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100692 |
---|---|
한자 | 土器 |
영어의미역 | Earthenwar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
시대 | 선사/선사,고대/고대 |
집필자 | 길경택 |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발견하거나 보관하고 있는 선사시대와 고대에 제작된 용기.
[개설]
토기는 신석기시대 이래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과거의 수럽·채집 생활에서 농경을 바탕으로 하는 정착 생활로 전환하면서 식량을 저장하고 식수를 담아두는 용기가 필요하게 되면서 출현하였다.
토기는 보통 500~1000℃ 이하에서 구워지지만 그 이상에서 구워진 것은 도기(陶器)라 부르고, 유약을 바른 것을 자기(磁器)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후에 나오는 유약을 바른 자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토기라 부른다.
토기는 만들기 쉬운 반면 주서지기 쉬워서 신석기시대 이래로 유적 출토품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물이다. 대표적인 토기로는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민무늬토기[無文土器], 타날문토기(打捺文土器), 삼국토기(三國土器), 통일신라토기(統一新羅土器) 등이 있다.
[청동기시대]
이 시기의 대표적인 토기는 민무늬토기, 붉은간토기[紅陶], 검은간토기[黑陶] 등이 있다. 민무늬토기는 일반적으로 갈색 내지 황갈색을 띄며 문양이 없고 납작바닥을 기본으로 하는데, 장석·석영 등 굵은 사립이 섞인 바탕흙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민무늬토기는 지역마다 그 형태가 독특한 기형의 토기가 있는데 압록강 중상류의 공귀리식 토기, 청천강 이북과 중국 동북 지방의 미송리식 토기, 대동강과 재령강 가의 팽이형 토기, 충청도와 전라도에 분포하는 송국리식 토기, 전국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는 구멍무늬토기[孔列土器], 골아가리토기[口脣刻目文土器], 한강 이남에서 청동기 후기에 나타나는 아가리띠토기[粘土帶土器] 등이 그 예이다.
붉은간토기는 고운 흙을 사용하여 표면을 반들거리게 만들고 산화철을 바른 것으로 기형은 둥근 바닥의 긴 목을 가진 단지이다. 함경도 지방으로부터 중부 지역을 거쳐 남부 지역까지 분포하고 있는데 고인돌과 집터에서 출토되고 있다. 검은간토기는 흑색마연토기라고도 하는데 긴목항아리를 기본으로 청동기들과 함께 출토되는 예가 많아 청동기시대 후기에 속한다.
이 시대의 유물로 음성 지역에서 출토된 것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의 고인돌 유적의 민무늬토기와 음성군 음성읍 하당리에서 출토된 민무늬토기와 붉은칠토기 조각 등이 있을 뿐으로 그 예가 아주 적다.
[철기시대]
철기시대는 민무늬토기와 타날무늬토기가 사용되었다. 민무늬토기는 청동기시대의 것이 발달되어 경도가 높아지고 기형이 다양해졌다고 볼 수 있는데 이를 경질무문토기라고도 부른다. 중부 지방에서는 중도식 토기라 불리는 입 바라진 항아리[外反口緣壺]가 특징인 반면 남부 지방에서는 단면 삼각형 아가리띠토기[三角粘土帶土器]가 특징이다.
타날문토기는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에 비해 태토가 정선되고 손으로 빚는 대신에 회전축이나 녹로를 사용하여 기벽이 일정하고 기면에는 타날문이 찍혀 있다. 굴가마[登窯]가 사용되고 높은 화력에서 단단한 토기를 구웠다.
타날문토기는 연질과 경질로 구분되는데, 연질은 적갈색, 회색, 회백색 등을 띠고 경질은 회청색을 띤다. 낙동강 유적의 와질토기(瓦質土器) 등도 연질타날문토기 계통에 속하는 것이다. 음성 지역에서도 타날문토기가 나타나고는 있으나 정식 발굴을 통해 확인된 것이 아니어서 설명하기 어렵다.
[삼국시대]
고구려 토기는 한식(漢式) 계통의 회색 또는 흑회색의 납작바닥토기, 손잡이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표면은 마연하여 광택이 나는 마연흑도도 있고, 입 큰 납작바닥 네귀항아리와 뚜껑이 있는 원통형 삼족기도 있다. 음성 지역에서는 고구려 계통의 토기가 보고된 예가 아직 없다.
백제 토기에는 승석문이 보편적으로 시문되고 삼족기가 존재하며 납작바닥토기가 많고, 형태가 특이한 그릇받침(기대)이 출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성 지역에서는 음성읍의 가섭산 기슭이나 소이면 미타사 부근, 삼성면 마니산 일대에서 발견되는데, 새발자국무늬가 찍혀 있는 토기가 확인된다.
신라 토기는 타날문토기가 발전한 것으로 정선된 태토에 굴가마에서 환원염으로 구웠으며 녹로를 사용하여 다량으로 생산하였다. 음성군 지역에서는 음성읍 사정에서 신라 토기 8점이 출토되어 신고된 예가 있으며, 소이면 갑산리·비산리, 삼성면 청용리·선정리, 대소면 부윤리 등에서도 토기가 출토되었다. 또 음성읍 하당리의 돌널무덤에서 6세기 후반의 신라 토기가 출토되기도 하였다.