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591
한자 浮雪居士
영어공식명칭 Buseol-Geosa
이칭/별칭 진광세(陳光世),의상(宜祥)
분야 종교/불교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김병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지 월명암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내변산로 236-180[중계리 산96-1]지도보기
성격 승려
성별

[정의]

신라 선덕 여왕 시대 부안에서 활동한 승려.

[활동 사항]

부설 거사(浮雪居士)의 속세 이름은 진광세(陳光世)이고, 자는 의상(宜祥), 법명이 부설(浮雪)이다. 남북국 시대인 7세기에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에서 불법을 수행한 부설 거사는 흔히 인도의 유마 거사(維摩居士), 중국의 방거사(龐居士)와 더불어 대표적인 3대 거사 중의 한 명으로 존숭을 받았다고 전해지는 설화적 인물이다. 부설 거사가 활동하던 때는 신라의 의상(義湘), 원효(元曉) 등이 활약하던 시기로, 종래에는 그에 대한 활동에 대해서는 구비 설화로만 전해 내려왔다. 하지만 부안의 월명암(月明庵)[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서 17세기에 쓰여진 「부설전(浮雪傳)」이라는 한문 필사본이 발견됨으로써 부설 거사의 생애나 행적, 일화 그리고 그가 남긴 선시(禪詩) 등을 좀 더 알 수 있게 되었다. 지금도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이런대로 저런대로 되어가는 대로[此竹彼竹化去竹]’로 시작되는 「팔죽시(八竹詩)」도 여기에 수록되어 있다.

부설 거사는 본래 신라 진덕 여왕[재위 647~654] 초에 서라벌[경주]의 남쪽에 있던 향아마을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이미 어릴 적부터 범상치 않은 면모를 보여 일찍이 깨달음을 얻어 법명을 ‘부설(浮雪)’이라 하였다는 것이다. 부설 거사는 불법에 뜻을 같이 하는 두 친구인 영조(靈照), 영희(靈熙)와 함께 구도의 길을 떠나 두류산[지리산]과 천관산(天冠山)을 거쳐 능가산(楞伽山)[전라북도 부안군 변산]에 들어가 묘적암을 세우고 오직 수도에만 몰두하였다. 그리고 다시 문수보살을 친견하기 위해 오대산으로 길을 떠났는데 부설원[현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에 이르렀을 때 묘화(妙花)라는 여인을 만나 부부의 연을 맺게 되었다. 환속한 부설은 두 친구와 이별을 고하였다. 따라서 부설은 속인이 된 것처럼 보이지만 부설과 묘화 부부는 일평생 남몰래 수도에 정진하여 도력이 출중하였다. 부설보다도 불법이 낮았다고 생각되는 묘화마저도 환한 대낮에 조화를 부려 비나 눈을 내리게 할 정도였다고 하니 부설 거사의 법력은 미루어 짐작할 만하다.

세월이 흘러 영조와 영희는 이름난 산들을 두루 돌아다니다가 다시 부설을 찾아와 서로 도력을 겨루었다. 부설과 영조, 영희가 각기 물병을 깨트렸으나 오로지 부설만이 깨진 물병의 물이 흘러나오지 않고 들보에 그대로 매달려 있었다고 한다. 부설은 묘화와의 사이에 등운(登雲)이란 아들과 월명(月明)이란 딸을 낳았는데 말년에 아들은 공주 계룡산에 있는 등운암에, 딸은 부안 변산에 있는 월명암에 각각 출가시켜 도를 이루었다. 그 중 월명암은 관음보살을 모신 곳으로 대둔산의 태고사, 백운산의 운문암과 더불어 호남의 3대 영지 중 한 곳이 되었다. 월명암은 692년(신문왕 12)에 부설 거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부설전」에는 부설, 영조, 영희가 주고받은 게송(偈頌)과 부록으로 「팔죽시」 등 부설 거사가 지었다는 몇 편의 시가 실려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