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제천시 출신의 열녀이자 효부.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강수봉(姜秀鳳)이다. 시아버지는 효자로 이름이 높았던 이계원(李啓元)이고, 남편은 이유봉(李裕鳳)이다. 강순희(姜順熙)는 18세에 청상과부가 된 뒤 슬하에 자식도 없었으나 지극한 정성으로 가난한 살림을 꾸리면서 시부모를 봉양하였다. 시동생 이유철(李裕喆)과 시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시아...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강회백(姜淮伯)의 후손으로 아들 강정환(姜鼎煥) 역시 효행으로 알려졌다. 다른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 가계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더 이상 찾을 수 없으나, 『여지도서(輿地圖書)』에 함께 기록된 강재망(姜宰望)은 형제로 짐작된다. 강재무(姜宰武)와 관련한 기록은 『여지도서』에 “부친이 병으로 위급하니 다시 그 손가락을 잘...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효자로 알려진 강재무(姜宰武)이다. 강정환(姜鼎煥)과 관련한 기록은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재무(宰武)의 아들이다. 모친이 병으로 기절하니 다시 손가락을 잘라 회생시켰다. 숙묘조 기해[己亥]에 복호(復戶)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복호(復戶)는 특정한 대상자에게 호(戶)의 조세(租稅)나 부역(賦役)을 면제...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자. 강준회(姜晙會)는 본관이 진주(晉州)이며, 효행이 남달랐다. 아버지가 병으로 혼절하니 손가락을 잘라 피를 마시게 하여 회생시켰고, 물고기를 먹고 싶다고 하자 하늘을 우러러 눈물을 흘리니 문득 큰 물고기가 뛰어 올라와 이로써 병을 다스렸다고 한다. 또한 아버지가 위독할 때 한 노인이 꿈에 나타나 야생 학이 약이 된다고 하였는데, 홀연히 창문으...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원박리에 있는 고령 박씨 재실. 재실(齋室)은 주로 한 문중 선영의 묘역 아래에 있는 유교 건축이다. 선산의 산록에 있는 재실은 대개의 경우 묘제를 위한 시설물로서, 묘제의 전날 각지에서 모여든 후손들의 숙식을 제공하고 또 묘제에 사용할 제수(祭需)를 장만하는 것을 주 임무로 한다. 재실은 후손 또는 문중 구성원 간의 공동체 형성과 문중의 세를 과...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향교 터. 제천시 봉양읍 장평리 고산동마을 동쪽에는 남동쪽에서부터 북서쪽으로 산줄기가 뻗어내리면서 뻗은 가지능선이 있다. 이 가지능선의 정상부[254.7m]에서 약간 내려온 동사면 상단에 고치향교 터가 있었다고 하며, 동쪽 골짜기가 향교골이다. 지표 조사나 발굴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현재의 상태로는 배치 형식...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회(聖會). 권형규(權亨奎)는 8세 때 어머니가 회충으로 고생하는 것을 보고 안타까워하다, 주변에서 닭 한 마리를 병자 방에서 굽고 꿩 한 마리를 다른 방에서 구운 다음, 닭과 꿩을 바꾸어 병자에게 먹이면 병이 낫는다는 말을 듣고 눈 덮인 겨울 산에 올라 꿩을 구하러 다녔다. 숲 속을 헤매고 있는데 풀숲 속에서...
-
조선 시대 제천의 열녀. 파평 윤씨(坡平尹氏)는 진위(振威) 김기호(金基鎬)의 처이다. 시집가서 효성으로 시부모를 모시고, 공경으로 남편을 대하였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자신도 따라 죽으려고 하였으나, 늙은 시어머니를 생각하여 차마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였다. 이틀 후에 시어머니마저 돌아가시자 슬픔을 억누른 채 예로써 장례를 지내고 삼우제(三虞祭)까지 지낸 후에 스스로...
