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볏단 쌓는 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207
이칭/별칭 「볏단 쳐올리는 소리」,「나락 쳐내는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시대 시대 미상
집필자 김성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6년 5월 1일 - 「나락 쳐내는 소리」 이소라가 조경열과 이택종에게 채록
채록 시기/일시 1987년 1월 28일 - 「볏단 쳐올리는 소리」 이소라가 김복만에게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볏단 쌓는 소리」 『한국의 농요』-제3집에 「볏단 쳐올리는 소리」와 「나락 쳐내는 소리」로 채록
채록지 가오리|삼간리 -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지도보기|행안면 삼간리지도보기
성격 민요|노동요
기능 구분 농업 노동요
형식 구분 대화형 사설조
가창자/시연자 김복만|조경열|이택종

[정의]

전라북도 부안 지역에서 벼베기로 묶은 볏단을 벼늘로 쌓을 때 부르는 노동요.

[개설]

「볏단 쌓는 소리」는 베어서 한 단씩 묶어 놓은 볏단을 벼늘[낟가리]로 쌓기 위하여 위로 던지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이를 「볏단 쳐올리는 소리」, 「나락 쳐내는 소리」 등이라고도 한다. 일꾼들은 볏단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동작상의 호흡을 맞추기 위하여, 또는 볏단의 양을 파악하기 위하여 「볏단 쌓는 소리」를 불렀다.

[채록/수집 상황]

「볏단 쌓는 소리」는 전국적으로도 매우 희귀한 민요이다. MBC문화방송이 편찬한 『한국민요대전』 중에서 충청남도 부여에서만 딱 한 곡이 조사될 정도이다. 1993년 이소라가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발행한 『한국의 농요』 제3집에는 「볏단 쌓는 소리」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이소라가 1986년 5월 1일 부안군 행안면 삼간리에서도 주민 조경열[출생년도 불명]과 이택종[1919년생]으로부터 「나락 쳐내는 소리」를 조사한 것이다. 사설 내용으로 볼 때 이 노래는 「볏단 쌓는 소리」로 보인다. 또한 1987년 1월 28일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마을에서 주민 김복만[1920년생]으로부터 채록하였는데, 이소라는 이 노래를 수록하면서 곡명을 「볏단 쳐올리는 소리」라고 명기하였다.

[구성 및 형식]

「볏단 쌓는 소리」는 아래에서 위로 볏단을 던지는 사람과, 벼늘 위에서 볏단을 받아 쌓는 사람과의 호흡 일치를 이루기 위해서 부른다. 만약 아래에서 던졌는데 위에서 잡아채지 못하면 볏단이 미끄러져 떨어져 버린다. 그래서 “올라간다”, “받아라” 등의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목적의 노래이다. 볏단의 숫자를 세기 위한 목적도 당연히 뒤따른다. 그런 까닭인지 부안군의 「볏단 쌓는 소리」는 선율형이라기 보다는 ‘대화형 사설조’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아래에서 볏단을 위로 던져주는 사람이 말로 다음과 같이 왜장을 치듯 말을 던진다. 부안군 상서면행안면 소리가 대동소이하다. 다음은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마을에서 채록한 김복만의 「볏단 쌓는 소리」 사설이다.

자 어여들 부지런히들 허세/ 얼른들 미고가세 해 져가니/ 올라간다 올라가 이놈은 뒤에가 붙고/ 이놈은 앞에가 붙고/ 이놈은 가운데가 붙어야/ 올라간다 올라가 춘향보듯이/ 샛거리 나와 갯서리 올라간다 올라가/ 얼른들 부지런히들 들와들 잡어 하나 둘 서이로구나/ 니러만 가면 넷이로다/ 다섯 여섯 일곱 야달 아홉 열 이놈이 가면/ 열하나 열두 다발 요놈이 가면 열셋이로다/ 이놈이 가면 열네 다발 올라간다 올라가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볏단은 논에서 베자마자 쌓는 것이 아니다. 벼베기를 마치면 볏단으로 묶어서 물기가 없는 곳이나 논두렁에 일렬로 세워 놓는다. 이것을 ‘줄알이’라고 한다. 벼를 말리기 위함이다. 한 열흘쯤 뒤에는 다시 앞뒤를 바꾸어 ‘되줄알이’를 친다. 그 다음에는 볏단의 꼬랑이를 말리기 위해서 볏단을 열 다발씩 열십자 모양으로 쌓는다. 이것을 ‘발알이’라고 한다. 볏단이 늦가을 햇볕에 다 말랐다 싶으면 지게로 등짐을 해서 집마당으로 옮긴다. 이때 「등짐 소리」를 부른다. 이렇게 옮기면서 동시에 벼늘을 높이 쌓는다. 벼늘을 쌓아 놓았다가 필요에 따라 품앗이나 놉을 얻어 나락을 훑는다. 과거 순전히 인력으로 농사를 지을 때는 겨울 동안에 부잣집으로 나락 훑으러 다녔다. 이것을 ‘말나락’이라고 한다. 하루 동안 훑은 양을 말[斗]로 되어서 각각 품삯을 주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