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966 |
---|---|
한자 | 申鉉求[達城郡] |
영어공식명칭 | Shin Hyeongu |
이칭/별칭 | 성당(誠堂),사루교쿠[申鈺]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임삼조 |
출생 시기/일시 | 1886년 9월 20일 - 신현구 출생 |
---|---|
수학 시기/일시 | 1907년 7월 - 신현구 대한 제국 탁지부 세무 주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14년 - 신현구 조선인 내지 시찰단 단원으로 선정 |
활동 시기/일시 | 1915년 11월 3일 - 신현구 시정 5년 기념 조선 물산 공진회 수상자로 선정 |
활동 시기/일시 | 1915년 11월 10일 - 신현구 다이쇼 대례 기념장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1912년~1922년 5월 29일 - 신현구 경상북도 의성군수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5월 30일~1926년 10월 14일 - 신현구 경상북도 상주군수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26년 10월 15일~1931년 12월 11일 - 신현구 경상북도 달성군수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4월 21일 - 신현구 훈 5등 서보장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11월 16일 - 신현구 쇼와 대례 기념장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3월 3일 - 신현구 동양 유교 연합회 발기인으로 참여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11월 26일 - 신현구 『매일 신보』 경상북도 지사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39년 - 신현구 일본 소화 연맹 경상북도 지부 회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39년 10월 16일 - 신현구 전조선 유림 대회 경상북도 대표로 참여 |
활동 시기/일시 | 1939년 11월 1일 - 신현구 조선 유도 연합회 이사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39년 11월 4일 - 신현구 영남 명덕회 부회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2월 - 신현구 국민 협회 경상북도 회원으로 활동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5월 11일 - 신현구 경상북도 관선 도회 의원으로 선출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9월 13일~1945년 8월 14일 - 신현구 조선 총독부 중추원 참의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10월 - 신현구 조선 임전 보국단 발기인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10월 - 신현구 경상북도 평의원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12월 7일 - 신현구 조선 임전 보국단 경상북도 지부 이사장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4월 26일 - 신현구 경학원 사성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49년 3월 8일 - 신현구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에 자수 |
몰년 시기/일시 | 1975년 4월 19일 - 신현구 사망 |
출생지 |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
성격 | 관료 |
성별 | 남 |
본관 | 평산(平山) |
대표 경력 | 중추원 참의|경상북도 도회 의원|『매일 신보』 경상북도 지사장 |
일제 강점기 달성군에서 활동한 친일파 관료.
본관은 평산(平山). 호는 성당(誠堂), 일본식 이름은 사루교쿠[申鈺]이다.
신현구(申鉉求)[1886~1975]는 1886년 9월 20일 경상북도 대구부 봉산정[현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에서 태어났다. 1907년 7월 대한 제국탁지부(度支部) 세무 주사로 관료 생활을 시작하였다. 1908년 1월 1일 재무서 주사로 임명되었다. 경술 국치(庚戌國恥) 이후인 1910년 10월에는 경상북도 서기가 되면서 조선 총독부 소속 관료가 되었다. 1912년 9월 24일부터 1921년까지 평안북도 운산군수를 역임하였다. 1912년 정 8위를 거쳐 1915년 종 7위로 올랐다. 1914년에는 동양 척식 주식회사가 주관하는 조선인 내지 시찰단에 뽑혀 일본을 다녀왔다. 1917년 10월 20일 평안북도 지방 토지 조사 위원회 임시 위원이 되었다. 1912년부터 1922년 5월 29일까지 경상북도 의성군수, 1922년 5월 30일부터 1926년 10월 14일까지 경상북도 상주군수, 1926년 10월 15일부터 1931년 12월 11일까지 경상북도 달성군수를 역임하였다. 경상북도 의성군수로 재직 중이던 1921년에 군수 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을 다녀왔다. 1926년 '이왕직전하[순종] 국장 봉헌식'의 경상북도 참례자로 선정되었다.