-
충청북도 제천시의 효자. 김남석(金南錫)은 본관이 강릉(江陵)이며, 지금의 제천시 금성면 양화리에 살았다. 생몰년은 알 수 없다. 아버지가 70세에 동맥 경화증에 걸려 병석에 눕자 극진히 봉양하였다. 그 모습을 본 면 사람들이 감동하여 칭찬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1960년 면장 표창을 받았다....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부. 본관은 청풍(淸風). 남편은 김병우(金秉祐)이고, 아버지는 김익한(金益漢)이다. 청풍 김씨(淸風金氏)는 시부모를 지극한 정성으로 섬기고 남편을 항상 공손하게 내조하였다. 시어머니가 중풍으로 쓰러졌을 때, 온몸을 정성껏 보살폈으나 효험이 없자 뒤뜰에 제단을 마련하여 3년간 천지신명께 하루도 거르지 않고 기도하였다. 시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정성껏...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강릉(江陵). 아버지는 효자로 동몽교관의 관직과 정려를 받은 김종려(金宗礪)이다. 김이중(金履重)은 아버지를 본받아 극진히 부모를 모셨다. 아버지가 병이 들자 대변의 맛을 보아 병세를 살폈고, 병이 깊어져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흘려 넣음으로써 회생시켰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피눈물을 흘리며 3년간 묘소를 지키는 등 효...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강릉(江陵). 아들로 효행으로 정려를 받은 김이중(金履重)이 있다. 김종려(金宗礪)는 본관이 강릉(江陵)이며, 생몰년은 알 수 없다. 어려서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시종일관 지극한 슬픔과 예를 다하는 행동이 어른보다 나아 주변의 칭송을 들었다. 어머니를 봉양할 때도 지극한 효도를 다하였다. 어머니가 병이 들자 하늘에 기도하여 쾌유를 빌...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부이자 효녀. 본관은 청풍(淸風). 남편은 김준구(金俊九)이고, 아버지는 김진학(金鎭學)이다. 아들로 김태희(金泰希)가 있다. 청풍 김씨(淸風金氏)는 15세에 시집가서 일찍 남편을 여의고 남매를 두었는데, 낮이면 나무하며 김을 매고, 밤이면 길쌈과 바느질로 가난하던 집안을 부유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친정 부모가 나이 들자 정성을 다하여 봉양하였으...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열녀. 충주 박씨(忠州朴氏)는 김진규(金振奎)의 처이며, 효행이 조정까지 널리 알려져 고종에게서 동몽교관의 관직과 정려를 받은 김이중(金履重)의 6세손 며느리이다. 남편이 병석에 누워 여러 해 일어나지 못하는 동안 조상의 묘소를 관리하고 제사를 지내며 크고 작은 집안일을 홀로 처리하였다. 남편이 세상이 떠나자 탄식하며 스스로 독약을 먹고 남편의 뒤...
-
충청북도 제천시 화산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서원 터. 서원은 조선 후기에 학문 연구와 선현의 제향을 위하여 설립되었던 사설 교육 기관이며 동시에 향촌 자치 운영 기구였다. 1543년(중종 38)에 풍기 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 후기 학자였던 안향(安珦)을 배향하고 유생을 가르치기 위하여 경상북도 순흥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창건한 것이 시작이다. 제천 지역의 서원...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주(光州). 호는 삼족당(三族堂). 노정하(盧楨夏)는 부모가 병이 들자 지성으로 보살폈으며, 병세가 심해지자 대변을 맛보아 병세를 살피며 극진한 정성을 다하였다. 결국 상을 당하게 되었을 때 40리 길이나 떨어진 묘에 사흘마다 참배를 하였다. 형제간에 우애가 깊었고, 친족의 관혼상제에 후하게 도와주었으며, 친구들 사이에도 신의가 두...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부. 말질덕(末叱德)은 영조 대에 살았던 사비(私婢)이다. 하루는 시어머니를 모시고 이웃집에 갔다가 날이 저물어 돌아오는 길에 호랑이가 나타나 시어머니의 한 팔을 물고 놓지 않았다. 이에 말질덕은 시어머니를 살릴 생각으로 자신의 팔을 대신 물게 하곤 시어머니를 업고 집에 돌아온 뒤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제천군지』에는 말질덕이 호랑이를 횃불로...
-
개항기 제천 출신의 효자. 문세희(文世熺)[1891~?]는 본관이 남평(南平)으로, 아침저녁의 문안 인사를 한 번도 거르지 않았으며, 아버지가 병이 들자 밤낮으로 약을 정성껏 마련하여 드렸다. 3년이 지나도록 아버지의 병세가 좋아지지 않자 제단을 만들고 백 일 동안 기도를 드렸으며, 스물 살 때 아버지가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9일이나 더 살게 하였다....
