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277
한자 廣輿圖扶安縣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세기 중반 - 『광여도』「부안현」 제작
현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소유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정의]

18세기 중반 제작된 『광여도』에 수록되어 있는 부안현 지도.

[개설]

『광여도(廣輿圖)』는 18세기 중반[영조 13~영조 52년경]에 제작된 작자 미상의 전국 지도로, 전라도 부안현(扶安縣)의 산천(山川), 읍면(邑面), 도서(島嶼)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광여도』는 채색 필사본 지도로 7책 381장의 지도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크기는 36.8×28.6㎝이며, 책 안의 지도 크기는 31.6×24.3㎝이다. 『광여도』에는 세계 지도, 외국 지도, 요계관방도(遼葪關防圖)[요동 지역과 북경 근처의 계(葪) 지역에 이르는 성책과 장성 등을 세밀히 그린 국경 방비를 위한 지도], 조선 전도 뒤로 각 도별 지도와 군현 지도들이 수록되어 있다. 경기도 1책, 충청도 2책, 전라도 3책, 경상좌도 4책, 경상우도 5책, 평안도 6책, 황해도 6책, 강원도 7책, 함경도 7책 등 총 1~7책에 걸쳐 도 지도와 군현 지도, 그리고 주요 군사적 요충지의 지도들이 실려 있다. 총 7책 중 3책 전라도 편에 부안현의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특징]

부안현은 현재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계화면, 동진면 일대, 보안면, 변산면, 상서면, 위도면, 주산면, 줄포면 일대, 하서면, 행안면, 진서면 일대 지역이었다. 읍치는 현재 부안군 부안읍 동중리 일대에 위치해 있다.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태에 맞추어 지도를 그렸으며, 별도의 주기(朱記)나 기록은 없다. 관내 행정 구역으로는 상동면(上東面), 하동면(下東面), 동도면(東道面), 하도면(西道面), 남면(南面), 일도면(一道面), 이도면(二道面), 상서면(上西面), 하서면(下西面), 염소면(鹽所面), 좌산내면(左山內面), 우산내면(右山內面), 입상면(立上面), 입하면(立下面), 건선면(乾先面)이 보인다. 진영(鎭營)으로는 격포진(格浦鎭), 위도진(蝟島鎭)이 있었고, 계화도(界火島)에 봉화가 설치되어 있었다. 동도면에는 읍성과 함께 관아가 보이고, 격포진에도 객사(客舍)가 있었다. 또한 실상사(實相寺), 내소사(萊蘇寺), 개암사(開巖寺)와 함께 월명암(月明庵), 우진암(禹陳庵), 석재암(石在庵) 등 종교 시설도 나타나 있어 부안현 관내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광여도』는 18세기 영조 연간의 조선의 모습은 물론 전라도 부안현의 모습을 담고 있다. 산천, 바다와 포구 등 자연 지리 정보는 물론, 관아(官衙), 사찰, 진영(鎭營), 봉화, 행정 구역, 지명 등 인문 지리 정보 또한 풍성하게 수록되어 있어 당시 부안현의 모습을 고찰하고 연구하는 데 꼭 필요한 역사적 사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