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지상과 지하를 연계하는 시각적 공간을 형성하여, 역사를 보다 유기적이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형성하였다. 층고에 비해 대합실 및 승강장이 넓은 관계로 법랑 패널을 단순하고 경쾌한 수직 패턴으로 사용하였다. 내부 편의시설로는 화장실 4곳, 자판기 2대, 물품보관함 1곳, 무료신문 배포대 3개가 구비되어 있다. 스마트폰 충전기는 녹동역을 제외한 전 역사에 설치되어 있다.

[현황]

농성역은 2005년 67만 5173명에서 계속 이용자 수가 증가하여 2015년 102만 482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용자 수 약 60만 명을 유지하고 있고, 2020년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47만 3219명이 이용하였다. 광주도시철도1호선 역사는 다양한 주제를 선정해 테마역으로 운영 중이다. 농성역은 호남학 전시관을 운영 중이며, 동학운동, 삼별초 등 호남 사료와 연구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또한 트릭아트존을 운영해 대형 트릭아트 작품을 전시하고, 북카페와 고객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역 청년 창업 운영기업을 대상으로 창업 공간을 무상 제공하는 청년창업플랫폼도 제공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