-
충청북도 제천시 신동에 있는 안동 권씨의 영정을 봉안한 영당. 안동 권씨 연잠공파의 집성촌인 신동(新洞)에 있는 목조 기와 건물로, 1985년 권상명(權尙明)의 묘소 가까이 있던 영당을 옮겨 신축한 것이다. 그 이전까지 현재 영당이 있는 곳은 권섭(權燮) 이래 10세 후손이 대를 이어 살아오던 곳이다. 영당에는 수암(遂庵) 권상하(權尙夏)와 장자인 초당(草堂)...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원실(元實). 중종 대의 문신인 민세량(閔世良)의 14세손이다. 민정현(閔鼎顯)은 8세 때 아버지가 병이 들어 위태롭게 되자 밤낮을 가리지 않고 기도하며 병구완을 하여 사람들이 놀라워하였다. 아버지의 병세가 더욱 위급해지자 손가락을 잘라 피와 함께 약물을 드려 결국 회생하게 하였다. 기력을 회복한 아버지가 자라를...
-
조선 후기 제천의 효자. 박시산(朴時山)은 영조 대 사람으로 『제천군읍지(堤川郡邑誌)』에 효열로 널리 알려진 박전 등과 함께 관련 기록이 간단하게 수록되어 있다. 그 내용은 “박시산은 양인(良人)이다. 호랑이가 그 집에 들어와 아버지를 물어 상처 입히니 시산이 몽둥이로 호랑이를 때리고 도끼로 머리를 부수니 곧 호랑이가 죽었다. 부친은 치료하여 죽지 않았다. 영조 7년[1...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박양한(朴良漢)과 박양우(朴良遇)의 아버지는 숙종 대의 문인 박수검(朴守儉)[1629~1698]이다. 박수검은 조석윤(趙錫胤)과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인현왕후(仁顯王后) 민씨의 폐출을 보고 벼슬을 버린 뒤 제천의 임호(林湖)로 내려와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살았다. 박양한은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의병장으로 안무사에 제수되어...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부. 본관은 청풍(淸風). 남편은 밀양 박씨(密陽朴氏) 박의호(朴義浩)이다. 청풍 김씨(淸風金氏)는 나이 27세에 남편을 여의었다. 팔순 시어머니와 여섯 살 어린 아들이 있었는데, 절개를 지키고 효로써 시어머니를 35년간 하루같이 봉양하였다. 또한 집안을 법도 있게 다스리고, 자식을 가르치는 데 의리로 하여 마을 사람들이 청풍 김씨의 지조 있는...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정숙(靜淑). 성삼문 등과 함께 단종을 보살펴 달라는 문종의 고명(顧命)을 받았던 충정공(忠貞公) 박심문(朴審問)[?~1456]이 6대조이다. 박전(朴瀍)[1599~?]의 효행에 대해서는 『여지도서(輿地圖書)』, 『제천군읍지(堤川郡邑誌)』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아버지의 병환을 낫게 하기 위해 손가락을 끊어 피...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박정무(朴貞武)는 아버지가 편찮을 때 배와 꿩고기가 약이 된다는 말을 듣고 온갖 어려움 끝에 구해다가 봉양하였고,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모셨다. 박정무의 효행을 기려 1860년(철종 11)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에 효자문이 세워졌다고 한다....
