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003
한자 地形
영어공식명칭 Topography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욱

[정의]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나타나는 땅의 기복과 형태.

[지형 조건에 의한 부안의 지역 구분]

지형 조건에 의해 부안군의 지형을 분류하면, 동북부의 평야 지역[계화면, 행안면, 동진면, 백산면], 동부의 구릉 지역[부안읍, 주산면, 상서면, 하서면, 보안면, 줄포면], 서부 변산반도의 산지 지역[변산면, 진서면], 위도 등 도서 지역[위도면]의 4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안군 북부는 계화도 간척지에 의한 인공적인 평지가 있고, 동북부의 동진면백산면고부천동진강 하구를 중심으로 한 하천 퇴적 지역으로 호남평야의 일부이다. 동부 구릉 지역은 남북 방향으로 구릉지성 산지가 이어지는데, 북쪽에서부터 염창산[52.0m], 고성산[68.3m], 상소산[114.9m], 시어산[일명 행안산, 102.9m], 승암산[84.3m], 뉘엉매[105.4m], 주산[231.1m], 장지산[134.0m]으로 이어진다. 산악 지대를 이루는 서남부의 변산반도는 내륙의 내변산과 해안 쪽의 외변산으로 구분된다. 서해안 지역에는 위도와 함께 상왕등도, 하왕등도 등 35개의 섬이 분포하며[유인도 7개, 무인도 28개], 부안군의 해안선 길이는 173.3㎞이다.

변산반도는 행정 구역으로는 변산면, 진서면, 보안면, 상서면, 하서면에 해당한다. 변산반도는 산지 지역인 내변산과 해안 지역인 외변산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변산부안군 변산면중계리상서면청림리에 해당하고, 외변산은 주로 변산면의 서부 해안 지역을 의미한다.

[변산반도의 내륙 지역]

부안군의 남서부에 있는 변산반도의 산지는 대부분 변산반도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변산반도 국립 공원의 위치는 동경 126° 37' 40"~126° 44' 20", 북위 34° 21' 40"~34° 47' 20"의 범위이며, 면적은 153.934㎢이다. 1971년 도립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88년 6월 국립 공원으로 승격되었다.

변산반도내변산 지역은 북쪽에서부터 최고봉인 의상봉[508.6m]을 중심으로 북옥녀봉[354.7m], 동쪽으로는 우금산[329.0m], 상여봉[395.0m], 남쪽으로는 남옥녀봉[434.4m], 세봉[433.0m], 관음봉[424.5m], 신선봉[488.2m], 서쪽으로는 망포대[494.1m], 낙조대[447.0m], 쌍선봉[460.7m]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변산반도는 지질적으로는 백악기(白堊紀)의 화산 활동에 의한 유문암과 응회암 등의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층선은 말재[86m]와 바드재[180m] 주변의 두 곳에서 남북 방향으로 나타난다.

변산반도의 산지는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흐르는 백천 유역을 둘러싸고 있는데, 북쪽에는 변산반도에서 가장 높은 의상봉, 쇠뿔 바위, 북옥녀봉으로 연결되는 북부 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부에는 우슬재[120m]에서 바드재 사이의 산지로 우금산, 상여봉 등이 있다. 그리고 남부에는 바드재에서 말재 및 갑남산[413.4m]에 이르는 산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남옥녀봉, 용각봉[370.0m], 세봉, 관음봉, 신선봉, 갈마봉[486.4m] 등이 있다. 그리고 서부에는 망포대, 분초대[422.0m], 낙조대, 쌍선봉 등의 산지가 있다.

변산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은 북부에 있는 의상봉이며, 400m 이상의 산지로는 망포대, 신선봉, 갈마봉, 쌍선봉, 낙조대, 남옥녀봉, 세봉, 관음봉, 분초대, 갑남산 등이 있다. 그리고 백천 유역 내부에는 삼예봉[355.0m], 덕성봉[332.0m], 천종산[266.4m], 군관봉[294.0m], 선인봉[264.0m] 등이 있다. 이러한 백천 유역 내의 산지는 회양 계곡봉래 계곡과 중계 계곡을 형성하면서 다양한 하천 지형을 보여 주고 있다. 백천 유역에는 상류 지역인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에 하천 유역의 평지가 약간 존재하지만, 백천을 따라 좁은 평지를 형성할 뿐 평탄지가 적다. 현재 중계 계곡은 부안 댐[1996년]에 의해서 수몰 지역이 되었다. 백천 유역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고개로는 동부에서부터 우슬재, 학치[140m], 사창재[220m], 바드재, 재백이 고개[160m], 말재, 남녀치[100m], 중계 터널[120m] 등이 있다.

[변산반도의 해안 지역]

해안에는 변산 해수욕장, 고사포 해수욕장, 모항 해수욕장, 상록 해수욕장, 격포 해수욕장이 있으며, 부안군 변산면에는 변산 온천이 있다. 그리고 천연기념물로는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122호],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123호],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124호] 등이 있다.

바다와 면해 있는 외변산 지역은 북서부 해안, 서부 해안, 남부 해안의 세 개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북서부 해안은 변산 해수욕장, 고사포 해수욕장 등 퇴적과 사빈 해안이 우세하며, 썰물 때만 통행이 가능한 하섬이 위치해 있다. 서부 해안은 격포 해수욕장이 있지만 주로 암석 해안으로 침식 작용이 활발한 적벽강채석강, 용굴[당굴] 등이 있다. 남부 해안은 상록 해수욕장, 모항 해수욕장과 갯벌 등의 퇴적 지형과 솔섬 같은 침식 지형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으나, 남부 해안은 변산반도 국립 공원 지역에서 제외되어 있다.

