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사자앙천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2127
한자 獅子仰天穴
영어음역 Saja Angcheonhyeol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설|풍수담
주요 등장인물 어떤 사람|마을 사람
관련지명 금동|감오개볼
모티프 유형 발복의 조건|명당의 포기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에서 사자앙천혈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채록/수집상황]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2리 띠울에서 박주성(남, 80)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2003년 암천정신연구소에서 출간한 『암천 박증과 모곡서원』에 수록하였다.

[내용]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 금동 감오개볼 옆에 사자앙천혈이 있다. 사자앙천혈은 사자가 하늘을 우러러보는 혈이라 하여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천하의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사자앙천혈에 묘를 쓰게 되면 장차 38명의 장상(將相)을 배출한다는 예언이 구전될 정도로 천하에 보기 드문 발복지라는 것이다. 하지만 묘를 쓰고 나서 발복을 보려면 9명이 죽어야 비로소 효험이 나타난다고 한다.

옛날 어떤 사람이 이와 같은 소문을 듣고 조상의 시신을 사자앙천혈에 묻었다. 그런데 묘를 쓰고 난 뒤 가만히 생각해 보니, 자신까지 죽어야 발복을 볼 수 있겠다는 결론이 났다. 이에 이 사람은 곧바로 시신을 꺼내어 다른 곳으로 이장하였다고 한다. 한편 예부터 가뭄이 들면 마을 사람들은 사자앙천혈을 의심하였다. 사자앙천혈에 시신이 들어 있으면 주변의 지기(地氣)를 빨아들여 가뭄이 든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그래서 삽과 곡괭이를 가지고 묘를 파내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사자앙천혈」의 주요 모티프는 ‘발복의 조건’과 ‘명당의 포기’이다. 사자앙천혈에 묘를 쓰면 자손이 잘된다는 말에 조상의 시신을 묻었으나 9명이 죽어야 비로소 발복한다 하여 다시 시신을 꺼냈다는 이야기로 명당자리에 얽힌 풍수담이다. 명당자리 사자앙천혈을 소재로 다루고 있으며, 발복의 조건으로 자손 9명의 목숨을 담보로 해야 한다는 점도 주목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