-
개항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순호(順浩), 아호는 동암(東菴). 조선 초기의 문신인 공효공(恭孝公) 박중손(朴仲孫)의 후손이다. 박한규(朴漢圭)는 지금의 제천시 한수면 황강리에서 살았다. 어려서부터 효심이 지극하였는데, 아버지의 머리에 종기가 났을 때 입으로 고름을 빨아내어 치료하였다고 한다. 한겨울에 잉어를 맛보고 싶어 하는 아버지를 위하여 두...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초명은 반우석(潘瑀錫), 자는 여규(汝圭), 호는 우극(雨屐). 반규석(潘圭錫)은 제천에 살던 한의사로 의술이 뛰어나 편작(扁鵲)이 다시 태어났다는 말을 들었다. 효성이 지극하여 90세 어머니를 모시면서 항상 음식과 약을 친히 돌보았고, 하룻밤에 대구까지 드나들면서 약을 구하여 병을 치료하기도 하였다. 주변에서 약을 묻는 이들이 끊이지 않았...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사곡리에 있는 개항기의 영당. 제천시 금성면 소재지에서 지방도 562호선을 따라 금성초등학교 가는 방향으로 2㎞ 정도 가면 사곡리 마을이 나온다. 마을 안쪽에 큰 은행나무가 있으며, 은행나무 아래에 구멍바위가 있고, 은행나무 안쪽에 동남향하여 병산영당(屛山影堂)이 위치하고 있다. 병산영당은 1907년 4월에 의당(毅堂) 박세화...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서원 터. 서원은 조선 후기에 학문 연구와 선현 제향을 위하여 설립되었던 사설 교육 기관이며 동시에 향촌 자치 운영 기구였다. 1543년(중종 38)에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 후기 학자였던 안향(安珦)을 배향하고 유생을 가르치기 위하여 경상북도 순흥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창건한 것이 시작이다. 제천 지역의...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석두영(石斗永)은 자는 성실(聖實)이며, 도사(都事)를 지냈다. 대대로 청풍에 살았는데, 33세에 어버이의 상을 당하여 30리 밖에 장사를 지내고 매월 초하루마다 성묘하였는데 여러 차례 기이한 행적이 일어났다. 하루는 비바람이 세차게 몰아치는 가운데 성묘를 가려 하였으나 강물이 불어 건널 수가 없었다. 이에 하늘을 우러러 크게 탄식하자 홀연...
-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성균관유도회 산하 제천 지역 지부. 성균관유도회는 해방 직후 유림들의 자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945년 유교를 중심으로 도의정신을 천명하고 윤리부식(倫理扶植)을 실천해 수제치평(修齊治平)의 대도(大道)를 선양하며 사회질서를 순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국적인 유림 대회가 개최되었다. 유도회 총본부는 1946년 5월에 성균관에서...
-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지곡리에 있는 신창 표씨 문중의 재실. 원래 현재의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50여 m 지점의 고수골 충주댐 수몰 지구에 있던 것을 1983년 현재 위치로 이건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위치는 골짜기로 종가 소유의 땅에 수몰을 피해서 지은 것으로 보인다. 제천시 수산면 지곡리 마을 끝자락에 같이 이건한 행랑채, 김진국 가옥 등과 함께 자리하고 있다. 남동쪽...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자.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자원(子元). 오인용(吳仁庸)은 칠대 독자로 일곱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성장하였다. 천성이 성실하고 공손하여 어머니 송씨를 지극한 효성으로 모셨는데, 어머니가 중풍으로 병석에 누워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데도 정성껏 시중을 들었다. 때때로 어머니를 업고서 바깥나들이를 하면서 구경을 시켜 기운을 북...
-
개항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해주(海州). 호는 미암(亹巖). 고려 말 문신인 정양(定襄) 오방우(吳邦祐)의 후손이다. 오진호(吳鎭鎬)는 밤중에 침입한 도적이 아버지를 해치려 하자 가로막으면서 흉기를 빼앗다가 손가락 세 개를 잃었다.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술과 맛있는 음식으로 부모를 공양하였으며, 아버지가 병을 얻어 여러 해 동안 고통을 겪자 제단을 모으고 백일기도...
-
충청북도 제천시 모산동에 있는 우륵을 배향한 조선 후기 사당 터. 1871년 『호서읍지(湖西邑誌)』에는 “우륵당은 의림지 동쪽 석봉에 있다. 그 위에 우륵이 와서 거처하였던 곳이다[于勒堂在義林池東石峯之上于勒來居之所]”라고 기록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혹은 말하기를 우륵이 의림지를 처음으로 쌓았기 때문에 후대 사람들이 우륵을 제사지내 그 공을 보답하는 곳이다”라는 기록...
