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식물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0024
한자 植物相
이칭/별칭 식물 목록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문형태

[정의]

천안시 지역에서 생육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

[개설]

식생(植生)은 어떤 지역을 덮고 있는 식물 집단으로 식물 군집을 지칭한다. 이에 비하여 식물상은 그곳에서 생육하고 있는 모든 식물의 종명(種名)을 동정(同定)하여 목록으로 작성한 것을 말한다. 식물상은 지역 규모에 따라 지구의 전체 식물 목록에 해당되는 지구의 식물상, 우리나라 전체 식물종을 포함하는 한국의 식물상, 충청남도에 자생하는 전체 식물종인 충청남도 식물상, 그리고 지소적으로 계룡산의 식물상, 천안시의 식물상 등으로 사용된다. 보통 식물상은 자연 식생을 구성하는 식물종을 의미하지만 재배종이나 품종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지구 수준에서 생물 종다양성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지역의 식물상 자료는 학술적 그리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천안시의 식물상은 대부분 인근 산지인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 광덕산[699m],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성거산[579m] 등에 관해 1988년에 환경부가 조사한 것이 유일하다.

[성거산의 식생 및 식물상]

성거산은 그 능선이 남북으로 뻗어 있고, 정상을 중심으로 볼 때 동사면보다는 서사면의 식생이 더 다양하였다. 특히 정상의 북서사면에는 다수의 물이 흐르는 계곡들이 있고, 이들 계곡의 물은 정상으로부터 직선거리로 약 2㎞ 떨어진 천흥 저수지로 집수된다. 여러 계곡 중에서도 천흥 저수지로부터 만일사(晩日寺)를 거쳐 정상에 이르는 계곡 주변과 프란치스코 수도원 뒷편 해발 300~400m의 계곡 일원을 성거산에서 대표 식생 지역으로 들 수 있다.

식물상의 구분은 산록대, 중복대 및 산정대로 구분된다. 성거산의 식생은 식물 구계학적(植物區系學的) 위치로 볼 때 온대 중부 아구에 속한다. 그러나 중부 아구의 표징 식물로서 모데미풀속, 금강인가목속, 미선나무속, 금강초롱꽃속의 식물은 성거산에 분포하지 않고, 온대 중부의 특징 수종인 때죽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향나무류, 전나무, 물박달나무, 소나무의 7분류군 중 때죽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노간주나무, 소나무의 5분류군이 분포하고 있고, 온대 남부의 특징 수종으로 제시된 15분류군 중 곰솔, 대나무류, 산초나무, 소나무의 4분류군이, 그리고 온대 북부의 특징 수종으로 제시된 10분류군 중 신갈나무 1종이 분포하고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성거산의 식생은 식물 구계 구분학적으로 온대 중부의 식생에 속하며, 남부 고유 분자들이 일부 유입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성거산에서 희귀하다고 생각되는 식물로는 만일사 주변의 거미고사리와 우단일엽초, 천흥 저수지에서 사리목 고개로 올라가는 계곡에 흰털괭이눈, 프란치스코 수도원 입구에 좁쌀풀 군락이다.

1. 산록대[100~200m]

산록대는 천흥 저수지부터 시작되는데 해발 200m까지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지를 이룬다. 저수지 주변을 따라 도시 근린공원으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산록대에는 왕벚나무를 비롯하여 스트로브잣나무, 은사시나무, 밤나무, 갯버들, 가막살나무, 꽃벚나무, 개벚나무, 붉나무, 생강나무, 조팝나무, 산딸기, 때죽나무, 쥐똥나무, 광대싸리, 조록싸리, 졸참나무, 갈참나무, 물갬나무, 개암나무 등의 목본 식물과 쇠뜨기, 별꽃, 세잎양지꽃, 차풀, 남산제비꽃, 제비꽃, 골무꽃, 고마리, 물봉선, 개망초, 산쑥, 맑은대쑥, 고사리, 억새, 오이풀, 으아리, 괭이밥, 대사초, 강아지풀, 오리새, 실새풀, 메귀리, 참새귀리, 바랭이, 부채마 등의 초본 식물이 우점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만경 식물로는 인동, 으아리, 댕댕이덩굴, 청미래덩굴, 밀나물, 담쟁이덩굴, 노박덩굴, 칡 등이 분포한다.

