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중산동 유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1792
한자 慶山中山洞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중산동 1번지 일원
시대 청동기 시대~조선 시대
집필자 이창국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중산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에서 조선 시대까지의 복합 유적.

[개설]

경산 중산동 유적은 경산시 중산동 일원에 위치했던 새한 경산공장부지에 대해 ‘경산 중산1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영남문화재연구원에 의해 순차적으로 발굴조사 되었다. 조사결과 청동기 시대 취락, 삼국시대 고분군, 삼국시대에서 조선 시대까지의 토기 및 기와가마터가 확인되었다.

[위치 및 현황]

경산 중산동 유적은 경산시 중산동 674번지에 있는 중산지와 중산제1근린공원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대략 이마트 경산점~대구광역시 시지노인전문병원~경산 성암초등학교를 잇는 삼각선 안쪽이다. 발굴조사 이후 일부는 유구보존구역으로 지정되었고, 보존구역 밖에 위치한 석곽묘[9-1~2호, 49-1~4호, 83호, 89-1호]의 일부는 해체 이전하여 보존 구역 밖에 재현해 놓았다. 발굴조사 이후 현재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상가 등이 들어서 있는 상태이다.

[발굴조사 경위 및 결과]

1999년 영남문화재연구원에 의한 지표 조사 이후 총 4개구역으로 분리되어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총 5차례의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1차 조사는 A구역으로 이는 다시 A2·A3구역[영남문화재연구원, 2007.12.10.~2008.5.9.]과 A1·A4구역[성림문화재연구원, 2008.11.10.~2009.5.22]으로 나누어져 발굴조사 되었다. A2·A3구역에서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 44기·석관묘 1기·수혈 1기, 초기 철기 시대 토기매납유구 1기·수혈 18기·토광묘 1기·구 1기, 삼국 시대 밭유구, 삼국~통일 신라 시대 도로 1개소, 고려 시대 기와가마 1기, 조선 시대 기와가마 2기·주거지 1기·수혈 1기, 시대가 불분명한 석곽묘 1기·우물 1기·수혈 1기·노지 1기·삼가마 2기·하도 1기·구 4기 등 총 86기가 확인되었다. A1·A4구역에서는 청동기 시대 수혈주거지 2기, 고려 시대 건물지 1기·구상유구 2기, 조선 시대 수혈주거지 1기·수혈 1기, 시대를 알 수 없는 소토유구 1기·수혈 8기·구상유구 2기·주혈군 등[Ⅰ구역]과 원삼국 시대 수혈 16기, 통일 신라 시대 수혈주거지 1기·수혈 3기, 고려 시대 우물 1기·기와가마 1기, 조선 시대 수혈 2기, 시대를 알 수 없는 목탄가마 1기·소토유구 4기·수혈 23기·구상유구 13기 등[Ⅳ구역]이 확인되었다.

2차 조사는 C구역 도로구간으로 2015년 5월 6일부터 9월 30일까지 발굴조사 되었다. 조사결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 2기, 초기철기시대 목관묘 1기, 조선 시대 주거지 1기, 적심건물지 1기, 아궁이 2기, 야외노지 1기, 구 3기, 수혈 4기, 토광묘 4기 등 총 19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3차 조사는 건천지 부분으로 2016년 1월 11일부터 2월 30일까지 발굴조사 되었다. 조사결과 고려 시대 기와가마 3기, 구상유구 3기, 수혈 6기 등 총 12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4차 조사는 B지구로 2006년 7월 1일부터 2017년 7월 31일까지 발굴조사 되었다. 조사결과 청동기 시대 석관묘 1기·주거지 1기, 초기철기시대 수혈 5기, 삼국 시대 목곽묘 15기·석곽봉토분 103기[석곽묘 159기, 옹관묘 14기]·석실묘 5기·의례유구 4기·구 2기·수혈 1기, 통일 신라 시대 골호 1기, 고려~조선 시대 묘 294기·석곽묘 3기·수혈·구, 조선 시대~일제 강점기 제방 1기, 근대 매납유구 1기, 시대미상 소성유구·구 등 총 526기가 확인되었다.

5차 조사는 C지구로 2019년 1월 15일부터 2019년 7월 26일까지 발굴조사 되었다. 조사결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 8기·석곽묘 2기·수혈 1기, 초기 철기 시대 수혈 45기·구상유구 1기, 통일 신라 시대 석곽묘 1기·석실묘 1기·매납유구 6기·수혈 1기, 고려 시대 석곽묘 7기, 조선 시대 토광묘 39기·회곽묘 2기·매납유구 2기·주거지 3기·건물지 2기·수혈 79기·주혈군 3개소·주혈 64기·폐기장 1기·구상유구 15기, 시대미상 아궁이 1기·구상유구 13기·구 1기 등 총 298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이외 인접한 유적으로 조선 시대 건물지 유적[이마트 경산점 주위], 삼국 및 조선 시대 분묘와 삼국 시대 토기가마가 확인된 대구 욱수동·경산 옥산동 유적[대구광역시 시지노인전문병원 부지], 삼국~조선 시대 분묘가 확인된 경산 옥산동 677-7번지 유적, 삼국 시대 분묘와 고려 시대 기와가마가 확인된 대구 욱수동 사월지구 도시관리계획부지 유적, 초기 철기 시대와 고려~조선 시대 생활유적이 확인된 경산 중산동 공동주택 예정부지 유적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경산 중산동 유적은 청동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생활유적·분묘유적·생산유적 등의 다양한 유구가 복합적으로 확인된 곳으로 향후 경산 지역의 통시적인 문화상을 밝힐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경산 중산동 160-1번지 생활유적 -경산 중산1지구 도시개발부지내 A지구 Ⅰ·Ⅳ구역-』(성림문화재연구원, 2011)

『경산 중산1지구 도시개발부지내 A지구 2·3구역 경산 옥산동 300번지유적』(영남문화재연구원, 2011)

『경산 중산1지구 도시개발사업지구 내 경산 중산동유적(1)~(6)』(영남문화재연구원, 2019)

『경산 중산1지구 도시개발사업지구 내 경산 중산동유적(7) -C구역-』(영남문화재연구원, 2021)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