-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행해지는 공자의 사상과 관련한 학문과 의례 및 활동 일반. 유교는 공자의 사상을 존경하고 숭앙하는 가르침이다. 종교라기보다는 철학 사상으로서 유가(儒家), 유도(儒道), 유학(儒學)이라고도 한다. 유교는 공자의 도의 사상을 종지(宗旨)로 하는 인본주의적 윤리의 가르침이다. 즉, 유교란 자신의 내적 수양을 쌓은 유자(儒者)들의 올바른 가르침, 또는 그...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유시형(柳蓍馨)[1842~1942]은 본관이 진주(晉州)로, 모친의 병들었을 때 맏형인 유지형(柳芝馨)과 함께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내어 먹였으나 끝내 돌아가시자 3년간 무덤을 지켰다. 또한 부친이 병으로 누워 있을 때 한겨울에 갑자기 자라 고기를 먹고 싶다고 하자, 자라를 구하려고 얼어붙은 강 위를 한없이 헤매다가 뜻밖에 나타난 자라를 잡아...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효부. 본관은 성주(星州). 남편은 사후에 비서승(秘書丞)으로 추증된 유영종(劉英鍾)이다. 성주 배씨(星州裵氏)는 일찍이 청상과부가 된 뒤 남편의 뒤를 따르고자 하였으나 가까운 친척이 없어 뒷일을 부탁할 처지가 되지 못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예를 다해 남편을 장사 지내고 조상의 제사와 묘소를 받들었는데, 시조부의 묘소 구역에 권세 있는 사람이...
-
조선 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晉州). 할아버지는 밀직사사(密直司事) 청천군(菁川君) 유번(柳藩)이고, 아버지는 유효손이다. 부친을 지극 정성으로 모셨는데, 병환이 들어 위독하자 성심으로 치료하여 병을 완쾌시키고 편안하게 봉양하였다고 한다. 복상(服喪)을 입어 지극하게 상례(喪禮)를 다하고, 3년간 시묘(侍墓)하였다. 유자하의 효행 일화와 정려 사실은 『신증동국여지승람...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녀. 윤개(允介)는 천남역에 속하여 있던 여종으로, 유(劉)씨 성을 가졌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생몰년 역시 미상이다. 청풍으로 시집가서 살고 있었는데, 아버지의 부고를 듣고 다음 날 달려와 보니 이미 염이 끝난 후였다. 하지만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입에 흘려 넣으면서 사지를 주무르니 하룻밤이 지나 깨어나 1년을 더 살았다고 한다...
-
개항기 제천 출신의 효자. 자는 문우(文友), 호는 인재(認齋). 아버지는 윤하박(尹河博)이다. 윤병익(尹炳益)은 윤응선(尹膺善)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는데, 재주와 덕망을 고루 갖추어 칭찬이 높았다. 특히 행동이 돈독하고 효와 우애가 깊어 제천 유림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
개항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지일(漬一), 호는 연계(延溪). 윤하박(尹河博)[1864~?]은 1864년(고종 1) 6월 28일 제천 봉양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조부모와 편모슬하에서 성장하였다. 11세 때인 1874년(고종 11) 증조할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애통하게 통곡하여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할머니가 병들었을 때 정성을...
-
개항기 제천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이철견(李鐵堅)[1435~1496]의 12세손이다. 이철견의 자는 연부(鍊夫)이며,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尹氏)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윤번(尹璠)의 딸이고,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이다. 문음으로 헌릉직(獻陵直)을 거쳐 한성부 판관으로 있을 때인 1460년(세조 6) 무과에 급제하였다. 1471년(성종...
