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무주군 신호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500607
한자 茂朱郡新戶籍
영어공식명칭 New Family Register of Mujugun
이칭/별칭 무주군 호적표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전라북도 무주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철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905년연표보기 - 무주군 신호적 작성
발급 시기/일시 1905년 - 무주군 신호적 발급
소장처 일본 교토 대학 종합 박물관 - 일본 교토부 사쿄쿠 요시다혼마치
성격 고문서|호적표
용도 호적표

[정의]

1905년에 작성된 전라북도 무주군의 신호적.

[개설]

조선 시대에는 3년마다 호적을 작성하여 대장에 편성하였는데, 이를 ‘구식 호적’이라 칭한다. 이에 비해 1896년 제도의 개혁 이후에 작성된 호적을 ‘신식 호적’이라 칭한다. 신식 호적은 호구 기재 사항을 붉은색으로 인쇄한 호적표를 관에서 각 호에 2부씩 지급하면 백성들은 이를 기재하여 지방관에 제출하였다. 제출된 호적표 중 1부는 지방관에서, 1부는 중앙에서 보관하였다.

[제작 발급 경위]

무주군 신호적(茂朱郡新戶籍)은 1905년 2월에 작성된 무주군 신풍면·풍서면·풍남면의 호적표를 묶어놓은 것으로, ‘무주군 호적표’라고도 부른다. 일본 교토 대학 종합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무주군 신호적은 1905년 한성부(漢城府)에서 보관하고 있던 호적표로 총 3책이 전해지고 있다. 첫 장은 붉은색으로 광곽 계선을 인쇄한 용지를 사용하여 리명(里名)·호수(戶數)·총수(統數)·[남여] 구수(口數)·가간 수(家間數) 및 면내(面內) 통계 수를 기록하였다. 둘째 장부터 끝까지는 호적표로 총 3책이다. 「전라북도 무주군 을사조 호적 제육(全羅北道茂朱郡乙巳條戶籍六)」[346×232㎝, 127장]은 무주군 신풍면 기곡리·진평리·길산리·하엽리·지전리·하장리·상장리·청량리·비례리 등 9개 마을의 호적표를 모아 놓았다. 「전라북도 무주군 을사조 호적 제칠(全羅北道茂朱郡乙巳條戶籍七)」[346×232㎝, 147장]에는 무주군 풍서면 북동리·불대리·하리·덕곡리·양지리·미천리·이남리·장평리·나리·상리 등 10개 마을의 호적표를 모아 놓았다. 「전라북도 무주군 을사조 호적 제팔(全羅北道茂朱郡乙巳條戶籍八)」[350×231㎝, 122장]에는 무주군 풍남면 철목리·석항리·사동·증산리·곡동·은고리·한치리·오산리·북수리·지경리 등 10개 마을의 호적표를 모아 놓았다.

[구성/내용]

호적표의 기재 내용을 살펴보면, 주소의 항목에는 무주군과 면·리·통·호의 문자가 인쇄되어 있고, 해당 부분을 써 넣어 완성하도록 하였다. 호주 정보는 성명·연령·본관·직업·사조(四祖)를 써 놓았으며, ‘생부(生父)’란을 두어 양자를 명기하도록 하였다. ‘동거 친족’란에는 호에 거주하고 있는 친족을 기록하였다. 이거(移居) 상황은 전(前) 거주지(居住地)와 이거 연월을 써 넣었다. 거주자 통계는 기구(奇口), 고용(雇傭), 현존 인구의 세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 남녀별로 수치를 기입하였다. 그리고 가택은 기유(己有)와 차가(借家)로 나누고, 각각 와가와 초가로 구분하여 칸 수를 기입하였다. 그리고 첫 줄에는 호적표의 번호란과 주기란이, 마지막 줄에는 작성 연월일[광무 9년 2월 00일]과 무주 군수의 성명[김선규(金善圭)] 및 날인이 있다.

[의의와 평가]

무주군 호적표는 1905년 당시 무주 지역의 인구수는 물론 한 가족의 구성원에게 일어나는 다양한 변화들, 즉 출생, 사망, 혼인, 전입, 전출, 입양, 동거 형태 등을 비롯해 직업의 구조와 가택 조건, 신분 구조, 지역 이동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