2. 중복대[200~400m]

해발 200m부터 400m까지는 비교적 인적이 드물고, 경사도 다소 가파른 편으로 서사면의 만일사 위쪽까지이다. 목본 식물로는 소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개벚나무, 굴피나무, 조록싸리, 병꽃나무, 물갬나무, 느릅나무, 철쭉, 산철쭉, 진달래, 생강나무, 당단풍, 때죽나무, 갯버들, 매화말발도리, 찔레꽃, 멍석딸기, 산딸기, 국수나무, 산초나무, 개옻나무, 병꽃나무, 노린재나무, 고로쇠, 비목나무 등이 우점으로 분포하고 있다. 북쪽 능선을 따라서는 정상의 군사 시설을 위한 도로가 있으며 도로변에는 아까시나무의 침입이 해발 500m 이상까지 이루어져 있고, 동사면에는 해발 300m까지 일본잎갈나무가 부분적으로 식재되어 있다. 한편 초본 식물은 고사리, 고비, 애기나리, 둥굴레, 참취, 오이풀, 세잎양지꽃, 노루귀, 벌깨덩굴, 바디나물, 거북꼬리, 매듭풀, 물봉선, 참취, 들깨풀, 단풍취, 맑은대쑥, 주름조개풀, 김의털, 실새풀, 참새귀리, 억새, 대사초, 은방울꽃, 부채마 등이 우점이다. 만경 식물로는 담쟁이덩굴, 노박덩굴, 환삼덩굴, 청미래덩굴, 청가시덩굴, 칡 등이 우점으로 분포한다.

3. 정상대[400m 이상]

만일사[350m] 뒷편 해발 400m부터 정상까지는 경사가 가파른 지역이고, 500m 이상의 지역은 군사 시설물로 인해 실질적인 조사가 불가능하였다. 목본 식물로는 해발 350m부터 신갈나무가 출현하기 시작하며, 소나무, 물푸레나무, 병꽃나무, 땅비싸리, 때죽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 개암나무, 굴피나무, 개옻나무, 작살나무, 팥배나무, 개벚나무, 국수나무, 노린재나무, 누리장나무, 진달래, 산철쭉 등이, 초본 식물로는 김의털, 꽃며느리밥풀, 오이풀, 고사리, 개솔새, 애기나리, 노루발, 삽주, 큰까치수염, 족도리, 바디나물, 참취 등이 자주 출현한다. 신갈나무, 팥배나무, 진달래, 산철쭉, 오이풀, 노루발 등 정상 부근에 출현하는 일부 식물종들의 분포를 제외하고는 중복대와 비슷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갈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의 참나무류와 굴피나무, 붉나무, 당단풍의 우세한 활엽수림에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등의 침엽수가 혼생하고 있는 혼효림이다.

[성거산의 식물 구계학적 특정 식물종]

성거산의 식물 구계학적 특정 식물[한반도 전체로 볼 때 식물의 분포가 얼마나 좁은 범위에 있는지를 기준으로 Ⅰ~Ⅴ의 계급을 구분한 것으로 숫자가 클수록 희귀한 식물임] 중 Ⅴ등급 종으로는 뻐꾹나리, 금붓꽃, 왕벚나무[식재], 오동 등이 있으며, Ⅳ등급 종류는 죽대, 은방울꽃, 큰꽃으아리, 할미꽃, 흰털괭이눈, 매화말발도리, 터리풀, 꽃싸리, 초피나무, 고로쇠나무, 털피나무, 알록제비꽃, 산비장이 등이 있다. Ⅲ등급 종류에는 각시붓꽃, 난티나무, 귀룽나무, 개벚나무, 야광나무, 병꽃나무, 우산나물 등이 있고, Ⅱ등급 종류는 떡버들, 갯버들, 당단풍 등이 있다.

[광덕산의 식생 및 식물상]

광덕산의 식생형은 소나무 군락, 신갈나무 군락, 신갈나무-소나무 군락, 소나무-신갈나무 군락, 굴참나무 군락, 상수리나무 군락, 굴참나무-상수리나무 군락, 상수리나무-소나무 군락, 소나무-상수리나무 군락, 졸참나무 군락 등 10개의 자연림 군락과 잣나무 군락, 리기다소나무 군락, 밤나무 군락, 일본잎갈나무 군락인 4개의 식재림을 포함하여 총 14개의 식생형으로 구분된다.

대체적으로 광덕산의 삼림 식생은 소나무 군락이 우점하는 가운데 일부의 면적을 참나무류가 점유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1. 서사면

광덕산의 서사면은 송악면 마곡리로 계곡의 초입에는 봄맞이, 들현호색, 쇠뜨기 등이 분포하며, 흰민들레도 관찰된다. 주변에는 병꽃나무를 비롯하여 조팝나무 등이 출현한다. 상류쪽 주변에는 천남성류가 흔하게 출현하며,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등의 목본류가 흔하게 분포한다. 정상으로 오르는 능선에는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정상 바로 아래에는 복수초, 산자고, 현호색, 노랑제비꽃 등이 흔하게 분포한다.

