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리와 이삼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192
한자 巴山里-李三晩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파산리
시대 시대 미상
집필자 김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0년 - 「파산리와 이삼만」 『전설지』에 수록
관련 지명 파산리 -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파산리지도보기
채록지 동중리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동중리지도보기
성격 설화|지명 유래담|인물담|풍속 유래담
주요 등장 인물 이삼만|도승
모티프 유형 지명 유래|풍속 유래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파산리에서 뱀을 퇴치한 이삼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이삼만(李三晩)[1770~1847]은 조선 후기의 서도가로, 자는 윤원(允遠), 호는 창암(蒼巖)이며, 본관은 전주이다. 어릴 적의 이름은 규환이었는데, 30세 이후에 ‘삼만’으로 개명하였다. 이삼만은 별도의 스승 없이 어린 시절에 당대 명필이었던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1705~1777]의 서첩을 보고 글씨를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동 칠불암(七佛庵)의 편액과 전주판(全州板) 칠서(七書)도 그의 필적이라고 한다. 또한 전주 제남정(濟南亭)의 편액을 비롯하여 다수의 편액을 썼다. 「파산리와 이삼만」은 마을 이름이 변하게 된 이유를 알려주는 지명 유래담이자, 뱀이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뱀뱅이의 풍속 유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0년 전라북도에서 간행한 『전설지』에 「파산리와 이삼만」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동중리 주민 김대술[남, 47세]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줄포면에 ‘파산리’라는 마을이 있는데 예전에는 무성한 갈대밭이었다. 5백여 년 전에 풍천 임씨와 김해 김씨가 이 갈대밭을 일구어 마을을 이루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날 한 도승이 마을의 지형을 보고는 마을이 사실형(蛇室穴)으로 생겨서 ‘뱀들의 집’ 형국이니 앞으로 뱀이 많이 들끓겠다고 했다. 그 후에 과연 뱀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마을이 번창하면 할수록 뱀들이 많아지더니 어느 해에는 수많은 뱀이 어디에선가 몰려와서 온 집에 몰려다니고 마을의 길에도 뱀이 넘쳐나 도무지 살 수가 없었다. 마을 사람들이 모두 나서서 뱀을 잡고 잡아내도 끝없이 몰려들어 한 집 두 집 마을을 떠나는 사람이 생겨나 폐촌이 될 지경에 이르렀다.

이때 마침 글씨를 잘 쓰는 이삼만(李三晩)이라는 사람이 전주에 살았는데 그 아버지가 뱀에게 물려 죽었다. 그래서 이삼만은 아버지를 죽인 뱀을 원수로 여겨 산으로 들로 다니며 뱀을 찾아 죽이는 것을 일로 삼고 있었다. 이삼만이 파산마을에 뱀이 들끓는다는 소식을 듣고 이 마을에 찾아왔다. 이삼만은 뱀들에게는 저승사자와 같은 존재여서 뱀들이 이삼만이 왔다는 소식을 들었는지 하루아침에 씻은 듯이 모두 없어졌다. 이삼만이 날마다 수많은 뱀을 죽이기 때문에 뱀들은 ‘이삼만’ 이름만 듣고도 숨어버린 것이다.

그 후부터 마을 이름을 ‘사실리(蛇室里)’에서 ‘파산리(琶山里)’로 고쳐 쓰다가, 일제 강점기 때 다시 ‘파산리(巴山里)’로 바꿨다. 파산리에서는 이삼만이 뱀을 퇴치하였다 하여 매년 정초가 되면 뱀날[巳日]에 ‘李三晩’을 종이에 써서 해 뜨기 전에 집안의 곳곳에 붙여 뱀이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뱅이[防이]’를 하게 되었다. ‘뱀뱅이’를 하는 풍속은 줄포면 파산리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파산리와 이삼만」의 주요 모티프는 ‘지명 유래’, ‘풍속 유래’ 등이다. 「파산리와 이삼만」은 ‘파산리’라는 마을이 어떻게 생기서 변하게 되었는 지와 이 마을에서 ‘이삼만’이라는 이름으로 뱀뱅이를 하게 된 유래를 밝히고 있는 이야기이다. 즉 마을 유래담과 뱀뱅이 풍속 유래담 화소가 섞여 있는데, 이삼만이라는 인물과 뱀을 관련짓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부안군 설화 대중들은 뱀을 유독 잘 잡는 이삼만에 대한 소문을 듣고, 그것을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지키기 위한 인물담으로 이끌어온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실제로 유명한 서예가인 창암 이삼만의 글씨체 중에 뱀을 형상화한 ‘뱀이 꿈틀거리는 글씨체’의 작품이 많다. 이러한 이삼만의 ‘글씨체’와 뱀 관련성도 내포적으로 녹아든 설화가 되고 있어 흥미롭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