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이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408
한자 慶州李氏
영어공식명칭 Gyeongju Yi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소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경주 - 경상북도 경주시
입향지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동락리
세거|집성지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동락리
성씨 시조 이알평
입향 시조 이수량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하고, 이수량(李壽良)을 입향조로 하는 세거 성씨.

[개설]

성주 지역의 경주 이씨(慶州李氏)는 이알평을 시조로 하고 이거명(李居明)을 중시조로 한다. 국당공파의 후손 이수량이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동락리에 입향한 이래 현재까지 세거하고 있다.

[연원]

경주 이씨는 신라 초기 6촌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의 촌장인 이알평을 시조로 한다. 다만 이후의 세계가 명확하지 않아 신라 말기 소판(蘇判)을 역임한 이거명을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있다. 이후 17세를 전후하여 평리공파(評理公派), 이암공파(怡庵公派), 익제공파(益齋公派), 호군공파(護軍公派), 국당공파(菊堂公派), 부정공파(副正公派), 상서공파(尙書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판전공파(判典公派), 월성군공파(月城君公派), 시랑공파(侍郞公派) 등으로 분파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성주에 세거하는 경주 이씨는 17세손 이천(李蒨)을 파조로 하는 국당공파의 후손들이다.

[입향 경위]

28세손 이수량이 임진왜란 시기인 1595년(선조 28) 입향하였다.

[현황]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2000년에는 284가구, 913명이 성주에 거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2015년에는 771명이 확인되었다.

[관련 유적]

이진방(李震芳)[1642~1695]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1920년에 건립한 낙애서당(洛涯書堂)이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동락리 509에 위치해 있다. 이진방은 성주목사를 역임한 이수일(李守一)의 후손이며 이세필(李世弼)의 아들이다.

[참고문헌]
  • 『성주누정록』(성주문화원, 2011)
  • 『성주군지』(성주군·성주문화원, 2012)
  • 『성인지』(성주문화원, 2014)
  • 『성주마을지』(성주문화원, 2015)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