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300648 |
---|---|
한자 | 大興寺十三大倧師 |
영어공식명칭 | Daeheungsa 13 Grand Master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최인선 |
출생 시기/일시 | 1592년 - 대흥사 13대종사 풍담 의심 출생 |
---|---|
출생 시기/일시 | 1622년 - 대흥사 13대종사 취여 삼우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629년 - 대흥사 13대종사 화악 문신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638년 - 대흥사 13대종사 월저 도안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651년 - 대흥사 13대종사 설암 추붕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664년 - 대흥사 13대종사 환성 지안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676년 - 대흥사 13대종사 벽하 대우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678년 - 대흥사 13대종사 설봉 회정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687년 - 대흥사 13대종사 상월 새봉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687년 - 대흥사 13대종사 호암 체정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691년 - 대흥사 13대종사 함월 해원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720년 - 대흥사 13대종사 연담 유일 출생 |
출생 시기/일시 | 1786년 - 대흥사 13대종사 초의 의순 출생 |
몰년 시기/일시 | 1665년 - 대흥사 13대종사 풍담 의심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648년 - 대흥사 13대종사 취여 삼우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06년 - 대흥사 13대종사 설암 추봉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07년 - 대흥사 13대종사 화악 문신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15년 - 대흥사 13대종사 월저 도안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29년 - 대흥사 13대종사 환성 지안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38년 - 대흥사 13대종사 설봉 회정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48년 - 대흥사 13대종사 호암 체정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63년 - 대흥사 13대종사 벽하 대우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67년 - 대흥사 13대종사 상월 새봉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70년 - 대흥사 13대종사 함월 해원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799년 - 대흥사 13대종사 연담 유일 입적 |
몰년 시기/일시 | 1866년 - 대흥사 13대종사 초의 의순 입적 |
학교|수학지 | 대흥사(大興寺)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
성격 | 승려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대흥사 13대종사 |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대흥사를 빛낸 13명의 고승.
[개설]
해남 대흥사(大興寺)의 고승은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와 제자들인 13대종사, 13대강사로 대표된다. 1823년 대흥사에서 간행된 『대둔사지(大芚寺志)』에 이들의 행적과 사상 등이 약술되어 있다.
[활동 사항]
서산대사의 법맥을 이은 고승으로는 사명(四溟) 유정(惟政)[1544~1610], 소요(逍遙) 태능(太能)[1562~1649], 정관(靜觀) 일선(一禪)[1533~1608], 편양(鞭羊) 언기(彦機)[1581~1644] 등이 있다. 대흥사 13대종사는 편양 언기 계열이 다수이며, 소요 태능 계열이 네 명이다.
대흥사 13대종사는 해동화엄종의 중흥조로 존경받았던 풍담(楓潭) 의심(義諶)[1607~1665], 담론(談論)을 잘해서 많은 사람들을 교화하였던 취여(醉如) 삼우(三愚)[1622~1684], 육신보살(肉身菩薩)로 칭송받았던 화악(華岳) 문신(文信)[1629~1707], 화엄(華嚴)의 도리와 백가(百家)에 통달하였던 월저(月渚) 도안(道安)[1638~1715], 계행(戒行)을 청정하게 가졌던 설암(雪岩) 추붕(秋鵬)[1651~1706], 전국을 순방하며 화엄대회를 열었던 환성(喚惺) 지안(志安)[1664~1729], 학문이 유학자들 사이에서도 명망이 높았던 벽하(碧霞) 대우(大愚)[1676~1763], 검소하고 청빈하게 평생을 살았던 설봉(雪峰) 회정(懷淨)[1678~1738], 문자를 떠난 곳의 진리를 설파하여 마음의 근원을 찾도록 가르쳤던 상월(霜月) 새봉(璽封)[1687~1767], 대흥사의 정진당(精進堂)에서 늘 화엄법회를 열었던 호암(虎巖) 체정(體淨)[1687~1748], 인욕행이 남달리 뛰어났던 함월(涵月) 해원(海源)[1691~1770], 대승경전에 통달하여 많은 저술을 후세에 남겼던 연담(蓮潭) 유일(有一)[1720~1799], 다선일미(茶禪一味) 사상으로 이름난 초의(草衣) 의순(意恂)[1786~1866]이다.
[사상과 저술]
월저 도안의 저서는 『월저당대사집(月渚堂大師集)』, 『불조종파도(佛祖宗派圖)』가 있다. 설암 추붕의 저서는 『설암잡저(雪巖雜著)』, 『설암난고(雪巖亂藁)』, 『선원제전집도서과평(禪源諸詮集都序科評)』, 『법집별행록절요사기(法集別行錄節要私記)』, 『묘향산지(妙香山誌)』 등이 있다. 환성 지안의 저서는 『선문오종강요(禪門五宗綱要)』, 『환성시집(喚惺詩集)』이 있다.
상월 새봉의 저서는 『상월대사시집(霜月大師詩集)』, 함월 해원의 저서는 『천경집(天鏡集)』이 있다. 연담 유일의 저서는 『서장사기(書狀私記)』, 『도서사기(都序私記)』, 『선요사기(禪要私記)』, 『절요사기(節要私記)』, 『기신사족(起信蛇足)』, 『금강하목(金剛蝦目)』, 『원각경사기(圓覺經私記)』, 『현담사기(玄談私記)』, 『대교유망기(大敎遺忘記)』, 『제경회요(諸經會要)』, 『염송착병(拈頌着柄)』, 『임하록(林下錄)』 등이 있다. 초의 의순의 저서는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 『일지암유고(一枝庵遺稿)』, 『동다송(東茶頌)』, 『다신전(茶神殿)』, 『초의집(草衣集)』 등이 있다.
[묘소]
13대종사의 승탑 대부분은 대흥사에 전한다. 설봉 회정, 벽하 대우의 승탑은 사리를 나누어 미황사에도 세워졌다. 비석은 풍담당 대사비(楓潭堂大師碑)[1692년 건립], 월저대사 탑명비(月渚大師塔銘碑)[1739년 건립], 환성당 대사비(喚醒堂大師碑)[1822년 건립], 상월대사 탑비(霜月大師塔碑), 호암당 대사비(虎巖堂大師碑)[1822년 건립], 함월당 대사비(涵月堂大師碑)[1822년 건립], 화엄강사 연담화상비(華嚴講師蓮潭和尙碑)[1803년 건립], 초의대종사 의순 탑비(草衣大宗師意恂塔碑)[1941년 건립] 등이 대흥사 부도전에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