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쟁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845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보목동
집필자 고광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생산|제작처 공쟁이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보목동
성격 생활 용구|어구
재질 목재
용도 바다에서 베어낸 해조류를 건져올릴 때 사용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서 거름용 해조류를 채취할 때 사용하는 갈퀴 모양의 도구.

[개설]

공쟁이는 ‘갈퀴’·‘줄아시’·‘듬북낫‘과 함께 실겡이·노랑쟁이 등 거름용 해조류를 따내는 도구로서, 주로 배 위에서 남자들이 사용한다. 실겡이는 점심대(漸深帶) 바윗돌 위에서 자라는 모자반과의 바다풀인데 ‘줄아시’라는 기다란 낫으로 배 위에서 베어내면 공쟁이로 끌어당겨 배에 싣는다.

[연원 및 변천]

제주도는 밭농사 일색의 화산섬이기 때문에 바다풀을 이용한 거름이 다양하게 발달되어 왔다. 거름용 바다풀은 깊은 물속에서 캐내기도 하고 바람이 불어 바닷가로 밀려든 바다풀을 건져내기도 해서, 말려 거름으로 이용했다. 거름의 중요성은 이형상(李衡祥)『남환박물(南宦博物)』[1704] 풍속조에 “밭을 밟아주지 않으면 씨를 뿌리지 못하고, 거름을 하지 않으면 이삭이 나오지 않는다”고 한데서도 알 수 있다.

[형태]

대나무 자루에, 갈퀴 모양의 나뭇조각 또는 노가리낭[朱木]의 가지를 끼워 만든다. 바닷가에서 사용하는 공쟁이는 길이가 1.5m, 무게가 350g정도이고, 배 위에서 베어낸 거름용 해조류를 끌어당기는 공쟁이는 길이가 5m, 무게는 1.3㎏ 정도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실겡이를 운반하는 팀은 모두 6명이다. 이들은 3개의 테우에 각각 2명씩 나누어 탄다. 이 때의 테우를 ‘공젱잇배’라고 한다. 공젱잇배마다 한 사람은 테우의 노를 젓고, 한 사람은 ‘공젱이[갈퀴]’로 물 위에 둥둥 뜬 실겡이를 끌어올려 뭍으로 실어 나른다. 3척의 떼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일을 한다.

서귀포시 보목동에서는 거름용 해조류를 ‘망’이라고도 한다. 채취기가 되면 2~3명의 남자들이 조를 이루어 테우를 타고 바다로 나가는데 주로 지귀도로부터 외돌개가 있는 황우지에서 이루어진다. 바다풀의 허리를 휘감아 잡아당겨 채취하는데 이 때 공쟁이를 사용한다. 거름용 해조류도 다양하여 ‘는제기’와 ‘갑실듬북’ 등이 있다.

이와 달리 서귀포시 대포 마을에서는 바람에 밀려온 거름용 바다풀 더미인 ‘풍태(風苔)’를 주로 채취한다. 채취한 풍태는 보리나 고구마 모종에 거름으로 사용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