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070
한자 扶安彩石江赤壁江一圓
영어공식명칭 Buan Chaeseokgang and Jeokbyeokgang Area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301-1|252-20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4년 11월 17일연표보기 -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명승 제13호 지정
전구간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 전라북도 부안군
해당 지역 소재지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301-1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252-20
성격 명승지
면적 600,574㎡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채석강적벽강 일원의 자연 명승이며 지형적으로는 파랑의 침식 작용에 의해 해안에 형성된 절벽.

[개설]

변산반도의 해안 지역은 북서부 해안[변산 해수욕장, 고사포 해수욕장], 서부 해안[적벽강, 용굴, 채석강, 격포 해수욕장], 남부 해안[상록 해수욕장, 모항 해수욕장, 솔섬]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채석강(採石江)적벽강(赤壁江)은 서부 해안에 해당하면서 변산반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침식 해안 지형이다. 해안 지형은 구성 물질에 따라 암석 해안과 사빈 해안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채석강적벽강은 암석 해안으로 기반암(基盤巖)이 바다에 노출되어 해식애(海蝕崖), 해식동(海蝕洞), 파식대(波蝕帶), 시스택(sea stack), 시아치(sea arch), 노치(notch), 마린 포트 홀(marine pot hole), 타포니(tafoni) 등 암석 해안의 전형적인 지형이 나타난다.

해식애는 파랑의 침식 작용인 파식(波蝕)에 의해 형성되는 해안의 급사면[절벽] 지역으로, 주로 암석 해안에서 발달한다. 해식애가 파식에 의해 침식되면서 후퇴할 때 단단한 부분은 시스택으로 남으며, 약한 부분은 해식동[동굴]이 만들어지거나 시아치로 남기도 한다. 변산반도에서 해식애가 나타나는 곳은 대항리 해변, 적벽강, 채석강, 봉화봉 서쪽 해안 등이다. 파식대는 해식애가 후퇴하면서 형성되는 기반암의 평평한 침식면인데, 파식대와 해식애는 동시에 나타난다. 화강암과 같이 등질적인 암석의 파식대는 표면이 매끈하지만, 기울어진 퇴적암층의 파식대는 바닥이 거칠다. 채석강적벽강에 형성된 파식대는 퇴적암층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바닥이 거친 편이다. 서해안 지역에 형성된 파식대는 만조 때만 파식을 받기 때문에, 후빙기 이전의 최후 간빙기 때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변산반도에서 파식대가 관찰되는 곳은 채석강적벽강 그리고 봉화봉 서쪽 해안 지역이다. 해식 동굴은 적벽강[용굴]과 채석강[십자 동굴]에 있다.

격포리에 분포하는 격포리층은 백악기(白堊紀) 호수 환경이던 격포 분지를 채운 쇄설성 퇴적암과 화산 쇄설암으로 구성되었는데, 채석강적벽강에서 잘 관찰할 수 있다. 격포리층의 서쪽과 북쪽은 각각 쥐라기 화강암을, 남쪽은 석포 응회암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 격포리층은 주로 역암, 역질 사암, 사암, 암회색 이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산력 응회암 및 응회 각력암이 여러 층 속에 끼어 나타나기도 한다. 퇴적층 내에는 소규모의 역단층, 정단층, 퇴적 동시성 습곡 구조, 불꽃 구조 및 관입 구조 등이 관찰된다. 또한 채석강적벽강에서는 퇴적물이 고화되기 이전에 사태 또는 물의 유동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크고 작은 규모의 층 내 교란 구조[미고결 변형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명칭 유래]

채석강이라는 명칭은 당나라 시인 이태백(李太白)[701~762]이 술을 마시며 놀았다는 중국의 채석강과 흡사하다고 하여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적벽강이라는 명칭은 당나라의 시인인 소동파(蘇東坡)[1036~1101]가 놀았다는 중국의 적벽강과 흡사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환경]

1. 채석강

채석강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301-1번지 일대 지역[면적 12만 7372㎡]으로, 변산반도 국립 공원 지역 내에 위치한다. 변산반도 서쪽 끝의 닭이봉[鷄峰] 일대 1.5㎞의 층암절벽(層巖絕壁)과 바다를 총칭하는 지명으로 변산 팔경(邊山八景) 중의 하나인 채석범주(彩石帆舟)에 해당한다.

격포항 오른쪽[북쪽]의 닭이봉 아래 절벽에는 수성암 단층이 여러 채색으로 나타난다. 이곳은 격포리층으로 역암 위에 역암과 사암, 사암과 이암, 셰일, 화산회로 이루어진 이암의 층서(層序)가 호층(互層)을 이루고 있다. 과거 화산 분출물이 깊은 호수 밑바닥에 퇴적된 수중 삼각주가 드러난 것으로 추정된다. 채석강의 절벽에는 습곡(褶曲)과 단층(斷層) 구조, 관입 구조와 파식대, 십자 동굴 등의 해식 동굴 같은 다양한 지질적 구조와 지형적 특성이 나타난다. 현재도 파랑의 침식 작용에 의해 해안 절벽이 후퇴하는 과정에 있다.

