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324 |
---|---|
한자 | 橋梁 |
영어공식명칭 | Brid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민정 |
대구광역시 내에 있는 도로, 철도, 수로 등, 운송로 상에 장애가 되는 하천, 계곡, 강, 호수, 해안, 해협 등을 건너하거나 통과할 목적으로 건설하는 구조물.
2019년 12월 현재, 대구광역시 내에는 총379개의 교량이 있다.
대구광역시에서는 1959년에 세워진 달성군 유가읍 한정리 596-65 창한로의 한정교가 가장 오래된 다리이다. 1960년대에 2개의 교량이 준공되었는데, 1965년 세워진 중구 동인동3가의 구 신천교, 1969년 세워진 수성구 황금동의 황금교이다.
1970년대에는 14개의 교량이 준공되었다. 수성구 두산동의 두산교[1970년], 달성군 하빈면 기곡리 하빈로107길의 기곡1교[1970년], 달성군 유가읍 유곡리의 유곡1교[1970년], 동구 불로동의 불로교[1972년], 동구 입석동의 입석교[1973년], 북구 읍내동 팔거천의 진흥교[1973년],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의 귀로교[1973년], 수성구 수성동4가 신천동로의 배신교[1974년], 달성군 화원읍 명곡리의 명곡교[1975년], 달성군 논공읍 상리의 상리2교[1975년], 달성군 논공읍 하리의 하리1교[1975년], 달성군 논공읍 삼리리의 씩실교[1975년], 논공읍 상리의 상리1교[1979년], 동구 도동 측벽수림옆의 태봉교[1979년]이다.
1980년대는 19개소가 준공되었으며, 서구 비산7동의 평리교[1981년], 수성구 범물1동 진밭길의 백련사 입구 교량[1981년], 북구 산격동의 성북교[1982년], 수성구 파동 신천의 용두교[1982년], 동구 검사동의 아양교[1983년), 달성군 가창면 오리 112-1의 오동1교[1983년], 중구 동인동3가의 (신)신천교[1984년], 동구 입석동의 제2입석교[1984년], 북구 태전동 제1반포천의 제1반포교[1985년], 서구 비산7동의 팔달교[1986년], 북구 침산동의 침산교[1986년], 남구 이천2동의 대봉교[1987년], 동구 공산1동의 미곡교[1987년], 서구 비산7동의 비산교[1987년], 수성구 매호동 남천의 매호교[1987년], 동구 공산1동 도학교[1988년],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의 (구)가창교[1988년], 동구 미대동 내동육교 앞 옥정교[1988년], 동구 지저동 대구공항 앞 해안교[1988년]이다.
1990년대에는 100여 개, 그리고 2000년대 이후 250여 개의 교량이 준공되었다.
한편 1987년 일반 교량 중 동구 안심3동의 숙천교, 동구 용계동의 제1용계교와 제2용계교가 철거되었다. 그 외에 구가 관리하는 교량[구도] 중에서 동구 율암동의 율암교, 서구 비산동의 날뫼교, 서구 이현동의 이현교, 달서구 월성동의 월성1교, 수성구 대흥동의 내환교와 시환교가 철거되었다.
대구광역시 내 교량 가운데 대구광역시가 관리하는 교량은 204개소이며 특별법 1종 45개소, 특별법 2종 41개소, 특별법 3종 53개소, 일반 교량 65개소이다. 구가 관리하는 교량[구도]은 73개소이며, 수성구 22개소, 동구와 북구가 각각 21개소, 달서구 7개소, 남구 1개소이다. 군이 관리하는 교량[군도] 29개소와 교량[기타] 73개소 모두 달성군에 해당한다. 대구광역시 내 교량 중, 2014년 5월 22일 수성구 파동에 준공된 신천대교가 총길이 1,651m로 가장 길고, 그 다음 1992년 9월 19일 북구 칠성동에 준공된 칠성고가교가 총길이 1,120m이다. 반면, 가장 총길이가 짧은 교량은 2m로, 달성군 구지면 응암동 군도상에 위치한 덕골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