-
개항기 제천 출신의 효자. 이광우(李光雨)는 본관이 경주(慶州)이다. 아홉 살 때 아버지가 병을 얻어 죽을 지경에 이르자 지금의 제천시 덕산면 와룡소에 있는 대학자 윤응선(尹膺善)의 집까지 달려가서 약을 구해다가 병을 낫게 하여 이웃 사람들이 모두 감탄하였다. 열일곱 살에 모친상을 당하여서는 너무 애통해 하여 몇 차례나 기절한 나머지 남의 등에 업혀서 간신히 장례를 치렀...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경창군(慶昌君)의 8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우(李堣)이다. 충민공 이도철(李道徹)이 형이다. 이도영(李道榮)은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대변을 맛보며 병세를 살펴 약을 드렸으며, 병세가 위급해지자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아버지의 입에 흘려 넣어 회생시켰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 삼년상을 치르는 동안 피눈물을 흘리며...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와 그의 처. 이시진(李時振)의 본관은 경주(慶州). 아버지는 군수(郡守) 이대수(李大遂)이며, 그의 처 파평 윤씨(坡平尹氏)는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의 외손녀로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낸 윤면(尹勉)의 딸이다. 이시진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12세 때 부친이 병석에 눕자 연약한...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사빈(士彬). 경창군(慶昌君)의 5세손이다. 이우(李堣)는 한겨울에 병든 아버지가 싱싱한 생선을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구할 수 없어 하늘에 호소하면서 얼음을 뚫은 끝에 물고기 두 마리가 뛰어 올라와 공양할 수 있었다. 또한 아버지가 꿩고기를 찾자 눈 덮인 산에 올라 애를 태우자 갑자기 꿩 한 마리가 내려앉아 날지...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녀. 일춘(一春)은 관청에 소속된 종이었다. 어머니가 병들어 죽음에 이르자, 손가락을 끊어 그 피를 어머니의 입안에 흘려 넣음으로써 얼마 후에 회생하게 하였다. 이에 천한 신분임에도 사람의 도리를 다하는 것을 높이 평가하여 1625년(인조 3) 나라에서 정려를 내렸다....
-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공전리에 있는 개항기의 영당. 제천시에서 국도 38호선을 따라 충주 방향으로 가다 보면 마곡 입구 삼거리를 지나 박달재 터널 못미처 왼편으로 제천 자양영당 표시판이 있다. 여기서 좌회전해서 5㎞ 정도 가면 장담마을이 나오고, 마을 끝에 제천 자양영당(紫陽影堂)이 위치하고 있다. 제천 자양영당은 조선 후기의 유학자인 유중교(柳重...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부이자 열녀. 원주 이씨는 장우정(張宇井)의 아내로, 시어머니의 병이 깊어지자 밤낮으로 기도하여 낫게 하였다. 1730년(영조 6) 남편이 세상을 떠났을 때는 임신 중이라 따라 죽지 못하였는데, 아이가 유산되자 탄식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고 남편의 뒤를 따랐다. 1773년(영조 13) 정려가 내려졌다....
-
일제 강점기 제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상산(商山). 남편은 정수영(鄭壽永)이다. 상산 김씨(商山金氏)는 28세 때 남편이 집을 나가 10년 넘도록 소식이 없었다. 이웃 사람들이 모두 재가하라고 권하였으나 거절하고 어린 자식을 데리고 가난한 살림을 꾸려 나갔다. 10여 년 만에 돌아온 남편이 하루 뒤 다시 집을 나가 소식이 없었는데, 객사하였다는 소식을 들려오자 곧장 달...
-
조선 후기 제천 출신의 효자. 정영선(鄭嶸善)은 본관이 초계(草溪)이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옷 띠를 풀지 않고 밤낮으로 곁을 지키면서 시중을 들었다.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뒤에는 3년 동안 여막에서 생활하면서 조석으로 예를 다하였다. 정영선의 효행이 널리 알려져 고종으로부터 감찰의 관직과 정려가 내려졌다....
-
충청북도 제천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영일(迎日). 조선 중기의 명신인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후손이다. 정운몽(鄭雲夢)은 부모의 뜻을 어긴 일이 없었으며, 부모의 회혼례를 정성껏 차려 칭송이 높았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곁을 떠나지 않고 보살피고, 약을 먼저 맛보고 드렸다. 아버지가 별세한 뒤에는 하루도 빠뜨리지 않고 성묘하였으며, 겨울이면 먼저 산소...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정선(旌善). 남편은 정진선(鄭進善)이다. 정선 전씨(旌善全氏)는 혼인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남편이 요절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고 뒤를 따랐다. 1891년(고종 28) 정려를 받았으며,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에 정려각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찾을 수 없다....
-
충청북도 제천시 두학동에 있는 진주 강씨 문중에서 세운 조선 후기의 강당. 제천 시내에서 지방도 522호선을 타고 어상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두학초등학교 지나 검은돌[玄岩]마을이 나온다. 검은돌마을 앞을 흐르는 장평천을 건너 마을길을 따라 가면 상풍마을이다. 마을 초입에 ‘제천 박약재’ 안내판과 진주 강씨 유허비가 있고, 이곳으로부터 좌측으로 난 산길을 따라...