지층의 단면을 보면 퇴적물이 차곡차곡 쌓여 만들어진 평행 구조[층리]로 격포리층의 퇴적 구조를 볼 수 있다. 또한 지층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끊어진 지질 구조를 단층이라고 하는데, 채석강에서는 단층면의 기울기가 거의 수평으로 놓인 충상 단층(衝上斷層)이 약 20m 정도의 규모로 나타난다. 이 지점은 셰일층과 사질층의 퇴적층으로 되어 있다. 채석강은 해수의 침식을 받아 퇴적층의 단면이 잘 드러나 있는데, 정단층과 역단층을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적벽강

적벽강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252-20번지 일대에 있는 해식애 지역으로, 길이는 약 2㎞ 정도이다. 적벽강수성당(水城堂)이 있는 용두산(龍頭山) 아래와 대마골과 여울굴 등 층암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적벽강 일대는 선캄브리아기에 속하는 화강암과 편마암을 기반암으로 하고, 약 8000만~6000만 년 사이 중생대의 백악기에 퇴적된 셰일과 석회질 셰일, 사석, 역암 등이 호층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중생대 말기에 분출한 규장암이 뚫고 들어왔으며, 단층과 습곡이 잘 발달되어 있다.

적벽강 일대의 격포리층은 각력암, 화산 쇄설성 역암, 화산 쇄설성 사암, 실트암 및 흑색 셰일로 이루어진 약 500m 두께의 비해성층으로, 주향 이동 단층대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층서를 보면 하부는 응회암층과 여러 층의 각력암으로 되어 있고, 상부는 사암과 흑색 셰일, 슬레이트가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상부의 셰일과 슬레이트는 풍화를 많이 받아 깨지기 쉽게 변한 상태이다. 그리고 죽막동 해안을 따라서 규소가 많은 혼펠스(hornfels) 층이 퇴적암체에 끼어 있는데, 이는 퇴적암이 형성되는 중에도 화산 활동이 있었음을 말해 준다.

또한 적벽강에서는 격포리층과 곰소 유문암의 경계를 관찰할 수 있다. 격포리층과 곰소 유문암의 경계부를 따라서는 페퍼라이트(peperite), 하부 이암이 상부 유문암 내로 주입된 불꽃 구조 등이 관찰된다. 페퍼라이트는 마그마가 물을 함유한 퇴적물과 만나 서로 뒤섞이면서 형성된 밝은 암석과 어두운 현무암이 섞여 마치 후추를 뿌려 놓은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직 단단하게 굳지 않아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퇴적물에 마그마가 흘러들면서 수분이 팽창하여 폭발하면서 퇴적물과 암석 파편이 뒤섞인 상태가 굳은 것이다. 적벽강에 나타나는 페퍼라이트는 두께 약 3m 미만이며, 다양한 형태의 뿔 모양의 유문암편이 이암과 불규칙하게 섞여 있다.

단층은 암석의 갈라진 틈을 경계로 양쪽 암반이 미끄러져 위치 변화가 생긴 것인데 비하여, 절리(節理)는 틈만 생기고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은 것이다. 절리는 마그마나 용암이 냉각하면서 수축에 의해 생기기도 하고 지하 깊이 있던 암석이 융기하면 압력이 감소하여 체적이 팽창하면서 생성되기도 한다. 주상 절리(柱狀節理)는 기둥 모양의 절리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인데, 용암이나 화산 쇄설물(瑣屑物)이 분출되어 굳어진 화산암 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변산반도 지역에서는 적벽강에 분포하는 유문암, 직소 폭포 주변의 변산 응회암, 와룡소 폭포에서 주상 절리가 나타나고 있다.

[현황]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은 2004년 11월 17일 명승 제13호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60만 574㎡이다. 채석강의 북쪽에는 모래 해안인 격포 해수욕장이 있으며, 절벽 위 닭이봉 정상에 있는 팔각정 전망대에서는 멀리 위도(蝟島)와 칠산(七山) 앞바다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채석강 남쪽의 격포항[1987년 1종항 지정]에는 선박을 위한 방파제가 설치되어 있다.

적벽강수성당[현 건물은 1972년에 신축]이 있는 용두산 아래와 대마골과 여울굴 등 층암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곳에는 어로 민속과 토속 신앙의 전설이 있다. 수성당은 서해의 칠산 어장을 관장하는 해신(海神)인 개양 할미와 그의 딸 8자매를 함께 모신 제단이다. 이곳을 부안 죽막동 유적이라고 부르는데, 삼국 시대 이후 제사와 관련된 다양한 유물이 발견된 유적지이다[1992년 발굴]. 바다와 접해 있는 해발 22m의 절벽 위에 위치해 있고 변산반도의 최서단에 위치해 있어서, 서해상에 위치해 있는 고군산열도(古群山列島), 상왕등도(上旺登島), 위도, 식도(食島), 비안도(飛雁島) 등 주변의 섬들과 먼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지점이다.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죽막동 옆에는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123호]이 자생하고 있다. 용두산 지역은 동쪽 해안에서 볼 때 사자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사자 바위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