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재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737
한자 成載翰
영어공식명칭 Seong Jaehan
이칭/별칭 운거(雲擧),성재평(成載平)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최만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60년 2월 17일연표보기 - 성재한 출생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04년 2월 - 한일의정서 강제 체결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05년 11월 - 을사늑약 강제 체결
활동 시기/일시 1906년 2월 - 성재한 민종식의 집에 모여 거병 논의
활동 시기/일시 1906년 3월 - 성재한 1차 홍주의진 봉기 때 운량관으로 참여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06년 5월 - 2차 홍주의진 창의
활동 시기/일시 1906년 5월 19일 - 성재한 2차 홍주의진 홍주성 점령 때 운량관으로 참여
몰년 시기/일시 1906년 5월 31일연표보기 - 성재한 홍주성 전투에서 전사
추모 시기/일시 1968년연표보기 - 성재한 대통령 표창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성재한 건국포장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성재한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출생지 신창현 원당 -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지도보기
활동지 홍주성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412-6
묘소 성재한 묘 -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백석리
성격 의병
성별
본관 창녕
대표 경력 홍주의진 운량관

[정의]

개항기 충청남도 아산 출신의 의병.

[개설]

성재한(成載翰)[1860~1906]은 홍주의진(洪州義陣)에 참여하여 운량관(運糧官)으로 활동하였으며, 1906년(고종 43) 5월 31일 홍주성(洪州城) 전투에서 분전하였으나 전사하였다.

[가계]

성재한의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운거(雲擧), 일명 성재평(成載平)이다. 1860년(철종 11) 2월 17일 신창현(新昌縣) 원당(元堂)[현재 아산시 도고면]에서 태어났으며, 본적지는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예산리 127로 되어 있다.

[활동 사항]

성재한은 재야 유생으로 1904년(고종 41) 2월 한일의정서(韓日議政書)가 발표되자 예산·홍성·보령 등지를 돌며 항일투쟁을 위한 동지 규합과 여론 조성에 힘썼다. 1905년(고종 42) 11월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1906년(고종 43) 2월 하순 정산[현재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에 있는 민종식(閔宗植)의 집에 모여 거병 절차를 논의한 뒤 3월 중순 광수[현재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에서 봉기하였다. 이때 민종식 창의대장(倡義大將)을 중심으로 종사관(從事官) 홍순대(洪淳大), 중군사마(中軍司馬) 박윤식(朴潤植), 참모관(參謀官) 박창로(朴昌魯), 군사마(軍司馬) 안병찬(安炳瓚) 등으로 편제되었는데, 성재한은 곡식 등 물자를 운반하는 운량관으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1차 홍주의진은 홍주성 공략에 실패하고, 광수로 회진한 뒤 공주 공략을 위해 출발하다 청양에서 일본군 공격을 받아 패배하고 뿔뿔이 흩어졌다.

민종식 의병장은 1906년 5월 11일 2차 홍주의진을 창의하였고, 마침내 5월 19일 홍주성을 점령하였다. 이때도 성재한은 박제현(朴齊賢)과 함께 운량관 역할을 수행하였다. 쫓겨간 일본군은 경성에서 보병 2개 중대와 공주 등 대한제국군 진위대(鎭衛隊) 병력과 일본군을 모두 홍주성 탈환에 투입하였다. 민종식 의병장은 5월 31일 홍주성이 일본군에게 함락될 때까지 의진을 개편하며 연일 혈전을 거듭하였다.

결국 형세가 이미 기울어 민종식 의병장은 성을 넘어 피신할 수밖에 없었다. 성재한, 전태진(田泰鎭), 서기환(徐基煥), 전경호(田慶浩), 유준근(柳濬根) 등은 성을 사수할 것을 결심하고 성에 남았다. 이때 성재한은 "나는 중한 책임이 있다. 이 문부(文簿)들을 안고 장차 어디로 간단 말이냐?" 하고 성을 떠나지 않았다.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 성은 일본군 화력에 밀려 함락되었고 성재한도 결국 홍주성에서 전사하였다.

[묘소]

성재한의 묘소는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백석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정부에서는 성재한의 공훈을 기리어 1968년 대통령 표창,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각각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조형열 편저, 『한국 근현대 아산 사람들』(순천향대학교 아산학연구소, 보고사, 2014)
  •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