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060
한자 貯水池
영어공식명칭 Reservoir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민균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하여 인위적으로 집수 또는 배수하는 인공 저수 시설.

[개설]

저수지(貯水池)는 일정한 구역 내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한 인위적 집수, 도수, 배수 시설이며, 한국농어촌공사 및 기초 자치 단체가 시설을 관리한다. 저수지는 유효 저수량에 따라 1종 시설과 2종 시설로 구분하는데, 유효 저수량 30만㎥를 기준으로 하여 이상이면 1종 시설, 미만이면 2종 시설이다.

충청남도의 남서부에 자리한 부여군은 서북부가 산지이고, 중앙부는 저지대이며, 동남부는 구릉 지대이고, 남동부는 저지대이다. 따라서 지형이 대체로 서쪽과 북쪽이 높고 남쪽과 동쪽이 낮은 ‘서북고 남동저’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부여군 관내 지역을 금강이 북에서 남으로 관통하여 흐르며, 동북쪽에서 지천이, 동쪽에서는 은산천이, 동남쪽에서 금천금강으로 유입된다. 이에 지천금강이 만나는 지역에 넓은 충적 평야가 조성되어 있어 농경지로서 좋은 조건을 갖추었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하천에 보를 막아 저수지를 조성하여 농업에 이용하여 왔다.

[현황]

충청남도에 900여 개의 저수지가 조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부여군은 107곳의 저수지를 농업에 이용하고 있다. 부여군 내 모든 저수지의 총 유효 저수량은 2096만 6400㎥로서, 리터(ℓ)로 환산하면 209억 6640만l에 달한다. 107곳의 저수지 가운데 2022년 9월 8일 현재, 반산저수지, 덕용저수지, 복심저수지, 옥산저수지, 초촌저수지, 화성저수지, 상천저수지, 삼산저수지 등 8곳은 저수량 50만㎥ 이상인 대형 저수지이다.

부여군 내 주요 소류지 및 저수지는, 부여읍에 용정제가, 규암면반산저수지, 함양저수지, 반화동제, 수목지가, 은산면에 옥가제, 후동제, 소금장제, 새터울소류지, 대양제, 내중제가, 외산면에 삼근제, 구산못, 삼산제가, 내산면에 마전1제, 마전2제, 해치제, 녹간제, 율치제, 산저제, 천보제, 묘원제, 서운못이, 구룡면에 현암제가, 홍산면상천저수지, 가롯네소류지, 환희동제, 두이제, 무량곡제가, 옥산면옥산저수지, 상기제, 일유제, 안동제, 수량제, 차동소류지, 세동소류지가, 남면에 대선소류지, 내동소류지, 진곡소류지가, 충화면에 복금저수지, 가화저수지[덕용저수지], 두현1제, 두현2제, 만지제, 상천곡제, 중천곡제, 수철제, 오덕제가 있다.

부여군에는 지천, 은산천, 금천 이외에도 구룡천, 석성천, 사동천, 임천천, 원산천 등 하천이 금강으로 유입되는데, 부여군에 있는 하천 대부분은 이러한 저수지들을 수원으로 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여군지』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https://rawris.ekr.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