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 중심 거점인 충주 의 대표적 상징물이다. 중앙탑의 공식 명칭은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中原塔坪里七層石塔) 으로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6호로 지정되었다. 이 명...탑의 층수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1916년 간행된 『조선고적도보』 에는 탑평리 칠층석탑 으로 칭하고 있다. 이 명칭 역시 행정구역 개편 이전의 지명( 충주군 금천면 탑정...
-
.... 멀리 동쪽으로는 계명산 과 남산 이 솟아 있고 그 아래로 충주시가지와 평야가 펼쳐져 있으며, 북쪽으로는 금가면 , 서쪽으로는 조정지 댐 일원과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이 위치한다. 탄금대 토성 의 평면 형태는 동서로 길다란 불규칙한 말각장방형 내지 타원형이다. 동서 길이 150m, 남북 너비 100m 정도이다. 전체 둘...
-
... 국원소경 을 중원경(中原京) 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중원 이란 명칭이 갖는 의미는 국토의 중앙이라는 것으로, 이는 중앙탑이라 불리는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의 존재를 통해서도 유추된다. 우뚝 솟은 위용을 자랑하는 중앙탑은 사찰 안에 만든 탑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호국적 불력(佛力)으로 신라적 지방 세력과 민심을 어루만짐과 ...
-
...원주 · 제천 으로 통하는 길의 조망이 용이하다. 유적 주변에는 충주 고구려비(국보 제205호)를 비롯하여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보물 제1401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국보 제6호)를 비롯하여 충주 누암리 고분군(사적 제463호) 등이 위치하고 있어 충주 를 중심으로 한 삼국간의 치열한 패권 경쟁을 엿볼 수 있다. ...
-
...음기되었으나 마모되어 정확한 내용은 파악하기 어렵다. 1981년 3월 18일 국보 제205호로 지정되면서 비각을 세우고 작은 공간의 주차장이 마련되었으나 인근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에 비하여 상당히 부족한 느낌이다. 주변을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 충주 장미산성 , 충주박물관 과 연계된 역사 탐방지로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되며, 충주 고구려비 자체에 대한 안내 시설과 고대의 지역적 특수성을 알...
-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누암리 에 있는 선사시대 유물산포지. 누암리 유물산포지 는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국보 제6호)에서 남한강 상류 쪽으로 700~800m 가량 떨어져 있는 강에 면한 지점에 위치한다. 충주 에서 중앙탑면 쪽으로 들어오다가 삼거리 못미처 오른쪽 남한강 변에 위치한다. 대부분 논으로 경...
-
...전체 범위가 된다. 이 구릉지대는 북쪽으로 능선이 이어져 을궁산 과 장미산성 에 이르기까지 무덤 떼가 계속 분포하며, 충주 고구려비의 남쪽으로 약 4㎞,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일명 중앙탑)의 서남쪽으로 2㎞ 정도 떨어져 있는 곳이 중심이 된다. 1980년 중원 문화권 설정을 위한 지표 조사에서 확인되고, 1983년 3월 30일 충청북도 기념물...
-
...적 제463호로 재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남한강 이 충주 에서 탈천 과 합류하여 서북류하는 서안에 있다. 북쪽으로 2㎞ 거리에는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이, 4㎞ 지점에는 충주 고구려비가 분포하며, 주변에 탑평리 고분군, 탑평리 황새머리 고분군 등이 있다. 누암리 고려 고묘군 에서 확인된 돌덧널무덤...
-
.... 통일신라시대 충주 는 세 가지 측면에서 주목할 것이 있다. 첫째, 해동필가의 시조로 일컫는 명필가 김생 의 활약이다. 둘째, 9세기 전반에 중앙탑( 중원 탑평리 칠층석탑 )을 건립한 일이다. 중앙탑 건립의 목적은 9세기에 옛 백제 와 고구려 지역에서 등장한 지방 세력의 반신라적 민심을 회유하기 위해 불력에 의탁해 신라 의 안정을 ...
-
... 가야인의 후손이라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충주 는 삼국뿐만 아니라 가야 까지 포함한 한반도 문화의 용광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은 국보 제6호로 남북국시대 충주 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 중앙탑으로 더 잘 알려진 이 탑은 주변 지역에 대한 발굴 조사에서 사찰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일반적인 탑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