해안 지형은 구성 물질에 따라 암석 해안과 사빈 해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외변산 지역에서는 서쪽으로 돌출된 서부 해안에 채석강, 적벽강 등의 암석으로 이루어진 침식 해안이 주로 나타난다. 그리고 북서부 해안 지역에는 변산 해수욕장고사포 해수욕장과 같이 사빈 해안이 암석 해안 중간중간에 분포한다.

[하천 수계]

부안군의 하천은 동부 고창군 성내면 동림 저수지에서 시작된 고부천이 북쪽 방향으로 흘러 부안군 백산면에서 동진강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상서면 분수계에서 시작된 백천은 서쪽과 북쪽으로 흘러 회양 계곡봉래 계곡의 물과 합류하여 부안 댐을 거쳐 해창에서 새만금 지역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부안군 상서면 사산 저수지에서 시작된 주상천청호 저수지를 거쳐 서쪽의 새만금 지역으로 유입된다.

내변산 지역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백천 수계에 해당하며, 하류에는 부안 댐[1996년]이 건설되어 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백천우슬재 서쪽에 있는 가는골 저수지에서 시작되어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에서 남쪽에서 흘러오는 거석천[거석제, 청림제]과 합류하고, 더 서쪽으로 흘러 중계교 부근에서 역시 남쪽에서 흘러오는 가마소천[회양 계곡]과 합류하고, 중계교 서쪽에서는 역시 남쪽 봉래 구곡에서 흘러오는 직소천과 합류한다. 그리고 북쪽에서는 의상봉과 쇠뿔 바위 사이의 계곡인 구시골의 물이 합류한다.

지류들을 합류한 백천은 서쪽으로 흘러 부안 댐에서 멈추다가, 해창만의 변산교에서 서해안의 새만금 방조제로 유입된다. 백천으로 흐르는 하천들은 주로 백천의 남쪽에서 흘러오는데 직소천에서는 봉래 계곡, 가마소천에서는 회양 계곡, 백천 본류에서는 중계 계곡을 형성하고 있다. 백천 수계는 북쪽과 남쪽에 400m급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동쪽은 우슬재, 서쪽은 부안 댐을 거쳐 북쪽의 해창만으로 흘러간다[새만금 방조제 내부].

내변산 내부는 백천의 단일 수계로 이루어져 있지만, 내변산 외부의 수계는 내변산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4개 방향으로 흩어진다. 먼저 북쪽은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문수제, 금광제], 하서면 석상리, 상서면 통정리 등 분수계를 중심으로 북쪽으로 흐르는 지류들이 있다. 동쪽은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감교리[개암제, 사산 저수지], 보안면 남포리 신창천[영전 저수지]으로 상서면보안면의 경계를 이루는 호벌치를 분수계로 하여 상서면의 물은 북쪽으로, 보안면의 물은 남쪽으로 흐른다. 남쪽은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우동제], 진서면 진서리[연동제], 진서면 석포리[석포천, 석포제], 진서면 운호리[운호 저수지, 말재] 지역으로 남쪽으로 흐른다. 서쪽은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격포리의 종암 방죽, 마포리유유제, 운산리의 운산제 등이 있다.

변산반도에서 가장 물이 풍부하고 하천 지형이 다양하게 발달한 곳은 내변산 지역의 백천 유역이다. 백천변산반도의 동북쪽 우슬재에서 시작하여 서북쪽 변산교 방향으로 흘러 새만금 지구를 거쳐 서해로 흘러간다[본류 약 18㎞]. 백천 유역은 내변산에 해당하며 중계 계곡, 봉래 계곡, 회양 계곡 등이 형성되어 있다.

백천의 지류는 북쪽 의상봉과 쇠뿔 바위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구시천[구시골]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먼저 남쪽의 바드재와 학치에서 시작하는 거석천은 거석제와 청림제의 인공 저수지를 거쳐 북서 방향으로 흘러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 거석교에서 백천과 합류한다. 하천 주변에는 하천 퇴적물로 평탄지가 형성되어 마을과 농경지가 있으며 바드재를 통하여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보안면 우동리를 연결하는 군도가 개설되어 있다. 평지로 되어 있어 하천 지형의 발달은 미미하다.

회양 계곡은 용각봉과 남옥녀봉 사이의 계곡물이 서쪽으로 흐르는데, 이 물은 세봉에서 시작된 가마소 계곡과 가마소에서 합류하여 북쪽으로 흘러 군관봉과 천종산의 사이를 지나 백천으로 유입된다. 이 계곡에는 와룡소와 가마소 등의 폭포와 소 등 다양한 하천 지형이 형성되어 있다.

봉래 계곡직소천은 망포대와 신선봉에서 시작되어 동쪽으로 나아가다가 북쪽으로 흐르는데, 폭포와 소 등을 9개 형성하면서 중계교 부근에서 백천과 합류한다. 봉래 계곡은 9개의 하천 지형으로 인하여 봉래 구곡[대소 폭포, 직소 폭포, 분옥담, 선녀탕, 봉래곡, 영지, 금강소, 백천, 암지]이라고도 한다. 봉래 계곡백천의 지류 중 가장 수량이 많고 고도 차이[구배]가 커서 다양한 하천 지형이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