-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지방 국립 교육 기관. 선현 제사와 지역 향리 자제 교육을 담당하는 관학 기관인 향교는 1127년(고려 인종 5)부터 설립되었다. 이후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다가 고려 말 성리학의 수용으로 제 기능을 회복하였고, 조선 개국 후 유교를 치국의 원리로 삼아 유학이 융성하게 됨에 따라 향교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대부분의 향교가...
-
충청북도 제천시 교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지방 국립 교육 기관. 향교는 주로 조선 시대 지방의 유풍(儒風)을 진작시키고 인재를 양성할 목적으로 전국의 크고 작은 고을에 설치했던 관학을 의미한다. 현재 향교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남한에 위치한 향교만도 232개에 달한다. 지금도 모든 향교에서 석전대제가 거행되고 있으며 전국 유림 조직의 거점이 되고 있어 유교 이념이 우리...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영당과 사당. 황강영당(黃江影堂)은 송시열(宋時烈)·권상하(權尙夏)·한원진(韓元震)·권욱(權煜)·윤봉구(尹鳳九) 등 이른바 5현(賢)의 영정을 배향하고 있으며, 수암사(遂庵祠)는 수암(遂庵) 권상하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제천시 수산면 소재지에서 충주 방면으로 난 국도 36호선을 따라 약...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효자. 조이종(趙以悰)은 현종 때의 효자로 아버지의 병환이 위중하자 단지(斷指) 수혈하여 소생시켰으나, 다시 기절하자 이번에는 누이동생이 같은 일을 하여 소생시켰다고 전한다. 두 남매의 이 같은 효성으로 1666년(현종 7) 효자, 효녀의 쌍정문(雙旌門)이 세워졌다. 1898년(고종 35)경 간행된 『제천군읍지(堤川郡邑誌)』에 조이종에 대한 상세한...
-
조선 시대 제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강(平康). 조선 중기의 문신인 죽촌(竹村) 채경선(蔡慶先)의 12세손이다. 채도영(蔡道榮)은 지금의 제천시 수산면 지곡리에서 살았다. 50세에 홀아비가 된 후 여러 차례 장가를 갔으나 아버지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하면 즉시 내보냈다. 아버지가 90세에 이르러 중병이 들었을 때 붕어를 먹고 싶다고 하여 안타까워하자 독수리가 큰 붕어를...
-
개항기 제천 출신의 효자. 최일경(崔一京)은 몸이 불편한 어머니를 정성껏 모셨다. 닷새마다 돌아오는 장날 구경을 좋아하는 어머니를 업고 다니기를 몇 년 동안이나 하였고, 어머니가 원하는 것이 있으면 두말 않고 사 드렸다고 한다. 어머니가 별세하자 정성껏 장사 지내고 제사를 올려 모두가 감탄하였다. 제천 유림에서 효행비를 세워 길을 오가는 사람마다 최 효자의 행...
-
조선 후기 제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한양(漢陽). 남편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뒤 순국한 홍원(洪遠)이다. 아들로 홍여수(洪汝守)가 있다. 한양 조씨(漢陽趙氏)는 남편이 아들 홍여수와 함께 청풍의 수리봉재[鷲峰峙]에서 전사하자 며느리 전의 이씨(全義李氏)와 함께 스스로 목숨을 끊고 그 뒤를 따랐다....
-
충청북도 제천시 출신의 열녀이자 효부. 본관은 진주(晉州). 시아버지는 강성학(姜聲鶴)이고, 남편은 강상구(姜商求)이다. 황광자(黃光子)는 17세에 결혼하였다. 20세 때 남편이 물에 빠져 죽었으나 늙은 시부모와 어린아이 때문에 따라 죽지 못하였다. 남편을 장사 지내고 삼년상을 치르는 동안 아침저녁으로 참배하고 초하루와 보름에 무덤을 보살피는 등 정성이 이루...
-
조선 시대 제천 지역의 열녀. 본관은 진주(晉州). 남편은 황세택(黃世澤)이다. 강씨(姜氏)는 남편이 병에 걸려 반신불수가 되자 차라리 자신이 대신 앓겠다며 밤낮으로 기도하여 13년 만에 자리에서 일어나게 하였다. 얼마 후 남편이 세상을 떠난 뒤에는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어 남편의 뒤를 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