광덕산의 주봉인 가마봉에서 북쪽 능선을 따라서는 참나무류가 우점하여 분포하고 있으며, 등산로 가장자리에는 은방울꽃, 제비꽃류, 현호색류 등이 비교적 흔하게 자라고, 홀아비꽃대, 각시붓꽃, 금붓꽃 등도 출현하며, 매화말발도리와 이스라지, 생강나무 등의 관목도 출현한다. 설화산 쪽 능선에는 설화산에 가까이 갈수록 소나무의 분포 비율이 높아지며, 개암나무, 생강나무 등의 관목이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고, 매화노루발이 출현한다.

2. 남사면

광덕산의 남쪽 사면인 풍서천 상류 계곡은 천안시 광덕면 광덕리에 속하며, 계곡 주변은 일본잎갈나무, 때죽나무 등이 자라고, 계곡을 따라 버드나무류가 흔하게 분포한다. 계곡을 따라 갈재 정상으로 가는 임도 주변에는 호랑버들도 관찰되며, 물레나물, 기린초 등의 초본류도 분포한다. 갈재 정상 인근에는 골풀 등의 습지 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갈재 고개에서 가마봉 쪽 능선에는 참나무류가 흔하게 분포하고 있고, 은방울꽃, 우산나물, 원추리, 둥굴레, 하늘말나리, 애기나리 등 다양한 초본이 출현한다.

3. 동쪽 사면

동쪽사면에는 광덕사가 자리잡고 있으며, 계곡 주변은 잣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고, 부용묘 등산로는 사람의 왕래가 적으나 삼림 주변부가 밭으로 개간되어 있었으며, 등산로에는 노랑물봉선, 익모초 등의 초본류가 관찰된다. 그러나 이곳은 반대쪽 사면인 북서 사면에 비해 식물상이 빈약하며, 또한 북서 사면에서는 흔하게 분포하거나 대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피나물, 풀솜대, 미치광이풀, 현호색류 등이 분포하지 않고 있다.

4. 정상부

광덕산의 정상부에는 헬리콥터 착륙장이 있으며, 기념비가 세워져 있고, 사람의 왕래가 빈번해 많이 훼손되어 있다. 이곳에는 빗살현호색 등 현호색류와 쥐오줌풀, 패랭이꽃 등의 초본류가 자라고 있으며, 주변은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다.

[광덕산의 식물 구계학적 특정 식물종]

광덕산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 구계학적 특정 식물종이들 중 Ⅴ등급 종에 해당하는 종류는 천마 1종류가 출현하였고, Ⅳ등급 종도 만주바람꽃 1종류가 출현한다. 그리고 Ⅲ등급 종에 해당하는 종류는 개벚지나무, 금족제비고사리, 분버들, 흰진범, 광릉골무꽃, 미치광이풀 등 6종류가 출현하였다. Ⅱ등급종은 동자꽃과 노랑제비꽃 2종류가 출현하였으며, 홀아비꽃대 등 I둥급종에 해당하는 종류는 가장 많은 18종류[잣나무, 홀아비꽃대, 물오리나무, 투구꽃, 굴참나무, 쥐방울덩굴, 꿩의바람꽃, 피나물, 왜현호색, 노랑물봉선화, 오갈피, 쇠털이슬, 초롱꽃, 퉁둥굴레, 두루미천천남성, 금붓꽃, 금난초, 큰꽃으아리]가 출현하였다. 이 특정 식물종 중 흰진범은 만인숲과 이마당 약수터 인근에서 흔하게 분포하며, 미치광이풀도 절골, 정골, 아마당 약수터 아래 등지에서 소군락으로 흔하게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노랑제비꽃은 고도 600m 이상인 곳에서는 흔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투구꽃은 만인숲과 이마당 약수터 아래에서, 굴참나무는 곳곳에서, 꿩의바람꽃은 만인숲에서 많은 개체가, 피나물은 절골, 이마당 약수터 아래 등지에서 대군락으로 분포한다. 왜현호색은 만인숲, 절골, 정골, 이마당 약수터 인근에서 비교적 흔하게 분포하고 있다.

특정 식물종 중 천마와 만주바람꽃이 있는데, 천마(Gastrodia elata Bl.)는 난초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타원형의 덩이줄기는 한약재로 이용된다. 만주바람꽃(Isopyrum mandshuricum Kom.)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지하경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많이 매달린다. 1970년대 경기도 천마산에서 국내 분포가 처음으로 알려진 이래, 경기도 계방산과 충청북도 영동에 분포가 보고되었고, 강원도의 광덕산과 경기도의 예봉산, 충청남도의 광덕산, 경상북도 주흘산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충청남도 광덕산의 만주바람꽃 분포지는 북동쪽 사면인 만인숲으로, 계곡 부분에서 소군락을 형성해 꿩의바람꽃, 왜현호색 등과 함께 자라고 있으며, 생육지는 비교적 안정된 곳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