신현구는 1932년 10월 1일 영남 명덕회 이사, 1933년 5월 19일 대구 녹화 협회 평의원을 맡았다. 1936년 9월 경상북도 화물 자동차 주식회사 상임 감사를 맡았다. 1937년 중국·일본 전쟁이 터지자, 1937년 9월 6일 전조선 명사 59명 제2회 각 도 파견 순회 시국 강연단의 경상북도 대표가 되었다. 1938년 3월 3일에는 동양 유교 연합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동양 유교 연합회는 '동양 도덕의 근원인 유도의 정신을 중심으로 내선만지를 정신적으로 결합시켜 동양 민족이 일치하여 항구적 정화를 건설' 하자는 목표를 내건 친일 단체였다. 1938년 11월 26일 조선 총독부의 기관지인 『매일 신보』의 경상북도 지사장을 역임하였다. 1939년 일본 소화 연맹 경상북도 지부 회장을 맡았다. 1939년 10월 16일 전조선 유림 대회경상북도 대표로 참여하였다. 경성 부민 회관에서 열린 조선 유림 대회는 국민정신총동원의 효과적 시행을 위하여 조선의 각종 유림 조직을 하나의 단체로 통합시켜 유림을 통제하는 방안을 마련할 목적으로 열린 대회였다. 조선 유림 대회를 계기로 1939년 11월 1일 만들어진 조선 유도 연합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신현구는 1939년 11월 4일 영남 명덕회 부회장을 맡았다. 1941년 2월 국민 협회경상북도 회원, 1941년 5월 11일 경상북도 관선 도회 의원으로 뽑혔다. 1941년 7월 19일에 열린 『매일 신보』 지사장 회의에 경상북도 지사장으로 참석하였다. 1941년 9월 13일부터 1945년 8·15 광복 때까지 조선 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하였다. 1941년 10월 조선 임전 보국단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경상북도 평의원이 되었다. 조선 임전 보국단은 1941년 10월 조선인의 전쟁 협력을 위하여 임전 대책 협력회와 흥아 보국단을 통합하여 결성한 전시 체제기 최대의 민간단체였다. 1941년 12월 7일 조선 임전 보국단 경상북도 지부 이사장을 맡았다. 1943년 4월 26일 친일적 성향이 강한 경학원의 사성을 역임하였다.
신현구는 1949년 3월 8일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에 자수하였다. 그 뒤 중추원 참의를 지낸 박창수와 함께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에 다시 체포되었다. 그러나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가 흐지부지 끝나면서 결국 풀려났다. 신현구는 친일 반민족 행위 진상 규명 위원회가 발표한 친일 반민족 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신현구는 1975년 4월 19일 사망하였다.
신현구는 달성군수로 재직 중이던 1931년에 현풍 향교를 중수한 후 기문(記文)을 작성하였다. 현재 「향교 중수기(鄕校重修記)」라는 제목으로 1990년 현풍 향교에서 필사본으로 간행한 『사적록(事績錄)』에 수록되어 있다.
신현구는 1912년 8월 1일 일본 정부로부터 한국 병합 기념장을 받았다. 1915년 11월 3일 '시정 5년 기념 조선 물산 공진회 수상자'로 선정되어 포상을 받았다. 1915년 11월 10일 일본 정부로부터 다이쇼 대례 기념장을 받았다. 1928년 4월 21일 일본 정부로부터 훈 5등 서보장, 1928년 11월 16일 쇼와 대례 기념장을 받았다. 한편 군민 체육관[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235-4] 옆 비석 공원에 있는 군수비에 신현구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군수 신공 현구 애민 선정비 1913년'이라고 새겨져 있는데, 이는 신현구가 1925년 10월 15일부터 1931년 12월 11일까지 달성군수로 재직하였기 때문에, 추정컨대 1931년을 1913년으로 잘못 적은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