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853 |
---|---|
한자 | 大邱 月城洞 - |
이칭/별칭 | 대구 월성동 지석묘군,월배 지역 유적,월배 지역 고인돌[지석묘군]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민선례 |
조성 시기/일시 | 청동기시대 - 대구 월성동 고인돌 조성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3년 - 대구 월성동 고인돌 조사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0년 - 대구 월성동 고인돌 조사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15년 9월 2일~9월 9일 -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 세종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 |
보수|복원 시기/일시 | 2015년 10월~11월 - 대구 월성동 고인돌 이전·복원 |
소재지 | 대구 월성동 고인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원로 171[월성동 1257-3]|월성동 1284-7|월서로 59-6[월성동 1302]|월배로33길 71[월성동 1321-1]|진천로18길 95[월성동 1321-2]![]() |
성격 | 고분 |
양식 | 고인돌|돌널무덤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있었던 청동기시대 고인돌.
대구 월성동(大邱 月城洞) 고인돌은 주변의 상인동·대천동·진천동 고인돌과 함께 월배 지역에 있었던 대표적인 고인돌이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은 1983년 조사 때 4개 구역에서 확인되었으나, 1990년 조사 때는 민가 주변에 있던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 이외에는 도시화로 모두 파괴되어 사라졌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은 행정구역상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1257-3번지의 집 담장에 붙어 있었는데, 현재 월성자이아파트~조암로 간 도로에 해당된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Ⅱ[월성동 1284-7]는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이 있는 소로를 따라 3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으며, 현재 태왕아너스월성아파트의 남서쪽에 있는 상가건물이 해당된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Ⅲ[월성동 1302]은 대구 월성동 고인돌Ⅱ의 남서쪽으로 220m 정도 떨어져 있었고, 대구 월성동 고인돌Ⅳ[월성동 1321-1·1321-2번지]은 대구 월성동 고인돌Ⅲ의 남서쪽으로 70m 정도 떨어져 있었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 Ⅲ·Ⅳ는 현재 월배역더샵아파트의 북서쪽에 인접한 상가건물들이 해당된다.
2015년 9월 2일부터 9월 9일까지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이 포함된 대구 월성아파트~조암로 간 도로건설부지 내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를 세종문화재연구원에서 실시하였다. 시굴 조사에서 2호 고인돌은 원래의 위치에서 따로 떨어지게 되어 1호 고인돌을 중심으로 주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고인돌 1기와 돌널무덤 1기가 조사되었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의 1호의 덮개돌 크기는 길이 214㎝, 너비 186㎝, 높이 84㎝이며, 무게는 9톤이다. 덮개돌 아래에서 길이 201㎝, 너비 126㎝, 깊이 35㎝의 벽석을 돌덧널[석곽]처럼 쌓은 돌널무덤이 확인되었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의 남쪽으로 5.5m 정도 떨어져 239×52×18~50㎝ 크기의 돌덧널형 돌널무덤 1기가 조사되었다. 2호 덮개돌 크기는 길이 163㎝, 높이 47㎝이며, 재질은 화강암이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에서 출토된 유물은 없고,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 주변에서 조사된 돌널무덤의 주검받침[시상석(屍床石)] 위에서 관옥 24점, 북서 장벽 쪽 조사 과정에서 석촉편 1점이 출토되었다. 이후 돌널무덤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주검받침 아래에서 관옥 5점이 추가로 출토되었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Ⅰ의 1호 고인돌과 주변의 돌널무덤은 2015년 10월부터 11월까지 한샘공원[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353-3번지]에 이전·복원이 진행되어 안내판이 설치되는 등 지역사회 교육자료로 확용되고 있지만, 다른 고인돌은 이전에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대부분 파괴되었다.
대구 월성동 고인돌은 고인돌 주변에서 확인된 무덤의 수는 소량이지만, 주로 청동기시대 취락유적이 조사된 월성동에서 무덤 유적이 조사된 것에 의의가 있고, 월배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인돌 가운데 드물게 덮개돌 아래에서 무덤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