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수리 노랑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1001
한자 淸水里-
영어음역 Cheongsu-ri Noranggul
영어의미역 Kiln Site in Cheongsu-ri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나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가마
건립시기/연도 1950년대
소재지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 지도보기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청수리에 있는 1950년대에 건립된 가마.

[개설]

청수리 노랑굴은 한창 옹기 제작이 왕성하던 1950년대에 축조되었다.

청수리 노랑굴은 주로 인접한 월광동 주민들에 의하여 운영되었으나, 동네가 작아 큰 옹기 생산은 하지 못하였다. 가마를 축조하였던 계원들이 순번대로 물레 대장들을 고용하기도 하여 옹기들을 제작하고 소성하였으나 1960년대 중반기에 가마 문을 닫고 말았다.

폐요된 뒤에 굴 안에서 버섯 재배를 하였다고 하나 다행히 가마의 원형이 많이 훼손되지는 않았다. 이는 가마가 곶자왈에 위치하고 있어 가시덩굴과 나무들이 뒤엉켜 인접하기 매우 어려웠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위치]

16번 도로상에서 산양리 복지 회관 맞은편 서광 쪽으로 올라가면 월광동 사거리를 만난다. 그곳에서 다시 직진하여 평화동 쪽으로 올라가면 오른쪽으로 조롱물[저릉물]이 있다.

여기서 다시 1.25㎞쯤 직진하여 올라가면 월광동 버스 정류장을 지나 좌측에 50m라고 쓴 속도 표지판이 보이는데, 이 표지판 바로 위쪽에서 가마로 들어가는 진입로를 찾을 수 있다.

[형태]

청수리 노랑굴은 자연 경사를 이용하여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14도의 완만한 경사면에 축조되었다. 부장쟁이와 아궁이에 박혔던 세 개의 현무암은 유실되었고, 가마의 중간 부분의 천장에 구멍이 뚫려 유실되어 가고 있으나 부장과 불벽, 불구멍, 특히 배연구(굴뚝)가 완벽하게 남아 있다. 제주도 내의 가마 중 배연구가 완벽하게 남아 있는 유일한 가마이다.

부장(연소실)의 바닥 면은 중앙 부위가 조금 안으로 파인 듯하고 부장에서 소성실로 이어지는 높이는 170㎝이다. 불벽의 두 불구멍은 연소된 불길이 통하는 통염공(通焰孔)으로서, 가마 문 가까이 있는 불구멍은 높이 110㎝이며, 또 하나의 불구멍은 높이 70㎝이다.

소성실은 중간 부분이 넓고 높은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으며, 현무암과 잡석, 흙으로 만들어졌고 천장 부분은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해 판상형의 잔돌로 쐐기를 박았다. 내벽은 진흙이 잘 발라져 있고, 천장의 형태는 거의 수평에 가까워 천정과 벽이 맞닿은 부분이 수직으로 만나 가마가 사각형으로 보인다.

소성실이 크기는 높이가 앞부분은 140㎝, 중간 부분이 160㎝, 끝부분이 147㎝로서 중간 부분이 높아졌다가 다시 낮아진다. 소성실의 전체 길이는 16m이다. 가마 출입구는 오른쪽에 있으며 사람이 허리를 굽혀 드나들 정도의 크기로서, 높이는 110㎝이고 둥근 반원형 곡선을 이루고 있다.

배연구는 네 개로서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양쪽 가장자리에 있는 두 개의 구멍이 중앙의 두 개의 구멍보다 크다. 잿불 구멍은 좌우측 구멍이 마주 보게 나란히 있으며, 왼쪽 27개, 오른쪽 26개이고, 45~54㎝의 간격으로 뚫려 있다. 구멍 한 개의 크기는 16x15㎝이다.

[현황]

부장쟁이와 소성실의 천장 부분이 유실된 것 외에는 가마의 내부가 양호하게 원형대로 남아 있다. 그러나 굴의 진입로를 만들 때 길의 지면이 부장보다 높아 우기에 빗물이 가마의 부장(연소실)으로 흘러들게 되어 있어 시급히 길을 낮추고 부장쟁이를 복원하여 가마가 더 이상 유실되지 않도록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할 듯하다.

또한 소성실 천장 부분이 두 군데나 크게 유실되어 있는데, 이 역시 점차 더 많은 부분이 유실될 위기에 처해 있다. 현재 유실된 부분은 길이 140㎝이며, 유실되고 있는 천장의 두께는 22~25㎝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