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냥 내기 수수께끼로 아버지를 구한 아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196
한자 千兩-求-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시대 미상
집필자 김영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3년 - 「천 냥 내기 수수께끼로 아버지를 구한 아들」 『한국구비문학대계』 5-3 전라북도 부안군편에 수록
성격 설화|지략담
주요 등장 인물 선비|큰아들|작은아들|어머니|주인
모티프 유형 수수께끼 내기|큰아들의 지혜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천 냥을 건 수수께끼 내기로 아버지를 구한 아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수수께끼는 어떤 사물에 대하여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고 비유적으로 그 사물의 뜻이나 이름을 맞히는 놀이로, 질문에 대해서 재치 있는 대답을 요구하는 퀴즈이다. 그런데 이때 정답은 사실에 근거한 것보다 말의 의미를 억지로 가져다 붙인 것이거나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익살이나 농담, 말장난인 경우가 많다. 「천 냥 내기 수수께끼로 아버지를 구한 아들」 이야기는 큰아들이 지혜로써 머슴살이를 하는 아버지와 동생을 구했을 뿐만 아니라 돈 천 냥도 되찾았다는 말장난이자 일종의 지략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1983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5-3 전라북도 부안군편의 338~343쪽에 「천 냥 내기 수수께끼로 아버지를 구한 아들」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부안에 사는 어느 선비가 두 아들을 두었는데, 가르쳐 보니 큰아들은 못나고 작은아들은 영리했다. 그래서 선비는 큰아들은 포기하고 작은아들만 아들로 인정했다. 이때 어떤 집에서 수수께끼를 맞히면 돈 천 냥을 준다는 소문이 돌자 선비는 작은아들을 데리고 가서 수수께끼에 도전했다. 그런데 선비와 작은아들은 첫 번째 수수께끼를 맞추지 못해서 돈 천 냥을 잃었다. 선비는 억울한 마음에 두 번째 수수께끼에 도전했고 그마저 맞추지 못했다. 첫 번째 수수께끼는 동네 어귀에 있는 정자나무 가지 수를 맞추는 문제였고, 두 번째 문제는 죽어 가죽이 되어버린 말이 도망갔는데 붙잡는 방법이 무엇이냐는 문제였다. 결국, 두 번째 수수께끼 문제마저 맞추는데 실패한 선비와 작은아들은 그 집 머슴을 살게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큰아들은 어머니에게 하소연해서 돈 천 냥을 마련하여 그 집을 찾아갔다. 주인은 같은 문제를 냈는데 첫 번째 수수께끼에 대해서 큰아들은 “네 머리카락 수는 몇 개냐.”고 반문하여 이기고, 두 번째 수수께끼에 대해서는 “죽은 말을 붙잡으려면 겨울에 난 원추리가 있으면 된다.”고 대응했다. 원래 여름에 나는 원추리가 겨울에 나는 것은 말이 안 되듯, 죽은 말이 도망가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논리로 반박한 것이다. 그렇게 해서 큰아들은 아버지와 동생을 머슴살이에서 구했을 뿐만 아니라 돈 천 냥도 되찾았다. 이후로 아버지는 잘나도 못나도 큰아들[장자]이 최고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천 냥 내기 수수께끼로 아버지를 구한 아들」의 주요 모티프는 ‘수수께끼 내기’, ‘큰아들의 지혜’ 등이다. 「천 냥 내기 수수께끼로 아버지를 구한 아들」 이야기는 지역적 특성이 사라진 민담의 형태로 전승되는 설화이지만 장자(長子)가 최고라는 부안 지역 대중들의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한국구비문학대계』 5-3 전라북도 부안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 무형문화유산온라인지식사전(http://www.ichpedia.or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